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재래시장 현대화 사업
부산시는 안상영 시장 당시부터
그리고 이명박 정부시 내내, 재래시장의 현대화, 재래전통시장의 활성화 및 지붕 개량, 간판 정비, 주차장 건립 등 국가 및 지방의 재정이 투입이 되었다.
식품 안전과는 아무 연계성도 없이.....모르지 제안자가 모르는 무슨 꿍꿍이 속이 있었는지....
그리해서 제안자는 이명박 정부 말기, 식품전문가들이 맨 처음 언급한 적이 있는 포기김치의 생산과 관련하여 재래 전통시장에서 시도에서 담은 김치를 팔 곳을 지정하고 재래시장의 적절한 몇 곳을 지정하여 정부에서 그곳에 임대료를 줄 것을 건의하였다. 식품전문가가 김치를 만들어서 팔고 여성들이 김치를 사 먹기 위해서였다.
정부에서 장류를 팔고 있지만 모든 여성들이 순창의 장류를 사 먹지는 않는다.
김치도 마찬가지다.
아시다시피 이는 받아들여지지를 않았다.
그리고 정부식품은 이때까지 중국 음식점처럼 주문 식단제로 되어 있다.
아마 전통시장에서 떡을 팔려고 했는지 모르지만,,,,
지난 설 아래, 부산진구(구청장 : 하계열)에 소재하는 부전시장에 있는 어느 떡집에 가니 가래떡에 소금의 성분이 아예 표시도 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해 물어보니 ‘ 안 팔아도 되니 가라’ 고 했다. 참 한심한 노릇이었다.
그래서 그랬는지 제안자가 한번씩 동래시장에 가는 일이 있어 시장을 둘러보니 동래시장 입구(수안 파출소에서 동래시장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홍게 맛장을 두고 팔고 있었다. 동래구(구청장 : 전광우)에서는 이 외에도 동래 온천장에서 사직동으로 가는 길(버스가 다니는 길) 옆에 있는 럭키아파트 상가에도 홍게 맛장을 팔고 있다.
홍게 맛장은 된장찌개가 맛이 담백하면 마지막에 조금 넣으면 감칠맛이 난다. 많이 넣으면 된장찌개가 냉냉해 진다.
첨부 : 홍게 맛장
-- 2017. 2. 28(화) --
.
등록 : 2017. 2. 28(화)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부산민원 120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외
**
============= 첨부 ===============
작성자 : 안정은 ( 제안자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조미료)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감사실,
지방행정 주사(6급) 안정은 (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 홍게 맛장
[ 제안 추진 내용 2011년 17 ]
부산 국제 식품전
0. 홍게 맛장
홍게를 통째로 삶은 추출액에, 멸치, 다시마, 마늘, 대파, 생강, 표고버섯 식염을 넣어 만든 천연 조미식품으로 화학 조미료가 전혀 들어가지 않았다. 육수, 국류, 탕류, 전골류, 찌개류 등 국물요리에 넣으면 맛이 풍부해 진다. 여기에 영지버섯, 당귀 등을 추가로 넣은 ‘홍게 맛장 골드’도 생산한다.
부산시가 추천한 식품이다.
공장이 부산시와 경북 영덕에 각각 1개소씩 있다.
가, 주) 홍일식품 : 김은태 / 부산 기장군 기장읍 교리,
- 부산 기장군 : 051, 724 - 7575 ~6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홍게 맛장 ..........부산광역시청이 추천한 우수 식품이다. 고혈압에 좋다고 알려진 홍게 추출물이 주성분이며 여기에 다시마 마늘 등 양념을 더한 것이다. 무 인공조미료, 무 방부제, 무 착색료이다( 2012. 10. 27, 제안자 설명 )
-- 2011, 6. 4(토), 부산전시컨벤션센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