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아버지는 제2의 안동수가 되어서는 안된다 !

작성자
안 * * *

작성자 : 안정은

제 목 : 아버지의 건강진단서 (1)
제 목 : 아버지는 제2의 안동수가 되어서는 안된다 !

..............................................................................................................

큰 제목 : 신발 없애면 안된다 (4) / 부산 의료원 당뇨 캠프 실시
[ 등록 :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부산 민원 120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 2017년 4, 6일자 ]

- 그리고 금샘요양병원에 있는 어느 어르신에 대해서 시의료원장(원장 : 최창화)은 직접 위기 개입하라 ! 그 병원의 사무장이 최씨였고 그 어르신이 입원할 당시의 절차상 잘못이 있었다. 현재는 최사무장이 사직하고 다른 이로 교체가 되었다. * 그 병원에서 어르신에게 먹인 약이 무슨 약이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1년만에 다리가 굳어 있었다 - 재활치료 ) -
.....................................................................................................................

상기의
* 그 병원에서 어르신에게 먹인 약이 무슨 약이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
..........

그 어르신은 제안자의 아버지다 ( 안태화 )
제안자의 아버지는 2년마다의 국민건강검진을 거의 받고 계셨다. 그리고 연제구의 복지관에서도 어르신에 대한 건강검진을 수시로 실시하는지 건강관리협회 부산지부에 국민 건강검진을 받을 때는 위 조영촬영에서 이상이 있는지 제안자가 걱정을 하면 당신(아버지)이 이상이 없음을 먼저 알고 계시는 듯 했다.

- ( 중간 줄임 ) -
제안자는 이왕이면 집안의 한의사가 운영하는 병원에 있는 요양병원에 있으면 요양병원을 싫어하는 아버지에게 안심도 시켜드리고 평소 양약을 잘 드시지 않아 약도 한방병원에 소재한 요양병원의 약이 더 나으리라 아버지도 그리고 제안자도 생각했지만 보호자인 아들이 금샘 요양병원이 그곳보다 본가와 가깝고 병원이 자리한 곳이 공기가 맑고 환경이 좋으며 또 자녀 (특히 딸)들이 방문하기에 교통편이 좋다고 하여 더 이상 제안자는 말을 않았다. 그리고 아들은 형제인 딸들이 매일 아니면 하루 걸러 방문해도 병원측에서 싫어하지를 않는다고 생각해서인지 병원을 옮길 생각은 추호도 없었다. 그리고 제안자는 길게 보아서 가까이에 있는 요양원(동사무소의 승낙이 있어야 하고 접수를 시켜놓고 기다려야 한다는 곳 - 금정 노인요양원)에 가야할 것 같아 사전 알아보기도 했으나 아들이 입원해 있는 병원에 만족해 해서 지나쳐왔으나 곧 아버지를 중환자실에 올려서 팔과 다리를 묶고 해서 병원에 가서 병원측을 나무라니 아들은 제안자가 아버지의 입원에 도움이 안된다고 하며 병원에 오지를 말라고 했어도 가서 기저귀를 두껍게 채우고 운동을 못하도록 해서 병원측을 나무라니 이를 보호자(아들)에게 병원에서 고자질해 제안자가 병문안을 못오도록 해서 제안자는 계절이 바뀌면 수박, 포도 등 과일을 1상자 병원에 들일 때만 갔다. 그리고 제안자는 전직의 공직자로 줄곳 어르신의 요양병원을 공립화 하기를 주장하는 입장에서 기관청의 전자 게시판에 글을 등재하고 있어서 사설의 병원이었던 그곳의 요양병원에는 자주 가지는 않았다. 그리해서 제안자는 아버지를 병원측과 보호자(아들)에 그대로 맡겨왔는데 1년이 지난 후, 결국 - 하루도 빠짐없이 외출을 하고 운동을 했던 - 아버지의 다리가 굳어져 있었으므로 이는 나아서 퇴원하는 요양병원이 아니고 21세기 제2의 고려장의 터와 무엇이 다른가 고 묻고 있다.
노인 요양병원은 자녀들이 드나들기 쉬운 편의점과는 다른 것이다.

- ( 이하 줄임 ) -

-- 2017. 4. 7(금) --
.
등록 : 2017. 4. 7(금)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부산 민원 120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 2017. 4. 9일 내용 일부 보충
**
*
*
*


굳어진 어르신의 다리는
요양병원의 한의사에 침치료

............................................................................
제안자는 아버지를 병원측과 보호자(아들)에 그대로 맡겨왔는데 1년이 지난 후, 결국 - 하루도 빠짐없이 외출을 하고 운동을 했던 - 아버지의 다리가 굳어져 있었으므로 이는 나아서 퇴원하는 요양병원이 아니고, 21세기 제2의 고려장의 터와 무엇이 다른가 고 묻고 있다.
노인 요양병원은 자녀들이 드나들기 쉬운 편의점과는 다른 것이다.
......................................................................................

상기에서 언급한
어르신의 굳어진 다리는
요양병원의 한의사에 침치료를 요청해서 개선

-- 삼세 한방병원 안창범 병원장, 2017. 4. 12(수) --
.
.
등록 : 2017. 4. 12(수)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부산 민원 120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 2017. 4. 12일 ☆ 내용 보충 기록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제 목 : 식품안전 시기 상조인가 ?


태화가 뜸뜸이 보인다.
부산의 향토백화점인 이전의 태화백화점 ,
울산의 태화강
태화고무장갑 등등


1919. 1. 21, 덕수궁 함녕전에서 고종황제가 승하했다. 갑작스런 죽음,
독살설은 전국으로 퍼졌고 이는 곧 3. 1운동의 기폭제가 된다.

1919년 3월 1일 탑골공원에는 수많은 학생과 시민들이 모였다.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인들은 * 태화관에서 비밀리에 독립선언식(민족대표 29명 참석)을 가진 뒤 일제 당국에 자수하여 구금되었다.
3월 1일 탑골공원 독립선언서 낭독이 끝나자 군중들은 만세를 부르며 시내를 행진했다. 시위운동은 전국에서 일어났으며 해외동포들도 참여했다.


--「한국사의 이해」, 송찬섭, 김남윤, 윤대원 공저, 한국통신대학교 출판부, 2008년 333쪽 --
-- 2009. 8. 15(토), 조선일보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태화관 - 서울 종로 인사동 소재의 ‘태화관’ 이라는 음식점에서
하루 전인 2월 28일 저녁, 비밀리에 독립선언식(33인 중 29인 참석)을
가진 뒤 일제 당국에 자수하여 구금되었다. 즉 탑골공원에서는 불참.
.
.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 1919년 4월 13일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