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1999년 10월 20일, 김대중 정부)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 감사실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태평염전 소금가게에서 파는 ‘ 안복자 한과, 판매 중지
- 2017. 6. 2(금), 남도 맛기행(동그라미 여행사 / 대표, 안성배)을 다녀와서 -
신안의 섬 증도에는 현재 국민들이 먹고 있는 신안 천일염을 생산하는 태평염전이 있고 이는 2007년 8월 11일자 조선일보에서 개방이 되었으며 2007년 11월 23일자로 염관리법 개정안이 국회에 통과가 되어 2008년 3월부터 천일염이 식용소금으로 인정을 받았다. (- 2007년 11월 24일 한겨레 신문)
이곳은 염전의 면적이 매우 넓어 신안 천일염의 80%를 생산해 내고 있다고 하는데 현지에 와 보면 염전의 넓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그동안 알게 모르게 이 곳을 다녀간 단체들(산악회, 여행사)이 많았을 것이다.
육지에서 신안 천일염을 먹는 사람들이 태평염전의 현장을 둘러보고 현장에서 소금을 주기를 요청하면 소금은 팔아야 하고 그리고 소금만 내어 놓기 뭣해서 안복자 한과(안복자 / 전남 담양군 창평면 강촌길 18)가 같이 전시되어 판매가 되고 있는데 안복자 한과는 한국전통식의 한과를 만들지 못하는 기존의 한과 제조의 업체이므로 소금가게에서는 안복자 한과를 팔지를 말거나 여타의 다른 식품의 품목으로 바꾸면 좋을 것이다. 현재 해조류로서 믿을 수 있는 식품이 다시마이고 미역도 실미역은 다시 소금으로 처리를 한다고 하므로 아무 미역이나 구해서도 팔 수 없다. 그리고 식품의 품목에서 과자류는 부가가치세를 지불해야 하는 품목이면 매장에서 받아서 팔기에도 번거롭다.
제안자가 3년 전쯤 정부식품으로 조청을 만들고 있는 곳에 부탁하기를 설과 명절에 강정을 만들어 조청과 함께 팔아줄 것을 요청하니 다시 시설을 해야 하므로 불가하다고 하였다. 안복자 한과에서는 한과의 제조시설은 있으나 한과의 제조방법을 기존업체들과 차별화 해서 만들 수 없으므로 그런 듯하다.
아니면 기존의 한과업체로서 정부식품인 조청을 대량으로 구입해서 팔기가 뭣해서 그런 듯하다.
기존의 한과업체에서 만드는 한과에서 유과는 유탕 처리 식품이며 그리고 쌀 강정도 조청만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단성분을 사용하는 듯했다 (조청 ,물엿, 올리고당, 설탕 등) 안복자 한과도 마찬가지다.
즉 태평염전의 소금가게에서는 소금 외의 품목으로는 다시마, 품질을 믿을 수 있는 국물용의 대멸치 등과 같이 팔며 안복자 한과는 판매를 중지해 주시기를 바란다. 국물용의 대멸치는 공영의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많이 내어 놓고 팔고 있으며 제안자도 사서 먹고 있다.
0. 주, 한국씨솔트 소금가게 ( 김상일 / 전남 신안군 증도면 지도증도로 1055)
.
-- 2017. 6. 6(화) --
.
등록 : 2017. 6. 6(화)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부산민원 120 - 시민 참여 (시민 게시판) 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1999년 10월 20일, 김대중 정부)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 감사실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태평염전 소금 직판장에서 파는 ‘ 안복자 한과, 성분 조정 요청
제안자는 2015. 5. 12일과 13일, 1박 2일의 여행상품으로
부산시 부산진구에 에 소재하는 ‘ 좋은 여행사’ 에 몸을 실었습니다.
중요 목적지는 신안군의 섬 증도의 천일염 생산지였습니다. (태평염전)
이 태평염전에서는 국내 신안 천일염의 80%를 생산한다고 가이드는 설명해 주었습니다.
이 태평염전에는 소금 박물관을 두고 있었고 바로 옆에는 태평염전의 소금 직판장이 있었으며
그곳에는 태평염전에서 생산하는 천일염을 판매하면서
같이 안복자 한과(전남 담양군 소재 )가 진열되어져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다음 사항을 건의합니다.
0. 소금 박물관 : 신안군 증도 소재의 “ 태평 염전 ” 전시장
( 손일선 / 신안군 증도면 지도증도로 10 )
0. 태평염전 소금 직판장 : (주) 섬들채 ( 전화, 061, 261 - 2211 )
0. 제안자 요청 사항
소금 박물관 옆에 소재한 태평염전 직판장에 2015, 5, 12일, 16시 30분경
안복자 한과(전남 담양군, 우체국 쇼핑 식품) 가 전시되어 판매 중이였습니다.
그런데 판매하고 있는 안복자씨의 유과, 김부각 등의 성분에서 설탕, 물엿,
정제 식용유인 옥수수 배유 등이 식재료로 첨가하고 이를 상표에서 표기하고 있었습니다.
이 성분을 제거하고도 생산 가능한 한과를 제조하여 틈새시장인 그곳에서 출하해 주기를 요청합니다.
.
.
등록 : 2015. 5. 14(금)
보건복지부 - 참여 - 자유 게시판
..................................
등록 : 2015. 9. 30(수)
보건복지부 - 참여 - 자유 게시판
전남도청 (지사 : 이낙연 ) - 자유 발언대
※ 안복자 한과는 우체국 쇼핑 식품이기도 하다. ( 담양군수 : 최형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