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주 제 : 식품안전, 노인 복지, 부랑인 보호
* * * * * * * * * * * * * * * * * * * *
1. 제안서 : 음식점 및 단체급식의 현실태와 그 개선 방안- 단체급식의 배식방법에 따른 식품의 안전성을 중심으로 ( 1996. 4. 19일, 문정수 부산시장 - 시민제안 응모 )
( ※ 김영삼 정부 )
- 제안자 : 부산 금정구청 총무과 상황실장 (6급)
....................................................
[ 부산광역시 금정구 보건소 공고 제 96 - 1호에 의거 ]
2. 지역 보건 의료 계획에 대한 제안 ( 1996. 11. 16, 문정수 부산시장)
( ※ 김영삼 정부 )
- 제안자 : 부산 금정구 노포동 사무장 (6급)
* 중요 내용 : 보건소내 노인진료실 개설 운영 (한의사 채용하여)
제출처 : 부산 금정구 보건소 / 외 부산시장
..............................................
※ 문정수 시장 : 1995. 7. 1일 ∼ 1998. 6. 30일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全遠인가, 轉院인가 ?
- ♬ 노인 요양병원은 제2고려장 터, 아니다 -
전원(轉院)이란 입원한 환자가 병원을 옮기는 것을 전원이라고 한다.
환자가 처음 입원할 병원을 정하기 전 여러 병원을 쇼핑해 보고 결정하는 것과 유사한 것이다.
1980년대 전두환 정부에서 65세 이상의 어르신을 해마다 건강검진을 시키도록 동사무소에 지시했다. 본인(행정 7급)이 온천1동사무소에서 가족계획 및 사회복지의 업무를 볼 당시였다 (동장은 최남길 )
그리하자 동래구 산하의 46곳의 동장들 중 건강검진을 하러 보건소로 갈 어르신들을 위해 버스를 동원하는 동장도 있었다.
* 1988년 1월 1일 전두환 정부 말기, 공공부조의 하나인 지역의료보험이 전격 실시가 되었다. 당시 노태우 대통령이 당선되고 나서였다.
물론 그 이전 청십자 보험(고신대 병원에 계신 장기려 박사가 맡았다고 했다)이 있기도 했다.
국민의료보험이 실시되고서도 식사가 보험에 적용되지 않으면 어르신들이 병원에 입원을 하려고 해도 병원에서는 병실도 없었지만 입원비가 한달에 300만원이라 어르신이 몸져 누우면 대부분 간병이 가족들의 몫이었다.
제안자의 어머니가 그러했다.
노무현 정부에서 입원환자에 대한 밥값에 대해 의료보험이 적용되어 사립의 장기요양병원들이 많이 생겨나고 이곳에는 몸이 불편한 어르신들이 많이 입원해 계신듯하다.
그런데 기본적인 사항이 이행이 되지를 않는다.
장기로 입원해 있는 환자(어르신)들에 대해 2년마다의 국민건강 검진을 실시를 않는 것이다.
제안자 본인이 상기에서와 같이 노포동 사무소에서 제안한 사항대로
보건소에 한의사를 두고 노인진료실을 마련하지 않겠다면 부산시는 부산시에서 마련한 노인전문병원(제3 병원)에서 건강검진에 관한 전문의를 채용해서 이들이 출장해서 장기 (노인) 요양병원과 정신질환자 병원에 입원해 있는 장기 입원환자들에 대해 국민 건강검진을 2년마다 한번씩 실시해야 한다.
특히 노인장기 요양 병원, 제2고려장터 안된다 !
6개월 전, 어느 가정은 요양병원에서 입원한 어르신의 신발을 없앤다고 곧 퇴원을 시켰다고 했다.
全遠인가, 轉院인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1988년 1월 1일...... 제안자가 식품안전을 위한 제안서 (한국전통식품,,,,)에서 식품안전처장과 한국전통식품연구원장의 위촉일을 차기 대통령이 당선되고 나서 후임 대통령이 물러가면서 발령토록 서면으로 대통령께 건의했다. 이명박 정부에서인데 유사하지 않은가
.
-- 2017. 7. 19(수) --
.
등록 : 2017. 7. 19(수)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부산민원 120 - 시민 참여(시민 게시판)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