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감사합니다 - KDA, 식약처

작성자
안 * * *

수 신 : 임경숙 대한영양사협회장


임경숙 회장님 안녕하십니까 ?
제안자는 제안서(122쪽 ∼123쪽)에서 동단위의 식품검사원들이 음식점들의 운영사항을 순회 점검을 하면서 동시에 관할지역내에서 생긴 새로운 환자에 대해서는 그 질병에 맞는 ‘ 간단한 식이 안내서’ 를 발부하면서 < 발병자 조사 분석> 을 하고 그 보고서를 각시도의 식품생산 연구원장 및 상부에 보고토록 하였습니다. 간단한 식이 안내서는 영양사라면 작성할 수 있는 기초사항입니다.
식품안전정책의 방향을 설정함에서는 한국의 (호적 =가족관계 등록부) 사망신고서에 있는 사인(死因)을 이용하면 참고도 되겠지만 그리하면 예방행정에서 그 의미가 부족(즉 너무 늦음)하므로 상기와 같이 제안서에 제시한 것이지만 그로써 연령이 구분되고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의 학교 단체급식소 등에서 식단을 짜면서 열량을 표기하지 않아도 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우려가 됩니다. 지금은 식품안전과 관련된 전문가 집단인 식품안전위원회 등이 없어서 기관청에서는 자문을 받을 수도 없는 상황에서 무조건 식단작성에서 열량을 표시하지 않는 것은 옳지 않다고 봅니다. 기존의 식품성분표가 미흡하던 아니던간에....
영양학은 지역사회영양학의 의미처럼 전문지식만으로 취급하지 않고 여성잡지에서도 그리고 조리사들도 보편적으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잘못된 것은 식품전문가들이 바로 잡아나가면 될 것입니다만 그렇다고 학생들에게조차 영양학 수업은 받게 하지 않고 학교에서 점심한끼만 주고 끝나서는 안될 것이라 생각해서 제안자는 중등과정에서나마 영양 및 영양학에 대한 이론 수업은 실시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계속 주장(중등과정 학교에서의 영양수업은 부산시교육청에서 먼저 실시할 듯)하고 있습니다.
그리하면 이론과 실제의 학교급식제공에 차이가 있어서 학교 현장의 영양사들이 먼저 이를 반대할 지도 모릅니다만 대학의 영양학에서는 조리사들의 요리실습에서의 식재료(각종의 식재료)를 영양학 학문의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으므로 학교 현장의 영양학에 조리의 원리를 적용시켜야 소기의 목적(식품안전)의 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국내이던 국외이던 호텔에는 일반적으로 영양사가 없었는데 그로써 호텔 요리는 상업적(세계적)으로 나오는 유명한 식재료를 활용해서 요리의 마술을 부리는 곳이라 제안자는 생각합니다. 각시도의 전시켄벤션산업에서 관광호텔을 지으라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 신규 영양사 교육 프로그램 마련 -
현재 정부에 식품안전위원회가 없지만 초중고 학교 등 필요한 곳에서의 식단의 작성에서 칼로리(=열량)가 필요한 식단의 작성이 요구 되고 또 급식소 현장에서 이것이 실시되고 있으면 그곳에 취업할 영양사는 그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아래 영양사를 별도로 두는 인턴 영양사제도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입니다.( × )
또 하나, 단체급식소에서의 레시피 및 식단은 실제 여성들의 가정(부엌)생활에서도 긴요한 자료입니다. 그것은 영양사 당사자들이 더 잘 알 것입니다. 즉 레시피의 공유입니다. 일부의 단체급식소 단체에서는 레시피가 공유가 될 수도 있겠지만 산업체 등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식단의 주기가 30일, 60일 둥 다양하게 짜여진 식단 및 레시피가 단체급식소 현장에는 있을 것이므로 이를 잘 모아서 대한영양사협회에서는 신규로 발령을 받은 영양사가 단체급식소의 교육을 받아서 근무를 시작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교육프로그램에서 이것도 제공해야 할 것입니다.
식품안전의 과도기에 영양사의 취업에 대한 정보가 달리 개방되어 있지를 않아서 매우 미안한 일인데 어렵사리 영양사들이 취업은 했으나 실제 수행능력이 없어서 사직하는 불행은 없어야 합니다.
문제는 시시각각으로 새로 취업하는 영양사들에 대한 교육의 실제가 문제인데 이를 ‘ 전임의 영양사가 후임의 영양사에 그 업무를 가르치는 인계를 강요함’ 으로써만 해결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다음 몇가지를 제시해 봅니다.

0. 교육장소는 서울 등 교육의 개최가 쉬운 곳을 선정하되 숙식(자고 먹고)이 안전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0. 교육의 질이 충분하고 *자료도 풍부해야 합니다.

0. 교육비를 적절하게 받아야 합니다.

0. 교육의 개시 및 종료(시작 - 종강)는 주기적으로 하되 그 주기가 빠르면 영양사들에 도움이 됩니다.

상기의 모든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 제안자는 교육의 장소를 부산시 인재 개발원을 사용해 보기를 권합니다. 현재 비어진 옛 부산시 공무원교육원은 숙박(잠)은 가능하지만 수교생이 없어서 구내 식당이 운영이 되지를 않아 사용이 불가능할 것입니다.
만일 새로 지어진 부산시의 인재 개발원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면 강사 및 수교생(=영양사)에 대한 숙식의 안전을 기할 수 있고 또 교육비도 다소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기관청(부산광역시청)과의 협조는 수신에서는 서병수 부산광역시장으로 하고 동시에 이범철 부산시 인재개발원장( ※ )으로 하면 될 것이며 (2곳)
제목은 < 신규 취업 영양사 교육 장소, 협조 요청> 으로 하여 주시고 아래의 < 대한 영양사협회, 식단작성 지도 > 를 별첨으로 첨부하여 주십시오 !
제안자는 언젠가 ‘대한영양사협회는 영양학회는 아니라’ 고 언급한 바 있었습니다. 그리고 각기관청 및 산업체에서 단체급식소에 일할 신규 영양사의 교육에 대한 ‘교육의무의 부과’에 대해서는 제안자가 강제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지만 이후 대한영양사협회에서 그 교육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마련되고 이것이 대한영양사협회지인 [국민 영양]지에 공개가 되면 제안자는 이를 참고하여 아래에 첨부한 < 대한 영양사협회, 식단작성 지도 > 에 의해서 이 교육의 수교에 대해 기관청 및 산업체에서 응하도록 힘껏 도울 것입니다만 이 교육을 정부에서 제도화 해준다면 금상첨화일 것입니다.

첨부 : 대한 영양사협회, 식단작성 지도

-- 2016. 8. 18일(목) --
.
등록 : 2016. 8. 18일(목)
대한영양사협회 (회장 : 임경숙) - KDA회원 자료실 - 회원 게시판


============= 첨 부 ================

작성자 : 안정은 ( 제안자 -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과정 수료 / 영양사 )
- 경성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과정 수료 (2003년 8월)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식품영양학 전공) 4년과정 졸업 (2012. 2. 22일)
- 국가 고시 영양사 시험 2014. 2. 7일 응시 (합격, 영양사 면허증 취득)
.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 감사실 (행정자료실장 )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한국방송통신대학 5년과정 가정학과 가정학사(1985년)
-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년6개월 과정, 행정학과 행정학석사(1990년)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대한 영양사협회, 식단작성 지도

수 신(1) : 임경숙 대한영사협회장
수 신(2) : 각 대학 식품영양학과, 식이요법 및 단체급식 교과목 담당 교수


제안자는 대학의 4년 가정학과(식품영양학과가 아닌)에서
식품학 및 식이요법을 교과과정에서 공부할 때 신장염 환자 및 당뇨환자에 대한 식단 작성법을 실제로 배웠다.
요즈음은 대부분의 단체급식소에서의 식단작성에서 열량(칼로리)를 생략한 식단(메뉴)을 짠다고 하고 당뇨환자들에게는 식품교환표에 의해 식단을 작성한다고 한다.
그러나 아직도 각급 학교 및 산업체, 병원에서는 열량을 표기한 식단을 작성해서 내어 놓고 있다. 필요에 의해서이다. 즉 그 연령 및 그 질병에 따른 식단이 달리 필요해서일 것이다.
그런데 제안자가 한국 방송통신대학교에 2008년 입학해서 공부할 당시
임상 영양학과의 과목에서도 식이요법의 과목에서도 그리고 단체급식의 과목에서도 식품성분표를 내어 놓고 식단을 작성하라는 교육(지도)이 없었다. 식이요법과 단체급식의 교과과정에서는 이 지도가 필요하다.
* 열량을 표시한 식단의 작성은 식품성분표만 있으면 가능하다.
열량의 산출은 식품에 포함된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함량(g)에서 4 kcal 를 곱하고 지방분은 그 함량에서는 9 kcal를 곱해서 산출하면 된다. ( 즉 함량에서 생리적 열량가를 곱해서 열량을 산출한다) 그러므로 대학의 교과과정에서는 식품성분표을 학생들에게 내어 주고 그에 대해 설명하고 지도하지 않고는 열량가가 명시된 식단을 대강이라도 작성할 수 없는 것이다.
음식도 영양학도 식품전문가들의 전문과목만이 아니다. 지역사회의 영양학이다. 영양학 지식을 남성들조차 잘 아는 것은 그 때문이다.
그리고 영양사들이 새로 학교 단체급식소의 영영사로 부임하면 대한영양사협회는 신규 채용된 영양사들을 모아서 다시 식단작성 교육(실제교육)을 시켜야 한다. 현재 대한영양사협회에는 분과에 학교 영양사회, 학교 영양교사회로 양분되어 있다고 들었다. 그렇다면 영양사 회원이 아닌 영양사는 어떻게 되나 ? 제안자가 알기에는 각시도청에서는 대한영양사협회에 취업 영양사들의 보수교육을 위탁교육시키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신규교육이 없어서는 안된다.
대한 영양사협회가 본격적으로 구성되고 또 협회의 홈페이지가 마련된 것은 제안자가 제안서를 제출하고 나서이다.
임경숙 대한영사협회장은 대한 영양사협회 회원들만의 회장이 아니다.


1.
식단 작성(특히 열량가가 포함된 식단을 짜서 명시해야 할 기관청 또는 산업체 등의 단체급식소)이 필요한 부서에 발령을 받는 영양사에 대하여 소속 기관장은 대한영양사협회에 신규 교육을 수교토록 보내고
협회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서 홍보하면 병원, 기관청 및 산업체에서는 새로 채용한 영양사에 대해 신규 교육을 보내고 교육비는 당사자 영양사가 부담하면 된다.
대한 영양사협회는 영양사들의 발전과 권익을 위해서 존재하는 협회일텐데
그간 임무에 소홀해서 영양사협회의 회관(각지역 및 중앙)을 옮기는 일이 일어나지 않았는지 반성해보아야 한다. 그리고 국시원에서의 영양사의 시험 시간이 왜 그렇게 짧은지도 스스로 생각해 보아야 한다.


2.
대학 식품영양학과의 교과과정에서는 식이요법과 단체급식의 과목에서
담당교수는 식단작성법을 필히 가르쳐야 한다.
식품학의 학문이 뒷걸음쳐서는 안된다.


각 대학 식품영양학과와
임경숙 대한 영양사협회장께서는
제안자의 뜻을 조속히 수렴해 주시기를 바란다.
참고로
제안자는 이명박 정부에서 식품안전의 과도기에 식품전문가들이 놀고 있으니 여가를 활용해서 ‘ 식품사전’ 을 만들자고 건의한 적이 있었다. 당시 학계에서는 ‘식품성분표’ 도 한국의 식품을 중심으로 다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열량을 표시한 식단의 작성은 ‘ 식품성분표’ 만 있으면 가능하다 ..............

0. 강낭콩의 열량 (100g)

- 탄수화물 27. 3g / 지방 1.2 g / 단백질 10g - 총 열량 160 kcal
* 산출근거 : 함량 × 생리적 열량가 = ( 27.3g × 4kcal ) + ( 1.2g × 9kcal ) + ( 10g × 4kcal ) = 109,2 kcal + 10.8 kcal + 40 kcal = 총 160 kcal

-- 영양학, 구재옥, 임현숙, 정영진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5년 135쪽 --

......................................

0. 곡류의 영양성분 : 예시 - 1996년 식품성분표, 농촌진흥청 제5개정판

- 멥쌀(100g당) : 수분 15.6 g / 단백질 6.5 g / 지질 1. 1 g /
당질 76.2 g / 섬유소 0.2g / 회분 0.4g/ 비타민 B1, 0. 13mg /
비타민 B2, 0.02 mg / 나이아신 1.3 mg - 총 열량 348 kcal

-- 식품학, 조영, 김영아, 김미정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2009년 216쪽 -
.....................................................

식품의 생리적 열량가 ...............

0. 탄수화물 - 4 kcal / g
0. 지방 - 9 kcal / g
0. 단백질 - 4 kcal / g
※ 알코올 - 7.1 kcal / g

-- 영양학, 구재옥, 임현숙, 정영진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5년 134쪽 --
.
등록 : 2016. 7. 28(목)
보건복지부 (장관 : 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충남도청, 광주광역시청, 제주도청 - 자유 게시판 (색조 파일)

**



충남 공무원 교육원 (원장 : 조한중)
전화 : 041, 635 - 6531
* 소식지 ‘역량’ 창간 - 중앙, 광역자치단체, 시군 및 공무원 교육훈련기관에 배포 : 연수원 활동의 홍보 및 정보의 공유 및 소통

-- 2016. 8. 15일, 충남도정, 756호 5면 --

**
*
*
*
*
*
- 식약처, 대한영양사협회 감사합니다 ! -
.............................................
*자료 - 이전 및 이후
.............................

0. 식약처에 식품분석 성분표가 등재되어 있어 영양사들이 참고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0. 대한영양사협회 홈페이지(KDA회원 자료실 -법률 이야기)에는
국민영양관리법, 식품위생법 등 관련 법령들(법 + 시행령 시행규칙)이 등재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2017. 7. 27(목) --

등록 : 2017. 7. 27(목)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부산민원 120 - 시민 참여 (시민 게시판) 외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