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치는 생선살이 맛이 있어 비교적 값이 비싼 생선이다. 그리고 생선 단백질은 육류의 고기보다 부패가 더욱 빨라서 바닷가의 생선 경매장은 아침 시간이면 파장이다. 그런데 시중에 먹갈치가 인기(?)가 없는가 보다. 먹갈치는 낚시로 잡지 않고 거물로 잡아 거물 속에서 파닥거려서 껍질이 은칼치와 달라 곱지 않은데 이로써 잡은지 오랜 칼치로 오해를 받아서.....
그리고 산 더덕이 도시의 길가에 나온지 오래 되었다. 예로부터 산 더덕은 고추장으로 요리하면 쇠고기의 맛이 나서 사찰에서 먹는 고급의 음식이었는데 요즈음 더덕을 키우는 이들이 많았어도 조리법이 쉽지 않아선지 순창고추장민속마을에서 더덕 고추장 장아찌가 나온다.
순창고추장 민속마을에 고추장을 주문할 때에는 더덕 고추장 장아찌도 같이 주문해서 조리해 보자. 조리법은 구매하는 곳에서 알려준다 --
.
.
.
작성자 : 안정은 ( 제안자 - 영양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조미료)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안상영 부산광역시장 / 윤석천 금정구청장 )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감사실 (실장 : 임병철 )
지방행정 주사(6급) 안정은(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 거문도 무염 냉동 생칼치
거문도 냉동 생칼치, 마른 칼치
칼치는 생선 중에서 맛이 있는 생선이다.
그래서 가격도 명태보다는 훨씬 비싼편이다.
조리는 칼치구이 또는
고춧가루, 호박, 두부, 무 등을 넣은 칼치조림으로 많이 해서 먹는다.
거문도(전남 여수시 삼산면 )의 갈치도 맛이 있다고 한다.
거문도는 전남 여수 연안 부두에서 출발하면 2시간의 거리에 있었다.
거문도는 일제 강점기 이전인 조선에서 개화기에 편승하여 영국인이 거문도를 점령한 ‘거문도 사건’ 으로 기히 알려진 섬이다. 즉 육지와 많이 떨어진 섬이라 식품 환경에 좋은 편이다.
거문도의 선착장은 앞의 섬이 바로 뒤편의 섬(선착장이 있는 곳=거문도)을 산처럼 막고 있어 방파제 역할을 하여 바람이 없고 따뜻하였다.
우리나라의 육지와 너무 멀어서인지 인가는 별로 없고 음식점 등 영업하는 집들이 바닷가에 형성되어져 있으며 학교도 파출소도 보이지 않고 경찰은 해양경찰관(=해경)의 차량이 바닷가 주위를 순찰하고 있었다.
요즈음(2015년 현재) 거문도는 쑥을 재배하고 있다고 한다.
거문도의 칼치는 매년 7월과 11월 사이에 잡힌다고 한다.
그래서 거문도 칼치는 생칼치를 냉동한 ‘ 냉동 생칼치’ 와
생칼치를 손질하여 섬에서 말린 ‘ 마른 칼치’ 가 나오고
주문에 의하여 택배로 보낸다고 한다.
마른 칼치는 칼치의 크기가 다소 작고
소금을 달리 사용하지 않고 뼈를 빼는 등의 손질을 한 후
해수에 담갔다가 민물에 한번 헹구어서 말린다고 한다.
대부분의 ‘자연 건조식품’ 은 건조과정에서 *파리 등의 접근을
완전히 차단하기는 어려운 보존식품이므로
조리시에는 사전 물에서 흔들어서
먼지를 헹구어서 내고 불에서 조림 등으로 잘 익혀서 먹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0. 무염의 냉동 생칼치 / 마른 칼치
- 크기 : 중, 소
- 대표 : 정매동 (전남 여수시 삼산면, 부인 : 김선례)
- 전화 : 061, 666 - 8181
-- 2013. 6. 1(토) ~ 6. 2(일), 거문도, 백도를 찾아서, 우리 고속관광--
-- 2015. 6. 18(목), 2015년 부산 국제식품전, 벡스코 --
등록 : 2013. 6. 3(월), 2013. 6. 29(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 정승) > 국민광장 > 여론광장
여수시청(시장 : 김충석) > 이야기 마당 > 자유 게시판
경남도청(지사 : 홍준표) > 자유 게시판
제안청, 부산시청(시장 : 허남식)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외
....................................
등록 : 2015. 6. 22(월)
제안청,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시민참여 시민 게시판
전남도청 (지사 : 이낙연 ) - 자유 발언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파리 등의 접근 ...................... (파리 접근 방지) : 파리를 오지 못하게 하려면 1회용의 투명 비닐 장갑에 물을 넣어서 천장에 걸어 놓으면 파리가 날아들다가 투명비닐 장갑에 비친 자신의 확대된 모습을 보고 놀라서 도망을 간다고 한다. (파리 눈의 특수성)
.
.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
제 목 : 어패류
일반인들에게 영양과 건강에 관한 지식이 널리 보급되고 강조되면서
수산식품이 저지방, 고단백의 건강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는 만큼,
어패류를 비롯한 수산물의 소비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중간 줄임 )
어패류는 다른 식품과 달리 생산량을 계획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 또한 어패류는 수조 육류에 비하여 조직이 연하고 상하기 쉬우며 세균의 오염을 받기 쉬우므로 유통과정에서 위생적으로 취급해야 한다.
-- 조영, 김영아, 김미정 공저, 「식품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9년 291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