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리길도 한걸음부터, 식품안전과 북의 외교도 마찬가지다.
제안자는 2017년부터는 통일기금을 마련해 온 국민운동의 기금을 북에 현물 지원하는 것으로 전환토록 제의했다. 그러나 기히 약속한 국민들의 기금은 전의 계좌로 입금해야 한다.
상기 현물지원이란 식량인데 식품안전은 한국민에게도 발등의 불이다.
그래서 국민으로부터 받은 통일의 기부금(2017년분부터)은 한국에 남는다는 쌀을 보내는 것이 최우선이다. 정부는 통일을 열망하는 국민들의 뜻을 받아드려야 하며 돈을 보내면 북에서 무기를 생산한다고 하니 돈을 보내서는 안된다. 그리고 구정권에서 라면을 영세서민들에 주었듯이 북에 라면을 보내서도 안된다. 그리하자면 북의 외교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나 그런 성의를 남에서 보여야 남북의 긴장이 완화된다
그리고 북의 외교도 식품안전도 대통령 혼자서 할 수 없다. 통일과 관련해서는 평화통일자문위원회가 있고 식품안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조직을 이용해야 한다 -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
주 제 : 식품 안전
제목 : 식품의 자급자족
제안자가 과일에서 수입의 바나나가 좋은 식품이라고 여러차례 언급을 하니 주위에서 ‘바나나가 싫다’고 하는 이가 적지 않다. (학생과 어르신)
아마 식품의 자급자족과 관련해서 인듯하다.
감은 거름없이 자라는 열매인데 요즈음 정부식품으로 내어 놓은 상주 곶감의 재료인 감도 역시 그러한지 ?
여수 돌산 갓김치의 갓도 마찬가지다. 돌산에서 자라는 갓에 거름이 있었을리 없는데 요즈음도 그리 클까 ?
바나나는 식품의 질감(=텍스춰)이 어르신이나 아기에게 먹기 좋고 또
적당한 당도를 가지고 있고 키울 때 인공 비료 없이 그대로 채취되는
열대지방의 과일이라 여겨진다. 마치 한국의 밤처럼.
밤과 바나나를 비교하면 바나나가 우수한 식품이다. 바나나는 그대로 벗겨서 먹으면 된다. 상세한 영양성분은 제쳐두고서이다. 그래서 수입 바나나가 귀한 시절에서는 식품전문가들은 환자식에 바나나가 좋다고 하고 실제 한국에서는 바나나가 매우 비싼 과일이었다.
상기에서 언급한대로 국민들은 식품의 자급자족을 원하는 것은 확실하
지만 그 소비자인 학생과 어르신은 식품의 생산자가 아니라는 것이다.
한국민들이 식품이 먹기 싫다고 안 먹고자 하면 귀촌해야 한다. 그러나 농촌에 농토가 있는 국민이 몇이나 되며 설령 농토가 있다고 우리의 식품이 농토에서 모두 해결이 되는 것은 아니다.
농민들은 식품인 과일을 증산해서 개발도상국의 이웃 국가에 수출해서 외화벌이에 너무 치중하지 말고 친환경의 식품을 만들어서 국내인들에 제 값을 받고 팔아야 한다. 그리고 농수산물은 부가 가치세가 붙지 않는데 이는 질 좋은 식품을 국민들에게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팔라는 정부의 방침이다. 그리고 농촌의 농토는 땅 주인이 자작해야만 농토를 취득할 수 있는데 이것이 농지법이다.
식품의 생산(제조가 아닌)에는 이와 같이 특혜가 있으므로 농어민들은 친환경의 식품 생산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상기에서 과일을 설명했는데 한국인에게서 없어서 안되는 것이 김치이다. 영양적 가치를 떠나서 식습관이며 이 식습관은 쉽게 타파할 수도 없다. 실제 김치는 항암 식품(유산균 식품)으로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식품이다. 제안자가 김치 타령을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비살균 식품으로서의 김치의 단점은 보완하면 된다. 실제 정부 식품으로 나온 고춧가루는 해삽의 규제를 받고 있다. 얼마나 실행이 되느냐는 제쳐두고서이다.
북의 문제,
위정자들은 낫 놓고 기역자를 몰라서는 안된다.
북의 문제가 아무리 위급해도 그리고 전쟁 중에도 국민들은 먹어야 한다.
비상식품인 라면을 먹고 전쟁하면 된다고요 ?
북의 문제, 평화통일자문위원님들은 다 무얼하시는지.....
농어촌은친환경 식품을 생산해서 제값을 받아야 한다.
어촌도 하수구를 만들어서 한국인들이 근해에서 잡은 물고기를 먹을 수 있어야 한다. 제주도의 칼치도 거문도의 갈치도 목이 새까맣다.
--2017. 9. 16(토) --
등록 : 2017. 9. 16(토)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부산민원 120 - 시민 참여 (시민 게시판)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