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이야기 명심보감 (졸부의 실언)

작성자
박 * *

寇萊公六悔銘云 官行私曲失時悔요 富不儉用貧時悔요 藝不少學過時悔요 見事不學用時悔요 醉後狂言醒時悔요 安不將息病時悔니라

구래공육회명운 관행사곡실시회요 부불검용빈시회요 예불소학과시회요 견사불학용시회요 취후광언성시회요 안불장식병시회니라

구래공의 《육회명》에 말하였다. “벼슬아치는 사사롭고 잘못된 일을 행하면 벼슬을 잃었을 때 뉘우치고, 부자는 검소하게 사용하지 않으면 가난해졌을 때 뉘우치며, 재주는 어려서 배우지 않으면 시기가 지났을 때 뉘우치고, 일을 보고서 배우지 않으면 사용할 때 뉘우치며, 술 취한 뒤에 경망하게 말하면 술이 깼을 때 뉘우치고, 편안할 때 삶을 기르지 않으면 병이 들었을 때 뉘우친다.”

*寇: 도적 구. 원수 구. 해칠 구.

*萊: 명아주 래. 거칠 래. 잡초 래.

*寇萊公[구래공] 송나라 때 사람 구준(寇準)이다. 자는 평중(平仲). 시호는 충민(忠愍). 구래공이란 뒤에 내국공(萊國公)에 봉해졌기 때문에 부르게 된 것이다. 벼슬은 돈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에 이르렀고, 저사에 《파동집(巴東集)》이 있다.

*悔: 뉘우칠 회. 뉘우침 회.

*銘: 새길 명. 명 명.

*官: 벼슬 관. 마을 관. 벼슬아치 관. 기능 관.

*行: 다닐 행. 행할 행. 갈 행. 항렬 항.[行列(행렬/항렬) 雁行[안행/안항)]

*私: 사사 사. 사사로이 할 사. 가족 사. 사사로이 사.[私淑(사숙)]

*曲: 굽을 곡.(마음이 굽음) 굽힐 곡. 곡진할 곡. 자세히 곡.

*私曲[사곡] 바르지 못함. 사곡(邪曲). 사회(私回).↔公直[공직]

*失: 잃을 실. 허물 실.[過失(과실)]

*富: 부자 부. 넉넉할 부. 넉넉히 할 부. 행복 부.

*儉: 검소할 검. 넉넉지 못할 검. 적을 검. 흉년들 검.

*用: 쓸 용. 쓰일 용. 써 용.

*藝: 재주 예. 재주 있을 예. 법 예.

*少: 젊을 소. 젊은이 소. 버금 소.

*醉: 취할 취. 취하게 할 취.

*狂: 미칠 광. 경망할 광.(경솔하고 조급함) 사나울 광. 광병 광. 광인 관.

*醒: 깰 성. 깨달을 성. 깨울 성. 깨우칠 성.

*將: 장차 장. 장수 장. 써 장. 기를 장.[將養(장양)]

*息: 쉴 식. 아들 식.[子息(자식)] 살 식.[棲息(서식)]

*將息[장식] 양생(養生)함.

*養生[양생] 1 병(病)에 걸리지 않도록 섭생(攝生)함. 2 부모 생존 시에 잘 봉양함.

*病: 병 병. 근심 병. 앓을 병.(병을 앓음)







徽宗皇帝曰 學者는 如禾如稻하고 不學者는 如蒿如草로다 如禾如稻兮여 國之精糧이요 世之大寶로다 如蒿如草兮여 耕者憎嫌하고 鋤者煩惱니라 他日面墻에 悔之已老로다

휘종황제왈 학자는 여화여도하고 불학자는 여호여초로다 여화여도혜여 국지정량이요 세지대보로다 여호여초혜여 경자증혐하고 서자번뇌니라 타일면장에 회지이로로다




휘종황제가 말하였다. “배운 사람은 이삭 팬 벼와 같고 나락과 같으며, 배우지 않은 사람은 쑥과 같고 풀과 같도다. 이삭 팬 벼와 같고 나락과 같음이여! 나라의 정한 양식이고, 세상의 큰 보배로다. 쑥과 같고 풀과 같음이여! 밭가는 사람이 미워하고 싫어하며, 김매는 사람이 번거로워하고 괴로워한다. 훗날 담장에 얼굴을 맞닥뜨리면 그것을 뉘우친들 이미 늙었도다.”

*徽: 아름다울 휘.[糸+微} 탈 휘. 표기 휘.

*宗: 마루 종.[宀+示(神事)] 밑 종. 겨레 종. 갈래 종.

*皇: 임금 황.[白(빛을 내쏘는 해)+王(큰 도끼)] 클 황. 훌륭할 황.

*帝: 임금 제.[나무를 짜서 조인 형태의 신을 모시는 대(臺)] 하느님 제.

*徽宗皇帝[휘종황제] 송나라 제8대 임금(재위[在位}기간은 25년, 1100~1125)으로, 성명은 조길(趙佶)이다. 그는 온갖 예술에 통하고 글씨와 그림에도 능했으며 도교를 숭상하여 스스로 ‘교주도군황제(敎主道君皇帝)’라 일컬었다. 아들 흠종(欽宗)과 함께 금나라에 잡혀가 선화(宣和) 4년(1122)에 오국성(五國城)에서 죽었다. 오국성은 우리나라 함경북도 회령(會寧) 서쪽, 강 건너 지금의 만주 길림성 연길현(吉林省 延吉縣)의 운두산성(雲頭山城)으로, 거기에 휘종의 무덤이라는 황제릉(皇帝陵)이 있다.

*禾: 벼 화. 곡식 화. 모 화. 줄기 화. 이삭 팬 벼 화.

*稻: 벼 도.[禾+舀(퍼낼 요) 절구에서 꺼내는 곡물]

*兮: 어조사 혜.

*蒿: 쑥 호. 김 오를 호. 고달플 호.

*草: 풀 초. 풀 벨 초. 거칠 초. 처음 초.

*耕: 밭갈 경.[耒(쟁기 뢰)+幵(평평할 견) 틀. 테두리 晝耕夜讀(주경야독)] 쟁기 경.

*憎: 미워할 증.[憎愛(증애) 憎惡(증오) 憎疾(증질) 憎嫌(증혐) 忄+曾(거듭할 증) 겹쳐 쌓이다] 미움 받을 증. 미움 증.

*嫌: 싫어할 혐.[嫌惡(혐오) 嫌厭(혐염) 女+兼(겸할 겸)] 의심할 혐.[嫌疑(혐의)] 미움 혐.

*鋤: 호미 서.[金+助(도울 조) 모의 성장을 돕는 기구] 김맬 서. 없애버릴 서.

*煩: 번거로울 번. 번민할 번. 번거롭게 할 번. 번열증 날 번[火+頁 열이 있어서 두통(頭痛)이 나다]

*惱: 괴로워할 뇌.[忄+腦(골 뇌) 마음과 머리에 관한 것. 걱정] 번뇌할 뇌. 괴롭힐 뇌. 괴로움 뇌.

*煩惱[번뇌] 욕정(慾情) 때문에 심신(心神)이 시달림을 받아서 괴로움.

*他: 다를 타. 남 타.[自他共認(자타공인) 佗의 속자.]

*他日[타일] 1 이전. 전날. 2 나중. 후일.

*面: 낯 면,[首+口] 만날 면. 뵐 면. 향할 면.[不學牆面(불학장면)《書經》]

*墻: 담 장.(=牆) 경계 장. 관 옆널 장.

*牆: 담 장.[爿(조각 장)+嗇(보리 같은 곡물을 간수하는 곳간의 상형)]

*面墻[면장] 담을 면한다는 뜻으로, 식견(識見)이 좁음을 이름.

*牆面[장면] 담을 대하고 있으면 아무 것도 보이지 않음. 무식한 자의 비유.

子謂伯魚曰 女爲周南召南矣乎아 人而不爲周南召南이면 其猶正牆面而立也與인저

자위백어왈 여위주남소남의호아 인이불위주남소남이면 기유정장면이립야여인저

《논어(論語)》<17. 양화(陽貨)> 10장

*悔: 뉘우칠 회.[忄+每(어두울 매) 어리석음의 뜻] 뉘우침 회. 회괘 회.

*之: 어조사 지. =不學(불학)

*已: 이미 이.[已往之事(이왕지사)] 말 이. 그칠 이. 버릴 이. 너무 이. 따름 이.

*往者不可諫 來者猶可追(왕자불가간 내자유가추)-논어 18.미자편 5장

지나간 것은 간할 수 없거니와 오는 것은 오히려 따를 수 있으니.

*老: 늙을 로.[老少(노소)] 늙은이 로. 어른 로.







다음은 주자께서 말씀하신 열 가지 뉘우침입니다.

또한 참고로 하시기 바랍니다.




주자십회(朱子十悔)




1. 不孝父母, 死後悔 (불효부모 사후회)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돌아가신 뒤에 뉘우친다.

2. 不親家族, 疎後悔 (불친가족 소후회)

가족에게 친절히 하지 않으면, 멀어진 뒤에 뉘우친다.

3. 少不勤學, 老後悔 (소불근학 노후회)

젊을 때 부지런히 배우지 않으면, 늙은 뒤에 뉘우친다.

4. 安不思難, 敗後悔 (안불사난 패후회)

편안할 때 어려움을 생각하지 않으면, 실패한 뒤에 뉘우친다.

5. 富不儉用, 貧後悔 (부불검용 빈후회)

부유할 때 아껴 쓰지 않으면, 가난하게 된 뒤 뉘우친다.

6. 春不耕種, 秋後悔 (춘불경종 추후회)

봄에 밭 갈고 씨 뿌리지 않으면, 가을이 된 뒤에 뉘우친다.

7. 不治垣墻, 盜後悔 (불치원장 도후회)

담장을 미리 고치지 않으면, 도둑맞은 뒤에 뉘우친다.

8. 色不謹愼, 病後悔 (색불근신 병후회)

이성을 삼가지 않으면, 병든 뒤에 뉘우친다.

9. 醉中妄言, 醒後悔 (취중망언 성후회)

술 취해서 망언한 것은, 술 깨고 난 뒤에 뉘우친다.

10. 不接賓客, 去後悔 (부접빈객 거후회)

손님을 잘 대접하지 않으면, 손님이 떠난 뒤에 뉘우친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