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변검사 그리고 ( 2)

작성자
안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변검사 그리고

대장암
현재 2년마다 하는 국민 건강검진에서 대장암 검사는 변검사에서 이상 징후가 있어야 (정밀) 검사토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병원(내과)에서는 대장 내시경과 위 내시경을 같이 할 수 있다고 한다.
한국인은 매운 음식을 많이 먹어서인지 위 조영 촬영, 위 내시경 검사를 많이 하고 있고 위암 환자도 많은 듯하다

요즈음 농촌에서는 채소를 분변(대변)으로 키우지를 않아 한국인의
몸에 기생충이 적다고 하지만 민물의 생선회, 육회 등을 먹으면 디스토마 등 기생충이 몸에 내재해 있을 수 있다. 생채를 즐겨 먹는 현대인들(서구인 포함)은 일년에 1회, 기생충 검사와 변검사를 할 것을 권한다. 정부( 국민건강검진처 - 부산은 건강관리협회 부산지부 등)는 대장암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 1년에 1회, 변검사를 무료로 하도록 하고 있으나 기생충 검사는 유료라고 한다.

국민들의 *지나친 과일 섭취는
포함된 당분으로 과체중을 가져오므로
위생적으로 처리된 식재료를 사용해서 담근 김치 (김장김치, 열무김치 등)를 먹을 것은 권한다. (김치에는 유산균 + 비타민 C)
그리고 무로 담은 깍두기는 치아가 부실한 어르신의 반찬으로는 적절치 못하다. 며칠 전 신문에 의하면 앞으로 식품에서 실버 식품(어르신이 드실 수 있는 식품)을 정한다고 한다. 사과, 감, 깍두기는 실버 식품이 못된다. 그러나 홍시, 고구마, 감귤, 바나나 등은 실버 식품인데 홍시는 많이 먹으면 변비 증상(변이 잘 배출되지 않는 증상)이 오므로 하루 2개 이상 드시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끼니를 굶으면
인체의 *소화기가 운동에서 장애를 가져와서 음식물이 체내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다. 음식물 찌꺼기가 대장에 너무 오래 머물면 대장에서
음식물의 찌꺼기 성분(물 포함)도 흡수해서 혈액도 혼탁해지고 동시에
변이 대장안에서 굳어져 변비 증상이 오므로 “ 쾌변해야 장수한다 ” 는 말은 괘변이 아니다.
____________________
*소화기가 운동...............
성인의 소화기는 입, 식도, 위, 소장(2.85), 대장 (1.1), 합쳐 (4.6미터) 이다.
소화기의 운동은 인체가 누워있어도 스스로 운동을 하는데
연동 운동(음식물을 밀어 보내는 운동) /분절 운동 (일정한 간격으로 오므라졌다 늘어났다 하는 운동으로 소화액을 뒤섞는 운동)이다.
이 두 운동은 위(=위장관)와 소장에서 특히 왕성하게 일어나는 소화작용 (운동)이다.
끼니를 굶으면 연동운동에 장애가 와서 결국 대장에 음식물찌꺼기가
오래 머물러 피가 혼탁해지고 변비 증상이 나타난다.

참고로 비만한 사람들이 과일도 줄여야 하는 이유는
과일의 당분(과잉 에너지)이 지방으로 변해서 인체(복부 등)에 축적이 되고 이 지방은 나아가 콜레스테롤이 높아지는데도 영향을 미치므로 과체중인 사람은 과일로써 암을 예방하려고 하지 말고 안전한 정부식품을 먹으면서 체중 조절을 해야 한다. 즉 안전한 식품을 먹는 것이 우선이다.
야채(상추, 봄동, 쑥갓 등의 생채 식품과 브로콜리, 두릅, 삶은 쌈채소 등)에는 당분이 적고 비타민 C가 많다. 야채는 보통 개량 된장에 찍어서 먹는데 정부의 빅딜 식품으로 개량 된장을 생산해야 한다
그리고 건강한 성인들은 인삼으로 숙성(대웅 약탕기, 오크 등에 의해)된 홍삼액 및 홍삼탕을 꾸준히 먹으면 소화가 잘되고 대변이 잘 나오며 뱃살이 빠지고 (지방 분해) 소변도 잘 나오게 되는데 이로써 결국 혈액 순환이 개선되고 노화 및 중풍도 예방하는 결과를 낳는 것이다.
홍문화 약학박사가 감수한 [ 생활한방 . 민속약 ](한국자연의약연구회 편집 8쪽)에서는 인삼을 강장보익약(强壯補益藥- 기력과 기운을 돋우는데 도움을 주는 약)으로 분류하고 인삼을 맨 앞에 기록했다

참고문헌
- 생리학 / 강만식, 김해리, 김성기 공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8년 64쪽),
- 인체생리학 / 이연숙, 구재옥, 임현숙, 강연희, 권종숙 공저 / 파워북 2011년 130쪽, 144~145쪽.

-- 2017. 11. 10(금) --
등록 : 2017. 11. 10(금)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민원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
*
*
*
☆ 1

2017년 11월 16(목) 동아일보 A5면(신규진 기자)에는
15일자 북에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뚫고 귀순한 북한 병사(키 1.7m / 체중 60kg)가 군사분계선을 넘자 북에서 40여발의 총을 가해 한국의 외과의사(이국종 교수-아주대 의대)가 2차례의 수술을 했다. 수술을 할 때 병사의 장에는 수십마리의 기생충이 있었고 그 중에서는 27cm의 기생충도 있었다고 했다.
그리고 장에서의 음식물이 대부분 옥수수였다고 했다.

한편 2017년 11월 16(목) 부산일보 34면(김상훈 기자)에는
라오스(인민민주공화국)에
민간단체인 여민락 (부산약사포럼으로 회원이 80여명 / 회장 : 성일호)에서 오지 마을인 깜빠내빌리지에 지난 11월 11일, 깜빠내-여민락 모자 자선병원을 개원했는데 개원식에 마을 주민 300여명이 모였다. 기공식은 지난 7월말, 여민락에서는 이 병원의 건립 비용, 의료 장비를 후원했다. 여민락의 상임 부회장인 임무홍씨(65)가 ‘ 깜빠내-여민락 모자자선병원’ 한국병원장을 맡았다.
이 병원은 순수 민간단체의 힘으로 지었으며 이 깜빠내는 병원과 70km의 거리로 의료 사각지대였으나 라오스 현 대통령의 고향이다. 100평 규모의 병원(입원실, 약제실, 산부인과 검사실, 진료실 등)에는 각방 입구에 회장 성일호씨, 임무홍씨, 임현숙씨 등의 여민락 회원들과 박희정 부산시약사회장 등 고액 기부자의 명패가 붙어 있었다.
임병원장은 경남고, 서울대 약대를 졸업한 뒤 무역업체를 운영했으며 2004년부터 부산시 서구 아미동 부산대병원 앞에서 123약국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전
NGO인 (사)아름다운 사람들(이사장 : 권경업 / 사무처장 : 원무현)이 2015년 라오스 시앵쿠앙주의 분틴 마을에 개원한 ‘분틴 -여민락 모자병원’은 2016년 11월 라오스 정부로부터 오지마을 표준병원으로 지정됐다. ‘ 깜빠내-여민락 모자자선병원’ 은 ‘분틴 -여민락 모자병원’ 과 비슷하게 지어졌다.
라오스라는 국가는 동남아시아의 국가로 베트남과 태국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 2017. 11. 17(금) --

등록 : 2017. 11. 17(금)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민원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
*
*
☆ 2
- 김치는 항암식품이 맞는가 ? : 유산균, 비타민 C, 식이 섬유소-

~~~~~~~~~~~~~~~~~~~~~~~~~~~

식이 섬유소의 생리적 기능 .................

0. 구강의 저작활동을 자극하여 타액 흐름과 위액분비 촉진
0. 위장의 포만감 유발
0. 배변량 증가
0. 장내 음식물의 통과속도 정상화
0. 대장의 발효를 위한 기질 제공(가용성 섬유소) → 단쇄지방산 생성
0. 음식물이 위장 통과 속도를 빠르게 하여 영양소의 소화와 흡수 속도를 저하 (단점 - 치아가 부실한 어르신들은 그로써 소화장애 )
0.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가용성 섬유소)


대장암 예방 효과 .........................
대장암은 미국인의 암 사망 원인 중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여러 역학 조사와 ‘ 환자 - 대조군’ 연구에서
식이 섬유소가 많은 곡류, 과일, 채소의 섭취가 적은 경우 대장암의 발생빈도가 높았고 또 지방, 육류, 열량의 섭취가 많은 경우에도 번번히 발생하였다.
식이 섬유소(곡류, 과일, 채소)가 대장암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다음의 몇가지 기전을 제시할 수 있다.
즉 식이 섬유소가 가지고 있는 수분에 의해 발암물질이 희석되거나 / 섬유소와 발암물질이 직접 결합되어 흡수가 되지 않거나 / 혹은 장내 통과 속도가 빨라짐으로써 대장벽과 발암물질이 접촉을 줄이기 때문으로 추측하고 있다. 따라서 대장암은 고섬유 식사로 예방할 수 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과일과 채소의 식이 섬유소가 대장암의 예방에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다고 한다. 이는 섬유소의 단독 역할이기보다는 과일과 채소에 있는 비타민C 및 카르티노이드(비타민 A의 전구체)의 섭취 증가와 상대적 지방섭취 감소 및 여러 요인의 복합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식이 섬유소를 영양보충제의 형태로 섭취하는 것보다는 식품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비타민 C나 카르티노이드류가 동시에 섭취되므로 암의 예방에 더욱 효과적이다.
그 외 칼슘 부족도 대장암과 관련 있으며 육체적인 활동이 많은 경우에는 대장의 운동성을 향상시켜 대장이 발암물질과 접촉하는 기회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 21세기 영영학 / 최혜미 교수 외 18인 - 전문가 구재옥 교수 4인 / 교문사 1998년 53쪽 --

(※ 최혜미 교수는 서울대학교 식품학과 교수로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교에 유학 공부하였으므로 상기 곡류, 과일, 채소의 식이 섬유소는 한국에서는 김치의 형태로 비교적 쉽게 섭취할 수 있다 )

-- 2017. 11. 21(화) --

등록 : 2017. 11. 21(화)
제안청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