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나라를 위해 헌신한 공무원을 왜 괴롭히나 ?

작성자
안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전직 대통령의 발언


2016. 11. 21일(월),
이 전 대통령 (이명박 대통령)은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에서 서거 1주기를 앞둔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 묘소를 참배하고 나서 “우리 국민이 아마 시위에 나온 사람이나 나오지 않은 국민이나 똑같은 심정일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 ( 중간 줄임 ) -
한편 이 전 대통령은 자신의 손으로 차기 대통령을 만들겠다는 취지로 언급했다는 최근 한 언론보도에 대해
“그런 얘기는 내가 한 적이 없다” 고 부인했다. 최근 발간된 ‘월간조선’에서
이 전 대통령의 핵심 측근은
.....................................................................................................................
이 전 대통령이 “차기 정권을 반드시 내 손으로 창출하겠다”고 밝혀왔다고 전했다
-- 인터넷, 서울경제, 2016. 11. 21, 김광수 기자 --
..................................................................................................................

상기( 점선 안) 내용의 언급은
현 정부에서 국정이 거의 마비되다시피한 현 정부, 그 이후의 국정에 대해
요즈음 국민들이나 정치권에서 우려를 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
전직대통령으로서 적극 돕겠다는 취지로 들린다.
국정의 연속성, 식품 안전과 관련한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식품 전문가의 발령 등등을 포함하여
전직 대통령으로서 결코 ‘ 내몰라’ 라 하지는 않겠다고 보여진다.
또 한편,
현정부에서 잘못되어 있는 국정(창조 경제 등 )을 바로 잡는 등
‘ 적극적인 관여’ 도 하겠다는 의지가 포함되어져 있다.
지난 대선에서 대통령 후보로 나섰던 안철수씨가
식품 안전의 국정과 관련해서 미래추진기획단을 구성하고 그 기획실장으로 이명박 대통령의 연설문을 작성했던 이태규씨를 정하겠다고 발표한 것과 관련하여 이태규씨에만 맡겨놓지 않겠다는 것이다.
현 대통령이 취임 초부터 국민들의 고통(질병으로 인한)을
1/10만이라도 생각하고 고민했더라도 오늘의 지경에 이르지 않았을 것이다.
제안자는 현 정부 초기, 현 대통령은 ‘ 대통령으로서 자세가 되어 있지 않다’ 고 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식품 안전(식품위생 ×)의 국정은 전례가 없는 국정이다.
공무원의 제안서(계획서 포함)는 제출되어져 있다. 그러나 기고 나는
전문 관료들이 있는데 무슨 걱정이랴 ?
........................................................................................................
참 고
.................................
* 미래 추진 기획단 --- 안철수 후보 진심캠프의 미래 기획실장은 이태규씨 (현 이명박 대통령의 연설문을 작성) : 2012. 10. 19(금), 내일신문
..........................................................................................................

참고로 식품안전의 실현에서도
국가나 지방정부에서 행정서기(또는 지방행정서기)를 뽑듯이
지방식품생산직들을 뽑아서 식품의 생산을 모두 맡길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예전 이씨 조선시대에는 여성들이 의류(한복)를 집에서 모두 만들어 입었는데 요즈음은 98% 그렇지 않다. 그러나 식품(식품제조 = 식품조리)은 해방 후의 의류산업과 같을 수는 없는 것이다.
1999년 10월 (17년 전) 제안서를 받은 김대중 대통령은
‘ 방향을 잘 잡았다 ’ 고 했다.
그리고 한참 이후에는 ‘ 아직 대안이 없다 ’ 고 했다.
.
-- 2016. 11. 22(화) --

등록 : 2016. 11. 22(화)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어록 ( 1999년 10월 ~ 현재 )

..........................................................
- 전 이명박 대통령 -
1. 잘 먹고 잘 자면서 전기(?)는 왜 끊나 ?
- 재임 중 -

2. 나라를 위해 헌신한 공무원을 왜 괴롭히나 ?
- 2018년 1월 제안자 아버지의 喪, 49제 중 -

3. 전 이명박 대통령은 국가정보원의 특수 활동비 수수 의혹과 관련한 검찰수사와 관련하여 “ 많은 국민들이 ........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정치보복이라도 보고 있다 ” 고 주장했다. (- 동아일보 1면, 2018. 1. 18일 목요일 최고야 기자 )
......................................................................

상기 3의 어록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식품안전과 관련하여 2009년 노무현 대통령이 사망해서 전정부로부터 식품의 안전에 대한 국정을 제대로 인계를 받지 못한채 식품안전의 국정을 추진하였고
현 문재인 정부가 이를 빌미로 전 이명박 대통령을 검찰 수사하는 것은 곧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보복을 자신에게 한다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으로 이해가 된다. 이는 제안서를 받은 김대중 정부에서 제안서 접수증을 제안청에 발급하지 않았음에 있었고 따라서 역대 대통령도 식품안전에 대한 추진기구도 없이 제안 사항인 식품안전을 그대로 추진해 왔음에 있다. 이로써 식자충에서는 식품안전의 국정 추진의 방법을 ‘ 다람쥐의 재주 타기’ 로 비유하고 있는 것이다.


- 발은 제2의 심장 / 여럿이면 소도 잡는다고 ? -

그런데 김씨들
- 두 김씨 여성 : 금정구청 행정자료실에서 제안자가 점심시간 민원을 보아주지 않는다고 점심을 먹으러 가지 못하도록 몸으로 막은 두 김씨 여성

- 김대봉 전 산부인과 원장 : 금샘노인 요양병원을 운영하면서 제안자의 아버지에게 직접 입원을 해도 “ 외출을 시켜 준다” 고 입원시킨 후 곧 사지를 묶고 대변 및 소변의 기저귀를 채우고 수면제를 먹이며 중환자실로 옮긴 김대봉씨,
아버지는 입원 전 매일 지팡이를 짚고 부산지하철 1호선을 타고 연산동 복지관을 출퇴근하다시피 하셨다.
당시 지병은 고혈압 뿐이었으므로 고혈압약만 하루 1회 드셨다. 10여년이 넘도록 외출 중 점심을 굶어 노쇠하여 아들이 입원(아버지 동의)을 시켰는데 입원 2년 후 사망진단(2018년 1월 11일자) 은 고혈압 외 심부전이 있었는데 입원하기 훨씬 이전, 어디서 ‘심장이 안좋다’ 는 말이 있어서 아버지는 침례병원에서 상담을 받은 적이 있다고 제안자에 전해서 제안자는 아버지가 요양병원에 2016년 1월 입원한 후 침례 병원에 전화로 문의를 하니 진료사항을 검색해 보더니 ‘ 심장이 좋지 않았다면 검사를 하였을 것이지만 그런 사항은 없다’ 고 했다. 아버지는 1980년대 노인교육(=노인대학)에서 서양 춤을 배우셨다. 당시 발바닥은 제2의 심장이라며 춤을 많이 권장하였다. 제안자는 요양병원에의 입원을 위한 내과의 기본검진에서 푸른내과에서 김민종 의사가 아버지의 치매를 걱정해서 제안자는 “내과는 치매를 진단하는 곳이 아니다” 라고 하면서 “ 아버지는 매일 연산동에 춤을 추러 다닌다” 고 하니 ‘ 파터너 할머니를 누구시냐’ 고 물었으나 아버지는 대답을 않으셨는데 제안자는 이에 대해 ‘그것은 개인의 프라이버시’ 라고 의사에 말했다.
아버지는 연산동 복지관 주위에서 일주일에 2,3회는 춤을 추고 2,3회는 민요를 배운다고 하셨다. 장구는 제안자의 이름이 적힌 제안자가 사용하던 장구였는데 아버지는 4,50대 장년시절에는 청룡리 고향 마을에서 정초 보름이 되면 어르신들과 같이 ‘마을 지신 밟기’ 를 했는데 그 소리는 장구를 치는 아버지가 주로 하셨다. 성주풀이가 그것이었다. 아버지의 입원은 사전 김대붕 원장과 가족들이 사전 말이 있었던 듯 했고 이에 원장의 허락이 있어서 추진을 한 듯한데 왜 삼천포로 빠졌나 ?
그 병원은 본가와 아주 가까워서 입원해 계시면서 아버지의 생신날이나 어머니 제삿날에는 걸어서 충분히 외출을 할 수 있는 곳이었다.
그리고 아버지는 입원의 요건에서는 고혈압과 노쇠로 입원이 가능하다. 입원비가 매달 50만원, 기타 기저귀 값 및 티슈 값도 병원에 별도로 준다고 했고 또 아들은 매달 아버지의 건강보험료 17만원도 내고 있었다. 그리 입원을 시킨 것은 아버지가 남은 여생(구순을 넘은 나이)을 더 편안하게 보내시도록 보낸 것이었다. 그리고 아버지가 입원을 하니 딸들은 당장 아버지 뵙기가 수월했으며 아버지의 식사 및 목욕이 병원에서 해결이 되었다. 그리고 병원은 입원 후 기저귀를 채우고 입원 6개월 후쯤 발이 굳어진다고 하여 아버지께 “ 이 병원을 퇴원을 하시겠냐 ? ” 고 문의를 드리니 “ 네 올케가 내 기저귀를 채울 수는 없다” 고 하시면서 “ 귀가(퇴원)는 않겠다” 고 하셨다.
제안자는 처음부터 병원이 수면제를 먹이는 것도 주위 환자로부터 들었고 수면제를 왜 먹이는가 아버지께 물어보니 주위 환자는 아버지가 ‘ 밤에 안자고 낮에 잔다’ 는 이상한 말을 했다. 제안자는 본가에 명절날 등 자주 찾아 뵙고 아버지와 돌아가신 어머니의 방(즉 안방)에서 잤는데 아버지의 잠습관을 어찌 모를 것인가 ?
입원 후 1년 5개월쯤 후에도 병원은 고혈압 약 외 가루약(수면제 포함)을 먹여서 어느 안과에서 백내장 수술을 받을 당시 사전 검진사항(2015년 가을 검진)을 제출하니 그제야 병원은 수면제를 끊고 고혈압약만 처방했는데 이도 아침 저녁 2회에 고혈압의 약을 처방해서 문의를 하니(박원장) 약의 강도가 낮아서 그리(2회) 처방한다고 답했다. 진단서를 다시 제출한 후 약을 떼 아버지께 제안자는 “ 수면제를 먹다 약을 떼면 밥맛이 없다” 고 노래를 불렀는데도 아버지는 밥이 도저히 넘어가지 않는다고 했는데 어쩜 침대에서 꼼짝을 못하고 먹은 약으로 오른쪽의 발이 틀어지고 굳어서 남은 삶에 대한 의욕을 상실했을 듯 싶었다. 그에는 약을 떼면서 오는 무기력증(금단증상이라 명명)이 보태어 졌을 것이다.
제안자는 “ 휠체어 탄다고 죽지 않는다” “ 아버지의 입맛은 차츰 돌아온다 ” 고 아버지께 직접 말씀 드렸으나 후에는 침대에서 누워 계시고 언니들이 와도 “ 침대에 앉아 있으면 뭐하느냐 ” 고 하시며 침대에 누우셨다고 했다.
그에다 가족들은 사약과 다름없어 보이는 영양제 주사를 수시로 맞힌듯한데....... 2018. 1. 11일 새벽 2시 아버지가 영면하시기 전날에도 영양제 주사를 맞았다고 들었다.
그리고 혹시 푸른내과 김민종 의사가 요양병원에 입원한다는 아버지에 엉터리 진단서를 발급한 것은 병원에서 어르신이 죽으면 병원에서 사망진단서를 발급하는 모순을 사전 시사하기 위해 엉터리 진단서를 발급했던 것은 아닌지 ?
수면제를 끊고 아버지가 밥맛이 없다고 하니 구내 식당(영양사)에서는
미음 및 연죽을 정성을 들여 내어 놓는 듯 했으나 아버지는 밥이 넘어가지 않는다고 하시며 반쯤을 드셨으므로 제안자는 이 미음은 청장년들의 양이니 적게라도 드시라고 했으나 이후에도 밥이 잘 넘어가지 않는다고 하셨다고 한다( ※ 2015년도 한국건강관리협회에서 받은 아버지의 국민건강검검진에서 제안자는 따라가서 검진을 받고 추가로 아버지는 위조영촬영을 받았는데 당일 검진측은 이상이 없다고 했다) 즉 아버지는 병원에서 입맛을 회복하는 중에 돌아가신 것이다. 아버지의 사망원인(심리적)은 보행이 불능함에 있었고 이의 원인은 잘못된 약의 투약(약의 오남용)과 기저귀를 채움에서 왔다고 제안자는 추정한다. 즉 병원은 입원 전 어르신에 외출을 시켜 준다고 하고 입원을 시킨 후 사전 말도 없었던 기저귀를 채우고 수면제를 먹인 것이다. 이 두가지는 김대봉 병원장이 어긴 것이다.
그리고 기관청(보건복지부 및 건강보험공단)은 어르신들에게도 건강보험료를 청년들과 다름없이 받음에도 어르신이 장기 요양병원에 입원하면 국민건강검진을 수월하게 받을 수 있도록 주장(즉 이동 건강검진)해 온 제안자의 건의를 지금껏 무시하고 있는 것이다.
요양병원에서의 어르신에 대한 이동검진의 추진은 노인 복지를 맡은 고령화 대책반( → 구군청의 복지과 )의 업무이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업무는 아닌 것이다.

-- 2018. 1. 21(일) --

등록 : 2018. 1. 21(일)
부산시청 - 부산 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 게시판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