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안일 : 1999년 10월 20일
제안자 : 안정은 ( 소속 : 부산시 금정구청 기획감사실. 행정자료실장 )
......................................................
제4장, 1. 한국전통식품의 발전방향 -- 가, 한국전통식품의 제조를 가정에서 정부로 이관 -- 2) 멸치젓, 소금과 김치, 30쪽
[ 내용 ]
김치는 우리가정에서 먹는 외에 외국인들에게도 한국의 인삼, 불고기와 함께 많이 알려져 있다 하는데 정부에서 김치를 생산하여 한국전통식품으로서의 수출상품으로서도 내어 놓아 해외교포들과 외국을 관광하는 한국인들이 김치를 먹을 수 있도록 하고 또 일본의 "기무치"에 한국의 김치가 밀려나는 부끄러운 일도 없어야 할 것이다.
별 문제가 없다면 현 한국담배인삼공사를 식품의약품안전청과 합하여 질좋은 인삼을 증산하고 또 보증하여 국민건강에 이바지하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
대통령 긴급조치권 사용 건의( 2008. 4. 17, 이명박 대통령)와 관련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정관장 매장의 구조 조정과 시도 지하철 역사 무료 입점
........................................................
바르는 홍삼 동인비 주력.... 체험형 로드숍 연다
주, 한국인삼공사 (= KGC 인삼공사 / 박정욱, 대전광역시 대덕구 벚꽃길)는 2018년 올해로 119주년을 맞이했다. 1899년 대한제국 궁내부에 삼정과를 설치한 이후 119년동안 고려삼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주, 한국인삼공사는 인삼의 재배지 선정부터 수확까지 농가와 100% 계약 경작을 통해 인삼을 재배한다. 재배지 예정지로 토양에서부터 인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물, 포장재까지 안정성 검사 및 안전성 검사를 통과해야 한다.
인삼공사는 인삼 및 홍삼기업으로서는 최초로 품질경영시스템, 작물보호제, 중금속, 미생물, 무시성분분석까지 총 5개 분야에서 국제시험기관(KOLAS)인증을 획득했다.
특히 공사는 화장품 ‘동인비’ 의 성장에 주력할 예정이며 판매점으로 백화점과 면세점의 입점을 확대할 예정이다. (- 동아일보, 2018. 1. 26, 금요일, C8면 송가인 기자 )
..........................................
- 정관장 화장품 전문판매장 선정 : 지하철 역사, 현 정관장 매장-
한국인들이 외국으로 많이 여행하는 현재 동인비 화장품은 공항의 면세점에서는 품목별로 골라 사기가 어려운 현실인데 이는 이 화장품을 면세품의 싼 가격으로 판매하면 국내 정관장의 판매장에 타격을 받을 것을 예상해서 그런 듯하다.
정관장의 화장품을 지금보다 다소 싼 가격으로 국민들이 사용하자면 국내의 정관장 화장품의 유통구조인 판매장을 구군별 1개소로 전문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홍삼은 구강식품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앞으로 동읍면 식품판매소에서 취급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가격도 다소 내려가야 한다. 그리되면 자연스럽게 정관장 화장품의 전문판매장도 구조 조정이 필요해 정관장의 매장을 재선정해야 한다. 지하철이 있는 시도라고 해도 정관장 화장품의 전문매장을 지하철의 역사에 무료로 제공하지 않겠다면
현재 정관장 판매장의 장소 중에서 * 교통여건이 좋은 곳을 구군별 1개소로 선정해서 시도의 기관지에 공표해야 한다. 그리되면 화장품의 판매가가 재산정되고 그리고 이 가격으로 국내의 백화점에서 판매하는 조건이라면 백화점에도 진출할 수 있다.
박정욱 인삼공사 사장은 매달 봉급을 넙죽 넙죽 받으면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현재 정관장 매장들 점주들의 입장으로 바꾸어서 고민해 보고 그 대책을 내어 놓아야 한다.
______________________
* 교통여건이 좋은 곳을 구군별 1개소......... 정부식품은 동읍면 식품판매소에서 판다. 제안서에서 도시의 주부들이 식품이 있는 마트를 은행처럼 자주 드나드는 곳이라 동읍면 사무소를 구청과 합하고 정부 식품의 판매소로 지정했다. 정관장 화장품은 정부식품인 식재료와 달라서 기히 생산된 화장품을 구매해서 바르면 그만이다. 그리고 정관장의 화장품은 보존제가 들어가지 않아 유통기한이 길 수 없으므로 판매장이 많아서는 안되고 구군별 1개소이면 적절하다. 도심이라 점포의 임대료가 비싼 곳은 지하철 역사에 두면 된다.
-- 2018. 1. 26(금) --
.
등록 : 2018. 1. 26(금)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 부산 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 게시판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