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제목 : 추적, 동래구 공무원들의 병사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공부하기 위해서 태어난 사람은 없다.
제 목 : 한국 국회는 교육집단을 50년간 범죄집단으로 만들었다.
- ( 중간 줄임 ) -
상기3에서
2014년 4월 16일자 있었던 세월호 침몰에서 배의 침몰로 죽은 자 중 10인에 대해서 그 사실증명서가 있어야 대다수 공직자들과 국민 그리고 제안자는 인정할 수 있다. 사실증명서는 진도의 소재지인 진도군(군수 : 이동진씨)에서 지금이라도 발급할 수 있다. 만일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면 그 10인에 대해서 사실(세월호 침몰에 의해서 죽은 자)이 아님을 증명해도 좋다.
제안자는 박정희 정부시절,
부산 동래구(현 금정구) 북면출장소 총무계에서 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박정희 정부시절, 부산시청 건설국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부산에 오셔서 부산 금정구 선동 소재의 골프장(동래 칸트리 클럽)에 간다고 갑자기 ‘ 골프장 진입로를 정비하라’ 고 명령해서 당해 골프장에서 새마을기를 꽂아놓고 골프장 입구를 정비하는 공사를 크게 했다고 들었다. 이후 이에 대해서 부산시청에서 세금(세외수입인 수익자 부담금? ) 이 부과가 되었을 때 ‘ 공무와 관련하여 골프장 입구 정비 공사를 했다’ 고 골프장에서 주장을 하자 당해부서에서는 사실증명서를 발급해 오도록 하였던 듯하다. 그래서 당해 골프장에서는 공사를 할 당시의 사진 (새마을기를 꽂아 놓고 공사를 한 사진)과 당시의 공무원(6급, 박재순)의 증언을 근거로 본인은 담당자(9급)로서 사실증명서를 발급하고 당해 골프장에서는 세금에 대한 면세를 받았다. 당시가 박정희 정부시절이다. 그 골프장은 이후 삼성에서 인수했다. (2016. 12. 19일 보충 기록)
그런데 상기에서처럼 그 골프장(동래 칸트리 클럽)에서 북면출장소(총무계)에 근무하는 본인에게 사실증명서를 요청해 오기 이전 동 소속(북면출장소 총무계)의 이일하씨에게 이전 그 사실 증명서를 요청하고 거절을 했던지(본인 추측) 그 날 이일하씨에게 시실증명서를 요청하자 이일하씨는 그냥 나가 버렸다. 그런데 당시 민원 증명은 본인의 업무였으므로 나는 사진(새마을기를 꽂고 공사한 사진)도 보고 오래 북면에서 근무한 북면출장소 총무계장(박재순씨)께 문의를 해서 발급을 해준 것이었다. 그런데 한참 후 상기에서처럼 이일하씨가 선동 사무소 (골프장이 소재한 행정 구역)에서 근무하다 죽었다(1995년 4월 위암) 아마 위암이 오고서 선동 사무소로 발령을 받아 갔을 수도 있다. 한편 박재순 총무계장(행정 6급)은 정년퇴직 후 얼마 안있어 돌아가셨다는 소리가 들려 왔다. 고향이 북면출장소 관내였던 금정구 구서동이며 인간관계가 좋아 술을 즐겨 드셨는데 사망 전날 술을 드시고 주무시고 새벽에 보니 돌아가셨더라고 들었다.
제안서 서문의 열거에서 빠진 것은 퇴직 후 돌아가셨으므로 빠진 것이다.
그런데 한 참 후 동래구청 세무1과 부과계에서 일했던 김영삼씨가 금정구가 분구가 되고 관내의 구서동 사무소 사무장으로 와 계시다가 돌아가신 것(1990년 12월)은 위암이 오자 금정구 구서동으로 발령이 난 듯하다. 김영삼씨와 고스톱 및 술로 매우 친했던 박종두씨가 1995년경 금정구 사회복지과에 복지과장으로 온 것도 간암이 발병하고 금정구에 온 듯하다. 이로써 이지역의 국회의원 김진재 의원님이 쓰레기(?)를 모두 (동래구에서) 금정구로 보낸다는 것은 그것을 의미했을 것이다. 분명한 내용은 잘 알 수 없지만.
그러나 거대 동래구에 근무했던 공무원들이 많이 병사한 것은 박정희 정부 당시 동래구의 국회의원(이기택씨, 박관용씨)이 모두 야당에서 몸담았기 때문인 듯하다
해방 후의 정부사에서 살펴보면 박정희 정권에 항거한 것은 부산만의 사정이 아니다. 그러나 부산시 동래구 공무원의 희생이 많았던 것은 부산이 부마 사태 등의 역사적 항거 사건의 소재지 때문인 듯하다. 공무원도 실제 국민의 한 사람이다. 공무원이라 별종의 인간이 아니라면 정치 운동을 못하는 공무원이라고 역사니 정치를 거역하거나 역류하는 사람은 아닌 것이다. 제안서 서문에서 세무1과에서 같이 근무했다가 이후(전두환 정부 이후) 병사한 모범 공무원 두 김씨 (김영삼씨, 김남숙씨)는 제안자는 그 사유로써 ‘ 대통령의 연금’ 과 관련이 깊을 듯하다.
무기는 밖의 무기가 사용된다.
질병(세균 등), 차량, 약물, 매개체로서의 식품 등. 공직 안에는 그러한 무기들이 없다. 그 중 중요한 매개체가 된 식품은 어떤 형태로든 이전과 달리 정부의 규제가 필요하다. 문재인 정부는 국민들이 부여한 공직자(대통령 포함)의 정당한 권한(공무 담임권)을 이용해서 국민들을 위해서 제안서대로 하루바삐 실행을 해야 한다. 직무를 유기해서는 안된다. 국민들이 제안자의 가족 및 친인척을 희생시키는 것에 더 이상 눈감아서도 안되고 제안자 아버지의 죽음처럼 수수방관해서도 안된다. 제안자가 수차례 국정책임자인 대통령이 제안자에게 사과를 하고 식품안전의 국정은 담화문을 발표하고 투명하게 추진하기를 요청해 왔다. 이명박 정부 말기에서부터였다. (김선주, 김선배의 병사, 이00의 경운기 사고사, 제안자 질녀 아들의 짝눈, 아버지의 이상한 죽음)
-- 2015. 10. 25일(일) / 2018. 3. 6(화) --
등록 : 2015. 10. 25일(일)
보건복지부(정진엽) - 참여 - 자유 게시판
전남 진도군청 (군수 : 이동진) - 참여광장 - 자유게시판 (등록번호 : 17301)
제안청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외
........................
등록 : 2015. 11. 5일 (목) / 11. 8(일)
보건복지부 - 참여 - 자유 게시판
제안청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외
............................................
※ 2016. 12. 19일 일부내용 보충 기록 및 삭제
등록 : 2016. 12. 19(월)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