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B형 예방 접종은 1980년대부터 실시했다. 아직 B형 간염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세대는 지금이라도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소관 : 보건소 보건교육 간호사 / 각시도청 고령화 대책반)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 노약자 및 어르신 폐렴 예방접종
폐렴을 일으키는 원인은 여러가지이지만 폐렴구균에 의한 세균성 폐렴이 가장 흔하다.
65세 이상 어르신들, 노약자들은
폐렴 예방접종울 맞을 것을 권하고 또 독감 백신과 폐렴구균 백신을 동시에 접종하면 더 효과적으로 폐렴을 예방할 수 있다.
폐렴 구균도 100가지가 넘기 때문에 폐렴 예방접종을 받았다고 해서 방심해서는 안된다 ( - 공무원 연금, 2015년 11월호, 13쪽 )
.........................................
노인 폐렴 예방 접종
..........................................
폐렴 예방접종은 13가 백신(평생에 1회만 접종), 23가 백신을 모두 맞아야 효험을 볼 수 있다.
0. 5년 이내 PPSV 23가 백신을 맞았다면 ............. 1년 후 PCV 13가 백신 접종
0. 아무 것도 안 맞았다면 ............
PCV 13가 백신 접종 6-12개월 후, PPSV 23가 백신 접종
정부는 65세 이상 어르신에게는 보건소에서 23가 백신(접종 비용 5만원선)을 무상으로 놔 준다.
13가 백신은 비용이 13만원 정도(2017년 11월 현재 93,000원 - 건강관리협회 부산지부)이며 평생 1회만 맞으면 된다.
따라서 65세 이상 어르신은 13가 백신을 먼저 돈 내고 맞고, 6개월 후에 23가를 무상으로 맞는 게 최적이다.
23가 백신은 효과 지속기간이 대량 5년으로 그 기간이 지났다면 재접종이 권장된다.
13가 백신과 23가 백신은 통상 세균의 개수에 따라 달리 부른다.
-- 2015. 5. 9(토), 조선일보, A8면, 김철중 의학 전문 기자 --
등록 : 2018. 4. 7(토)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