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수신처 : 삼세한방병원 중풍센터 외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 중풍, 왜 그리 많나 ? - 요인 분석
중풍은 어르신에게만 오지 않고
젊은이(서00씨 - 금정구 청룡동)도 사지가 틀어져 죽어갔다 (1980년대 후반)
국민 건강검진이나 혈액검사에서 나타나는 사항(고혈압/ 고지혈증 - 고콜레스테롤 혈증 )외에는 중풍, 사지가 틀어지는 현상이 올 수는 없는가 ?
적색 포도주는 페놀계 성분이 항산화제로 작용해서 LDL콜레스테롤 ( 즉 나쁜 콜레스테롤)의 산화를 줄임으로써 심장병의 위험이 낮아진다고 알려졌고
기타 소량의 다른 형태의 알코올(하루 1-2잔)도 같은 효과를 가지는데 이는 이들이 혈액 응고를 줄이는 기전 때문으로 생각된다. (- 21세기 영양학, 최혜미 외 18인 공저, 교문사, 1998년 99쪽)
반대로 ( ↔ )
비타민 K에는 세가지 중요한 형태들이 있다. 식물 속에서 채취할 수 있는 천연 비타민 K인 비타민 K1 (필로퀴논)과
창자(대장) 속에 있는 박테리아에서 파생되는 비타민 K2 (메나퀴논),
그리고 합성 유도체인 비타민 K3 (메나디온)가 그 형태들이다.
메나디온은 사람의 간에서 비타민 K2 (MK-4로 alkyl화)로 전환된다. (-2014년 최신판 영양사 시험 총정리 문제 /식품 영양 생리학회 저 / 크라운출판사 2014년 1월 발행 -생화학, 호르몬과 비타민, 36쪽 86번 문제에 대한 해설 55쪽 내용)
비타민 K 는
혈액 응고에 필수적인 비타민으로 프로트롬빈 형성에 관여한다.
0. 비타민 K1, K2는 자연에 존재하며
합성이 가능한 비타민 K3(메나디온) 의 효능(혈액 응고의 기능)이 가장 좋다.
0. 비타민 K : 결핍증 및 과잉증
비타민 K는 지용성 비타민이지만 체내에서 빨리 배설되어 거의 독성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결핍이 되면 인체내에서 출혈이 된다. 즉 비타민 K(혈액 응고 작용)의 길항작용을 하는 약물을 장기로 투여하면 결핍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임상적으로 쓰이는 합성 비타민 K3 (메나디온) 은 영아에게서 빈혈과 황달과 같은 독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 21세기 영양학, 최혜미 외 18인 공저, 교문사, 1998년 296쪽 ~ 297쪽)
※ 항생제를 장기간 섭취하면 장관(창자 -대장)의 박테리아를 감소시켜 비타민 K의 합성이 감소된다.
비타민 K가 많은 식품은 녹색 채소, 브로콜리이며
이 비타민 K는 지용성 비타민으로 조리에 의해서 별로 파괴되지 않으며 섭취한 대부분의 비타민 K는 하루가 지나면 체내에서 없어진다. (- 21세기 영양학, 294쪽)
그렇다면 상기의 비타민 K3 (메나디온)가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떻게 인체에 많이 투입이 되면
우리 인체는 어떠한 해를 가져 올 수 있을까 ?
-- 2017. 8. 25(금) --
등록 : 2017. 8. 25(금)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부산민원 120 - 시민 참여 (시민 게시판) 외
.........
재등록 : 2018. 5. 7(월)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부산민원 120 - 시민 참여 (시민 게시판)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