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2 ) 첨부 : 回 恨 -연탄이 사라지기까지

작성자
안 * * *


- 제안자 가족의 희생, 실체가 없었나 ? 그리고 시도지사의 삼선(12년)이 대안이 되었나 ? -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김대중 대통령 )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 감사실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回 恨

- 연탄이 사라지기까지 -

부산시 동래구청 세무2과(1977년 - 1980년 9. 3일)에서
통계의 업무를 보고 있을 때이다.
여직원들은 통계업무를 더러 맡기지만 내가 통계업무를 자주 보아온 것은 고등학교가 상업학교이었기 때문이다.
어느 봄날, 연탄까스를 마신 날을 기억한다.
집이 이층집이라 윗층에서 혼자 잤는데 일어나서 바지의 똥을 손으로 만진 기억이 난다.
나의 두뇌가 연탄까스를 마시고 희미하면서도
방에서 똥을 싸면 안된다는 의식은 있었는가 보다.
이후의 필름은 끊겼지만.......
그리고는 살아났다. 말끔히.
집에서 나를 데리고 가까운 병원(김말봉 욋과)에 갔기 때문이다.
연탄까스를 마시고 똥을 사면 산다더니.....

* * * * * * * * * * * * * * * * * * * *

이 후 경남 진해시 공무원에서 부산시 공무원으로 전입해 온
김병* 여사님(오래도록 공직생활을 했음)께서
들려 준 이야기 한 토막.
김병*여사님의 여동생이 서울대학병원에서 간호원으로 일했는데
집(진해)에 왔단다.
선을 보기 위해서....... 비가 오는 저녁이었는데....
그런데 그 날 밤에 죽고 만 것이다. 연탄까스로........
( 연탄까스인 일산화탄소는 비가 오는 날에는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해서 무거워져서 공기층의 아래로 내려오므로 더 위험하다고 했다.
일산화탄소는 폐(=허파)에서 산소보다 몇배의 친화력이 있어서 산소의
기능을 못하게 해서 인간을 질식사 하는 위험한 중독현상이다, 예로부터 주위에 연탄까스 중독자가 있으면 119에 전화를 하면 산소 호흡기가 있는 가까운 병원으로 데려간다. )

* * * * * * * * * * * * * * * * * * * *

이 후 한국방송통신대학에서
나와 함께 해외 연수(1983년 10월)를 간 일원 중의 한사람(소재술)이
근무지를 서울로 옮겼는데 (충남 여성회관 공무원 →서울 소재의 교육부의 공무원으로 전직 )
이후 셋방(서울)에서 연탄까스를 마시고 죽었다고 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이 후
“ 지금 부산시에 근무하는 이말* 국장(여성- 서울법대 )이
사무관 시험을 치러 가는 날, 일어나 보니,
자녀(?) 둘이 연탄까스로 죽어 있더라” 는
믿기 어려운 끔찍한 말이 내 귀에 들려왔다.

* * * * * * * * * * * * * * * * * * * *

연탄까스 사고 리스트는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부산시에 공직자로 근무한
나의 고등학교 한해 후배(여, 이복* - 부산여자 상업고등학교 )도
통계업무를 자주 보았다. 근무지를 부산시 차량등록사업소로 옮겨서
근무하다가 결혼을 했고 이후 신혼에 연탄까스를 마셨다.
남편은 죽고 후배 공무원은 살았다. 이후 그녀는 공직을 퇴직하였다.
1988년 한국에서 올림픽이 개최되면서 선진한국의 주거시설도 보일러 시설로 바뀌었다.
연탄아궁이는 옛날이야기가 될 수 있지만
연탄까스를 마시고 죽은 이들은
가족과 이웃들에게서 옛이야기로 될 수만은 없지 않은가
또 연탄까스를 마시고 산자는
연탄까스를 마시고 죽은 자를
잊혀진 옛이야기로 묻어두기에는 미안하지 아니한가

**
*
*
*

기타 (1990년, 2000년대 )
0. 이순0씨 (보간소 간호사) - 금정구 보건소 모자보건실에서 실장으로 근무하면서 당뇨

0. 이경0씨 (세무직 ) - 부산 금정구청 세무과에 근무를 하면서 첫아이를 낳으면서 태를 낳지 못해 자궁 적출



※ 1

부산시장의 평균 임기는 1946년부터 2014년까지 68년동안
29명의 시장이 교체가 되었다. 부산시장의 평균 임기는 2년 4개월이었다. 부산시장 중 가장 오랜 임기를 보낸 시장은 박정희 정부에서 6년( 재임 : 1971년 6월 ~ 1977년 7월)을 지낸 박영수 시장이다. 재임 중 부인을 병사로 사별했다.

※ 1-1
부산시 동래구청장의 평균 임기는 1957년부터 2014년, 57년동안 37명의 구청장이 교체가 되었다. 동래구청장의 평균 임기는 1년 6개월이다.


※ 2

[ 박정희씨 집권 및 박정희 정부시 역대 부산시장 (1961년 ~ 1979년)
.........................................................................
1961년 5월 ~ : 변재갑 시장
............................................................
1962년 4월 ~ 1966년 3월 ( 4년) : 김현옥 시장
1966년 3월 ~ 1969년 4월 ( 3년) : 김대만 시장
1969년 4월 ~ 1970년 4월 (1년) : 김덕엽 시장
1970년 4월 ~ 1971년 6월 ( 1년 2개월 ) : 최두열 시장
1971년 6월 ~ 1977년 7월 ( 6년 1개월 - 부인 병사) : 박영수 시장
1977년 7월 ~ 1980년 1월 ( 2년 6개월) - 최석원 시장
........................................................................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