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2032년 ,서울 평양 올림픽 ?

작성자
안 * * *



글쓴이 : 안정은

제 목 : 범어사선 양방로, 그리고 산책로


범어사선(팔송 - 범어사 경외 주차장)은 양방로였으나 10여년쯤부터 일방 통행로가 되었다.
지역 어르신(최면장, 양사장, 조만근씨 등)들이 꼭두 새벽이면 함께 산보에 나서 차가 왕래하지 않는 범어사길에 산보로 나서는 듯 하시더니 이제는 모두 고인이 되셨다.
어르신들이 한두분 돌아가시면서 아마 범어사선을 어르신들의 산보길로 하시고자 건의가 있었던지 산책길은 생겼는데 길에서 덧댄 산책길이 생겼던 것이다. 장가계의 잔도나 귀곡잔도의 기술이 도입된 덧댄 한국의 산책길이다.
어르신들은 팔송에서 출발해서 십리(즉 4Km) 거리라는 곳(나무아미타불이라는 비문이 선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고 체조를 하신 후 하산하셨을 것이다. 바로 그 지점에는 제안자의 조부가 묻힌 공동묘지가 있는 곳이다. 일제 강점기에 돌아가셨다. 언젠가 어느 일꾼이 그곳에 있는 비문의 비석(나무아미타불)을 없애려고 비문에 손을 대니 손이 저릿해서 그대로 두었다더니 그 비문은 여전히 있는지 모르겠다. 그곳이 팔송(중앙대로에서 범어사선으로 진입하는 곳의 옛 지명)에서 10리라고 하였는데 그래서 그곳에 비문을 세운 듯하고 팔송에 사는 어느 대처승(춘산스님)은 밤에 범어사에 가면서 그 지점을 지나면 호랑이가 불에 눈을 켜서 지켜준다고 들렸는데 사실인지 거짓인지는 모르나 대처승도 승려인데 거짓말을 할 리가 있겠는가
제안자는 침례병원을 사회복지시설 양로원 및 요양원으로 하고 그 아래의 길(침례병원에서 태광산업이 있는 곳)을 일방통행으로 해서 길의 한쪽에는 산책길을 내도록 건의했다.
2018년 9월 13일 부산일보에서 보니 범어사선 중에서 범어사 경외 주차장과 금샘로를 양방통행로로 한다고 한다.
잘한 일이다. 그리하면서 예전 청룡동 범어사선 진입로에서 나무아미타불이 있는 곳까지 현재의 길에서 산책길을 구분해서 내고
그 위쪽의 범어사선은 그대로 두어도 될 것이다. 윗길은 사월 초파일 등으로 교통이 혼잡하면 주차를 해야하기 때문이다. 예전부터 범어사에 들어가는데는 입장료를 받았는데 아래 마을에 토박이 사람들 외에도 전입자가 많아지자 아래 마을에 사는 이들은 “ 요 밑에 사는데요 ! ” 하고 범어사에 무료 입장을 하고자 하면 입장료를 받는 곳에서는 “ 이불 밑에 있는 사람들도 돈을 받는데 요 밑에 있는 사람들 돈은 왜 못받습니까 ” 라며 입장료를 받았다는 말이 전해왔다.
제안자 가족의 선산은 그 중간 지점에 있고 이 신작로가 일제 강점기에 생겼는데 지방자치화가 되고 공시지가가 오르면서 범어사 길로 들어간 부분의 선산을 정부에 기부채납하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고 하였는데 선산의 공시지가가 높지 않아 그대로 둔듯하다.
* 제안자가 제안서를 제출하고 얼마 있지 않아 상기 지역의 어르신들이 제안자가 하는 일을 알고 “ 운동장을 지으면서 일을 추진하는 것은 ‘ 남자들이 나서 하는 일’ 이라 ” 걱정을 하셨다고 들었다. 당시가 안상영 시장님이 재임할 당시였다.
금정구청의 홈페이지에 방문해서 살펴보니 없어진 것이 있다. 자유 게시판이다. 윤석천 금정구청장 당시에 있던 것이 없어졌으니 이를 용두사미라고 하는지 ?

-- 2018. 9. 14(금) --
등록 : 2018. 9. 14(금)
부산시청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제안자가 제안서를 제출하고 얼마 있지 않아 상기 지역의 어르신들이 제안자가 하는 일을 알고 “ 운동장을 지으면서 일을 추진하는 것은 ‘ 남자들이 나서 하는 일’ 이라 ” 걱정을 하셨다고 들었다. 당시가 안상영 시장님이 재임할 당시였다.....................
운동장이란 아시안 게임이다. 인천시의 아시안게임도 안상수 전 시장이 개최키로 하고 박근혜 정부에서 실시가 되었고 제안자로서 나는 사전 개최를 반대했다. 재정과 관련해서다.
노태우 정부에서 88올림픽이 개최되었을 때 ‘ 체력은 국력’ 이라고 했는데 이것은 제안자도 인정한다. 이번 남북 정상회담을 다녀 온 박원순 서울시장은 G20이 서울에서 개최 될 당시 당해 시도지사로 참석도 않았다더니 이번 에는 북에 다녀온 후 2032년에는 서울과 평양에서 올림픽을 개최하자는 말을 쏟아 내었다. ( 남북 통일을 위해서는 동계 올림픽이나 올림픽이 아닌 아시안게임으로서 선수를 남북 한팀으로 보내면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는데...)
참고로 제안자가 공공기관청에 이름을 밝히고 전화를 하면 “ 제안자도 제안서도 모른다” 고 한 공무원들이 90%였다. 그러하니 오거돈 부산시장을 포함하여 박원순 서울시장 등 17곳 시도지사가 모두 식품안전과 관련해서도 여전히 헛소리를 하고 있는데 “ 제안자도 제안서도 모른다” 는 말을 분석하면 기초지방자치단체에는 제안서가 없다는 말과 같으며 또한 설령 최초 제안서를 식약청에나 김대중 대통령께 제출했어도 접수증이 없었다는 말과도 같으니 제안자는 접수증을 주어야 한다고 줄기차게 요구해 온 것이다.
이들 공무원들이 하는 ‘ 허튼 말과 말을 섞지 않고’ 끝날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제안자가 식품안전과 관련해서는 공무원들이 복지부동할 요인을 없애야 하는 것이다. 즉 줄 것은 주고 받을 것은 받아야 하는 것이다. 지금이라도 한국의 대통령은 제안서 접수증을 제안청과 제안자에 보내고 또한 재원을 주면 제안자는 제안서를 복사해서 229곳 시도에 보내어 줄 수 있다. (- 2018. 9. 22, 토요일 제안자 안정은 보충 기록 )

~~~~
~~~~~
등록 : 2018. 9. 22(토)
부산시청(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