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 진도 돌김 외

작성자
안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제목 : ♬ 진도 돌김 외

[ 제안 추진 내용 2011년 46 ]

진도 돌김 출시

1. 생산자 : 신지식인, 김 학
2. 상 호 : 멸치 신랑, 새우 각시 ( 전남 진도 의산면 )
3. 공장 및 주문 접수처 : 061, 544 - 4003~4

4. 상품명 : 돌김 외
- 재래 김 : 6매 × 10장 = 60장 (10,000원 + 택배비 3,000원 )
- 돌 김 : 6매 × 10장 = 60장 (10,000원 + 택배비 3,000원 )

0. 재래 돌김 : 200장 : 23,500원 (무료 배송)
- 2012년 1월 31일까지 설 명절 할인가

-- 2011. 11. 17(목), 부산 벡스코, 부산국제수산 무역 엑스포 --

**
*
*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이십오륙년전, 대학의 식품관련 강의에서 교수는
계란 1개와 김 한 장의 영양가가 비슷하다고 하였다.
계란은 식품 중 단백가(단백질의 가치)가 높은 식품이다.
김과 비교하면 지방성분이 훨씬 많다.
지방성분은 현대 식생활에서 에너지원(열량원 = 칼로리원)으로만 치부(置簿)하는 경향이 많다. 지방분이 부족하면 안 되는 취학 전의 유아들에게는
참기름과 들기름에 구운 김이 좋은 반찬이 된다.
성인들과 어르신의 반찬으로는 마른 김을 꺼내어서 석쇠에 바싹 구워서 잘라 밥을 얹고, 간장( 재래 간장 또는 어간장 + 깨소금 + 참기름)을 발라서 먹으면 영양 섭취에 도움이 된다.
김을 귀하게 여겨 설 명절에 귀히 먹었던 우리조상들의 슬기가 오늘에도 변함이 없을 듯 싶다.




김은 뿌리, 줄기, 잎의 구별이 없이 잎만으로 되어 있으며
바다 식품 중 홍조류(김, 우뭇가사리)이다. 따뜻한 물에서 잘 자라므로 남해안에서 많이 생산된다.
김은 40%의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있다. 한천이 주 성분이며 김의 단 맛은 이 탄수화물의 성분에서 온다. 지방성분은 거의 없으며
단백질 함량은 30% - 40% 이다.
단백질 구성 성분이 필수 아미노산이 많고 김의 맛에도 기여한다.
여타 해조류(미역 등)와 마찬가지로 무기질인 나트륨, 칼슘, 칼륨, 철분이
많다. 카로틴도 많이 함유하여 비타민 A의 좋은 공급원이며 비타민 B1, 비타민 C도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다.

김은 생산되는 시기에 따라 품질이 달라지는데
12월부터 4월까지 생산되지만 1월 중순에 채취한 김에서 아미노산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므로 이때가 채취시기로서 적기(適期)라고 한다.
마른 김을 보관할 때는 습기를 막고 어둡고 서늘한 곳에 두어야 한다.
잘 밀봉하여 저온에서 저장하면 1년 이상 신선하게 보존할 수 있다.
김의 양식은 전남과 경남의 해안일대에서 양식을 하는데 특히 전남 완도의 김양식이 유명하다.

참고 문헌
- 조영, 김영아 공저, 「조리 원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9년 229쪽 ~ 234쪽
.
~~~~~~~~~
~~~~~~~~~~
등록 : 2012. 6. 18 (월), 2012. 11. 15(목)
식품의약품안전청 (청장 : 이희성 ) - 국민 광장 - 여론 광장
....................................
등록 : 2014. 10.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 : 정승) - 국민 소통 - 여론 광장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대전시청 (시장 : 권선택 ) - 자유 게시판
전남도청(지사 : 이낙연) - 자유 발언대
......................................................
등록 : 2014. 11. 17(월)
충남도청(지사 : 안희정) - 자유 게시판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대전시청 (시장 : 권선택 ) - 자유 게시판
전남도청(지사 : 이낙연) - 자유 발언대
........................
등록 : 2017. 11. 9(목)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 게시판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