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당뇨병과 미량 무기질, 아연

작성자
안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당뇨병과 미량 무기질 아연


인체의 영양소인 미량 무기질(=미네랄)이란 전체 무기질 중 1% 이하로 존재하는 무기질을 뜻하며 철분, 아연, 구리, 불소 등이 이에 속한다. 치매를 가져온다고 최근 알려진 알류미늄 성분 그리고 금과 은 등의 성분은 영양소가 아니므로 인체에 과량 축적되면 중독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0. 아연의 체내 작용
1. 생략
2. 아연은 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금속효소’ 의 구성성분으로 현재까지 약 100개의 아연을 함유하고 있는 효소가 알려져 있다. - 이하 줄임
3~4. 생략
5. 아연은 인슐린의 작용에서 직접적인 역할은 하지 않으나 췌장에서의 호르몬인 인슐린과 관련이 있다.
6. 생략
7. * 갑상선 호르몬의 작용에 영향을 준다.
8. 생략
9. 시각색소에서 비타민A의 활성형인 레티놀이 생성될 때 필요한 물질이다.
10-11. 생략

0. 아연의 급원식품과 과잉증
아연은 육류, 굴, 게, 새우 등 동물성 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아연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다른 무기질 즉 철분이나 구리의 흡수가 저하되어 이에 따라 빈혈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0. 체내 분포 및 아연의 결핍증
아연은 눈의 홍채, 망막에 많으며 머리카락, 그리고 인슐린이 분비되는 췌장의 베타 세포에 다른 조직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췌장에서의 높은 아연 농도는 인슐린의 생리적 기능을 증가시키고
인체에서 아연이 결핍되어 있을 때에는 여러 가지 성인병 즉 당뇨병, 악성빈혈, 암, 동맥 경화증 등과 그리고 피임약을 복용할 때도 아연의 부족증을 보였다. 또한 아연의 결핍 증상은 동물에서의 식욕부진, 성장 감소, 심해지면 탈모 및 피부 장애, 일부 신체에서 부종이 보이며 알코올을 과음했을 떼에도 나타났다.


0. 아연의 영양상태 평가
혈액 외 머리카락에 함유된 아연량을 측정하기도 하는데 이는 장기간의 아연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로 이용된다.
________________
* 갑상선 호르몬의 작용에 영향을 준다(영양학 260쪽)........ 아연의 결핍은 뇌하수체전엽 호르몬인 부신피질자극 호르몬(ACTH -코티솔 및 알도스테론을 분비하도록 한다 )의 생성이 억제되며,
뇌하수체 전엽의 기능(호르몬 : 상기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ACTH 외 갑상선 자극 호르몬 TSH, 여포자극 호르몬 FSH, 황체 형성 호르몬 LH, 성장 호르몬, 프로락틴 등)은 부분적으로 낮아졌다(기초 영양학 164쪽).
상기 괄호 속의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은 갑상선을 자극하여 티록신을 분비하도록 하며 미량 무기질인 요오드(I)는 체내에서 70~80%가 갑상선에 존재하며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티록신, 칼시토닌 분비)인 T3, T4의 중요 성분으로 식품에서는 해조류에 많으며 해조류 중 다시마, 미역, 김,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특히 깊은 바다에서 나는 다시마에 요오드(I)가 가장 많으며 얕은 바다에서 나는 김에 요오드가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다.


참고문헌
1. 영양학 / 구재옥. 임현숙. 정영진 공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5년 258~265쪽
2. 기초 영양학 / 서정숙.서광희. 이승교. 정현숙 공저 / 지구 문화사 1997년 163~165쪽
3. 21세기 영양학 / 최혜미 외 18인 공저, 구재옥 외 4인 전문가 의견 / 교문사 1998년 367쪽
4. 생리학 / 강만식.김해리. 김성기 공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8년 311쪽, 319쪽, 336쪽

**
.
.
.

어머니 윤씨 형제들의 당뇨

제안자 어머니 형제 윤씨들(파평 윤씨 -5형제)은 모두 당뇨였다. 그 원인은 윤보선 대통령이 받은 대통령 연금, 그리고 이후 알려진 즉 김대중 대통령이 윤씨였으나 어머니가 김해 김씨가에 재혼해 가면서 김대중 대통령의 성이 김씨로 바뀐 것에서 그 원인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5형제 중 가장 막내 이모님이 먼저 돌아가셨는데 당뇨가 있고 나서 이후 췌장암으로 돌아가셨다.
당뇨의 원인은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적게 분비되거나 그 기능이 작동되지 못해서 오는 성인병이다.

등록 : 2019. 1. 1(화)
보건복지부 (장관 : 박능후)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