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안정은 (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1999년 10월 20일, 김대중 정부)
제안자 : ( 소속 및 직명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감사실,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국민건강검진 - 혈압, 콜레스테롤
고혈압이란 .......
- 아침 식사 전, 공복상태 -
O. 정상 : 120mmHg 정도 / 80mmHg 정도 (20세 이후의 건강한 청년 )
O. 경계 : 120 ~ 139 사이 / 80 ~ 90 사이
O. 고혈압 (질환 의심 -신장질환, 비만증 등 ) : 140이상 / 90이상
-- 2016년, 2017년 부산광역시 의료원 국민 건강검진결과표 --
-- 2017년 11월 한국건강관리협회 부산지부, 자동 혈압측정기--
* * * * * * * * * * * * * * *
...............
심장
..................
심장의 크기는 그 사람의 주먹만하다.
심장의 위치는 가슴의 중앙선에서 약간 왼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인체 생리학 196쪽)
‘ 국기에 대한 경례’ 를 할 때의 손(오른손)의 위치이다. 모양은 하트 모양이며 밖의 갈비뼈가 심장을 보호하고 있다.
사람이 살아있는 동안 심장은 성인의 주먹의 크기지만 심장의 좌심실에서 1분당 5리터(※ 물 3되는 5.4리터)의 혈액을 대동맥으로 뿜어낸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박출량은 5배까지 늘어난다.
우리 인간들이 두 손으로 심장모양(하트 모양)을 그리는 것은 인간들이 심장에 대해 보내는 애정 표현이다.
심장의 피(혈액)는 동맥피와 정맥피가 있는데 심장에 들어온 정맥의 피는 심장의 우심방과 우심실을 거쳐 폐동맥에서 허파의 산소를 받아서 동맥의 피가 되어 좌심방, 좌심실을 거쳐 몸전체를 흐른다.
혈압이라고 하면 보통 상완 동맥 (오른쪽 위 팔뚝의 동맥)의 혈압을 말하는데 혈압은 나이와 관계가 있다. 신생아는 약 60 mmHg이고
나이가 들면서 높아져 20세 이후의 건강한 청년의 최고 혈압은 120 mmHg 정도이다. 사람의 동맥 혈압은 심장이 수축할 때와 이완할 때가 다른데 건강한 청년인 경우 수축할 때의 혈압을 수축기 혈압(최고 혈압)으로 120,
이완할 때의 혈압을 이완기 혈압(최저 혈압)으로 80으로 되는 것이 정상이다.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이완기 혈압)의 차이를 맥압이라고 하며
십박동에 따른 혈압변화 시간에 의한 전체 평균을 평균혈압이라고 한다. 건강한 청년의 평균 혈압은 약 93이다.
평균 혈압 = 최저 혈압 + 맥압 / 3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오르내리는 혈압의 범위를 맥압이라고 하며 맥압은 40 ~50이 된다. 이것은 십장 박출량과 관계되어 박출량이 증가하면 커진다. 동맥혈압의 고저는 심장 박출량 / 혈관벽의 탄력성 / 말초 혈관의 저항 / 순환 혈액량 / 혈액의 점도에 의해 결정된다.
사람이 나이가 들어가면서 고혈압이 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동맥이 노후화되고 탄력성이 상실되며
또한 동맥경화가 일어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1분간의 심장 박동수를 심박률이라고 하는데 이는 맥박수와 같다. 휴지 상태의 심박수는 개인, 연령, 체위 등에 따라 틀리지만 건강한 성인의 경우 약 70이다. 그러나 운동, 정신 감동, 음식에 따라 증가하기도 한다.
고혈압증이란 .......
고혈압증이란 병명이 아니고 혈압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WHO(세계보건기구)분류에서
최고 혈압 160 /최저 혈압 95 기준에 양쪽 혹은 한쪽이 그 수치를 넘어선 경우를 고혈압이라고 한다.
최고 혈압이 140~159는 경계 / 최저 혈압 90~94를 ‘ 경계역 고협압’ 이라고 한다.
고혈압증의 운동요법은 전신적이고 동적이며 정신적으로 즐길 수 있는 것으로 속보, 조깅, 사이클링, 수영 등이 적당하다.
당기기, 밀기, 들어 올리기 등의 운동 패턴이 주가 되는 운동은
말초혈관 저항을 증가시켜 급격한 혈압 상승 등이 일어나므로 부적당하다.
.
.
참고 문헌 : 생리학 / 강만식, 김해리, 김성기 공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8년 113 ~150쪽, 134쪽, 149쪽 / 375쪽
* * * * * * * * * * * * * * * * * *
0. 혈압의 의미
상기 120 / 80의 혈압에서 위쪽의 혈압을 수축기 혈압, 아래쪽 혈압을 이완기 혈압이라고 하는데 노인들은 수축기 혈압이 높고 이완기 혈압이 정상인 경우가 흔한데 이것은 노령으로 나이가 들면서 동맥 혈관들이 탄력성이 감소하면서 혈관들이 청년들의 혈관처럼 제대로 늘어나지를 않아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식이요법, 국민건강보험공단, 2005년65쪽 )
0. 혈장 콜레스테롤
혈장 콜레스테롤은 높아도 특별한 증상이 없어서 혈액검사를 해 보아야 알 수 있다.
정부는 국민건강검진에서 2012년부터 이전 총콜레스테롤 검사에서 항목(4항목으로)을 늘려 ‘ 3종류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을 확인해 주고 있다. 그리고 그 이전에는 총콜레스테롤의 정상치를 230이하로 하였으나 2012년부터는 200미만으로 바꾸었다.
상기 혈압의 정상 기준치를 120 /80 즉 20세 건강한 청년의 혈압을 기준 하였듯이 총콜레스테롤 수치도 이전 230이하에서 200미만으로 기준치를 내렸다. 2005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20세부터의 국민건강검진에서 혈장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도록 방향을 정하면서 바람직한 총콜레스테롤 기준치를 200미만으로 제시했다 (-식이요법, 국민건강보험공단, 2005년51쪽 )
제안자의 정기(공무원 + 국민) 건강검진에서는
총콜레스테롤(공복) 검진에서
1992년, 1994년도 (연령 40대 - 공무원 건강검진)에서는 176, 153으로 측정이 되었고
2004년, 2006년, 2008년 (연령 50대-국민건강검진)에서는 총콜레스테롤 166, 162, 169로 측정이 되었다.
그런데 2012년 국민건강검진 즉 혈중 지방검사가 4개항(3항목의 콜레스테롤 + 중성지방) 늘어난 검사 때부터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껑충 뛰었다.
즉 2012년도 -223 / 2014년도 -218 / 2016년도 - 191 / 20018년도 -210 으로서다. 이전 2년마다 받는 정기 건강검진(공복)은 한국건강관리협회에서 받아 왔고
2016년부터 부산의료원에서 받아왔다. 영양사가 음식점을 운영하면 보건소에서 6개월마다 정기 건강검진(해당부분)을 받아야 하므로 국민건강검진 장소를 부산의료원으로 옮긴 것이다.
제안자의 잘못될 건강검진수치 (총 콜레스테롤 수치)에 대한 ‘사전 경고’ 가 경남 홍준표 지사의 ‘진주의료원 폐기 사건’ 인데 맞는지 ?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국민건강검진센터를 일원화하여 시도별 지부를 두도록 하고
검진의사는 보건복지부에서 발령하면 된다. 요즈음 가정의학과를 병원 간판으로 내건 병원이 적지 않았다.
그것(국민건강검진 기관의 일원화)을 위해 국민건강검진을 하는 의사들이 상기처럼 변칙과 반칙을 일삼는 것이 아닌지 ?
또한 제안자 오촌 아저씨(안락병원, 정향균) 및 아버지의 입원과 관련하여 의사(푸른내과 김민종/ 금샘요양병원장 김대봉)들이 보여준 행태 또한 같은 목적에 있은 것이 아니었는지 ?
--2019. 1. 7(월) --
보건복지부 (장관 : 박능후)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