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가정 파괴범은 사형(?)해야 - 김영삼 대통령
제 목 : 식품안전 추진 재원
한국에서는 추석과 설 명절에는 차례를 지낸다.
김영삼 대통령은 재임기간 ‘가정파괴범은 사형해야 한다’ 고 하고 당시 사형선고를 받는 죄인들을 사형 집행한 것으로 알고 있다.
2007년 6월(노무현 정부) 제안자의 오촌 아저씨 안동수의 죽음은
경찰 및 공무원(동 사회복지사), 그리고 의사에 의해 자행(위법)되어져
안동수를 사지로 몰아 결국 여자 대리운전자에 의해 교통사고로 죽었고(2007년 6월, 노무현 정부) 그 사고처리는 경찰 및 검사가 했다.
그 훨씬 이전(제안자가 부산시 공무원 재직시) 본인의 오촌 아저씨 해경함장(안정열)이 동해안 속초에서 함포사격을 받아 실종(1974년)이 된 사고는 박정희 정부에서 있었지만 당시 국내 신문은 북의 소행이라고 발표했는데 그해 8월 15일 광복절 식장에서 일본 조총련계의 문세광이 즉 ‘북의 지령을 받았다’ 는 문세광이 박정희 대통령을 쏘려다가 실패하고 영부인이 총을 맞아 사망했다(1974년 8. 15). 문세광은 잡혀서 죽었다. 이후 내무부 훈령에 의해 잘못 자행되어진 것이 부랑자들 및 노숙자 문제였고 그 하나였던 형제복지원 문제가 현 문재인 정부에서 문무일 검찰총장이 피해자 및 그 가족들에게 사과하고는 조용하다.
1987년 초 제안자 어머니에 대한 침례병원에서의 대장암 진단(내과 -오진?)은 수술 결과 대장암 아님(집도 의사 고신대 병원 욋과의사 이충환)이 밝혀져 침례 병원이 부산 동구에서 부산 금정구로 옮겨오고 결국 그 병원은 2018년 파산이 되고 이를 당시 잘못 허가한 공무원(금정구청 세무과 행정 7급 김00씨)은 검찰에 의해 탄로가 나서 2000년경 스스로 공무원직을 사직했다.
그리고 제안자 아버지의 사망(2018년 1월 11일자)은
노인요양병원장인 김대봉원장에 의해서 자행되어졌고 입원한지 꼭 2년 후 세칭 ‘ 대봉 곶감(?)’ 에 의해서 사망했다.
1970년대 연탄가스를 마시고 죽은 공무원의 가족과 관련해서는 한국은 연탄이 사라진 나라가 되었고 이후 도시가스, 기름보일러로 바뀌고 지금은 에너지가 태양광에너지로 바뀌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한국인들의 질병에 대해서는 제안자가 1999년 10월 김대중 정부에서 제안서를 제출하고 질병의 원인을 질병 중심으로 추적, 규명(=질병 원인에 대한 사형과 같다)하고 있는데 - 한국정부는 연탄가스 중독을 방지하기 위해 난방을 가스 및 기름 보일러 시설로 바꾸었듯이 - 제안자가 제시한 [ 다음 사항 ] 을 받아드려 국민의 생존권 보장(제안서 1쪽 - 국민의 생존권 보호 및 연장)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 다음 사항 ]
1. 한국전통식품의 생산에 따른 재원 및 식품안전처의 독립에 따른 재정은 전두환정부에서 국방비였던 민방위세를 교육세로 넘겼는데 그 중 지방교육세분을 식품안전세로 바꾸어서 재원으로 충당한다.
2. 지방정부의 식품은 식품안전기금 50만원 (⤌ 30만원)을 거두어서 식품안전기금으로 독립시키되 그 기금으로 국민임대주택 사업을 하기로 결정이 되어 기히 추진되어 왔는데 국민임대주택사업은 식품안전기금도 없이 미리 시행이 되어 왔으므로 조속히 식품안전기금을 거두어 그 빚을 갚아야 한다.
식품안전기금은 독립된 기금이지만 특별회계가 아니라면 수입과 지출에서 그다지 구애받지 않아도 된다. 그래서 근년 동읍면 사무소 및 동주민자치센터의 정부식품 판매소에 ‘ 식품 판매 영양사’ 를 5년 계약직으로 채용하고 그 보수는 국비로 주자는 것이 제안자의 최근 의견이고 또한 정부의 흐름인데 이는 식품안전기금의 회계가 특별회계가 아님을 의미한다.
그러나 식품안전세( ⤌ 지방교육세)는 특별회계다.
3. 중국에서의 참깨의 재배는 통일과 나눔 펀드의 재원으로 중국 연변(중국 조선족 자치주)에 참깨 재배자의 주거 시설인 아파트를 지어주고 무상으로 거주케하며 (관리비는 자부담)이 생산자들은 중국 조선족, 한국인, 북한인으로 해서 그 참깨는 한국과 북한이 사서 가져간다.
그리고 한국은 참기름 (들기름, 참깨, 들깨 포함)의 압착은 강화도에서 하며 그 연구소 (한국전통식품연구소, 즉 참기름 생산 연구소) 건축 경비는 2010년 3월 26일 허위 사고로 추정되는 서해안 천안함 폭침 유가족에 대한 유족 위로금(잔액 : 395억원 미만)으로 사용한다.
이(허위 사고)에는 국군통수권자인 이명박 대통령과
당시의 김관진 국방부장관이 개입되어 있는 듯하다.
첨부 파일
0. 상기 본문
1. 장병유족 위로금 395억원 (2018년 2월 23일)
-- 2018. 2. 4(월) --
등록 : 2018. 2. 4(월)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인천시청 (시장 : 박남춘) - 소통광장 - 시민의 소리, 자유 게시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