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혈당 (blood glucose)

작성자
안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 국민의 생존권 보호 : 제안서 1쪽 )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안상영 부산광역시장 / 윤석천 금정구청장 )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 감사실 (실장 : 임병철 )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혈당 (blood glucose)

.......................................................................
포도당은 영양상 가장 중요한 단당류로 전분, 맥아당, 유당 등의 가수분해나 소화과정에서 생성된다. 또한 포도당은 과일, 채소, 꿀과 엿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포도에는 전체 중량의 20%가 포도당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포도의 종류에 따라서는 포도당이 고형물의 50% 이상 들어있는 것도 있다.
사람의 혈액에는 포도당의 형태로 당질이 존재하는데
이를 혈당(blood glucose) 이라고 하며
인체 혈당 농도는 * 약 0.1% 이다.
(- [ 영양학 ], 구재옥, 임현숙, 정영진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5년 26쪽 )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약 0.1% ..........약 100mg / dL → 정상인의 혈당수치
( * 1g = 1000mg / * 1dL = 100mL)
‘ 약 0. 1%’ 란 즉 ‘ 약 1g /1000mL(= 1L) ’ 을 의미하며
그것은 대강 1L 들이의 우유 페트병의 부피에 각설탕 1개의 부피 (밀도 1의 물질이면 1g)가 녹아 있다면 그 농도가 0.1% 로 가늠해 볼 수 있다.


0. 리터(L)와 그램(g) ...................
리터(L)는 부피(=들이)단위이고 그램(g)은 무게의 단위이다.
비중이 1인 물은
1리터( =1000cc= 1000㎤ =1000mL)에 든 물의 무게를 재어보면
1000g 즉 1kg이다. (부피 1㎤에 든 물의 무게는 1g이다 - 물의 비중은 1이다 / 가로, 세로, 높이 각 1cm의 부피이면 1㎤이며 보통 각설탕의 부피가 1㎤로 나온다 )

우리 인체에 있는 1리터 부피(=들이)의 혈액에서
포도당 성분이 1g(각설탕 1개의 크기)이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면
혈액에서의 혈당의 농도는 0.1%(= 1/1000)이다.
병원은 국민들이 아침 공복에서 혈당이 126 (126mg /100ml =dL )이상의 수치를 보이면 약을 권한다. 심장병, 신장병 등의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우리 인간들은 3끼 밥을 계속해서 먹지 못하면 살지 못하는 연약한 존재이지만 식품에 대해서는 의외로 무심하다. 당뇨환자들은 평소 당뇨약을 먹는 것이나 인슐린 주사를 맞는 것에 대해 너무 귀찮게 생각하지 말고 삼끼의 밥을 먹는 것에 비유해서 위안을 삼고 적극적인 치료(약 복용 등)를 할 것을 제안자는 바란다.
그리하면 정상인들과 다름없이 생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정부는 국공립의 노인요양(병)원을 차별화해서 당뇨나 고혈압이 있는 어르신은 85세 등 일정한 연령 이상에서 요양병원을 구분해서 입원시킨다면 영양관리 및 치료가 쉬워 운영 및 관리비도 줄일 수 있고 당뇨인이나 고혈압증이 있는 어르신의 생존 연령도 늘릴 수 있는 것이다.

※ 1g = 1000mg / 1L = 1000mL = 1000 cc= 1000㎤ / 1dL = 100 mL
※ 시중의 우유는 250mL(종이팩), 750mL (페트병)들이로 포장하여 나오고 있다

※ 공복 상태에서의 국민건강검진에서 혈액(정맥혈)속의 혈당치가 100mg /dL 이하의 혈당치를 ‘정상인의 혈당 기준치’ 로 본다.

-- 2019. 1. 10(목요일) --
등록 : 2019. 1. 10(목요일)
보건복지부(장관 : 박능후)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
* 부분 수정 및 각주 보충
등록 : 2019. 1. 11(금요일)
보건복지부(장관 : 박능후)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
.
.
.
※ 1

인슐린의 효과

인슐린의 효과는 놀라운 것이어서 하루에 1~2mg만 당뇨병 환자에게 주입해도 모든 대사과정을 정상화시킬 수 있다. (-생리학 / 강만식, 김해리, 김성기 공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8년 339쪽 )
.
.
.
※ 2
혈액에서의 정상 혈당 수치

0. 혈당의 정상 혈당치(정맥혈당수치 ×) : 70 ~ 110 mg/dl
( -인체생리학, 이연숙 외 4인, 파워북 2011년 121쪽 )

- 인체는 식후 30분 후가 가장 혈당이 높고 혈당이 180 mg/dl 이상이면 ‘신장의 포도당 재흡수 역치’를 넘어서 소변으로 당이 배출된다. 그래서 당뇨병 여부를 ‘ 소변의 당성분’ 이 아닌 ‘ 혈액검사의 혈당수치’ 로써 판별하게 된 이유이다.
최근에는 보통 식후 시간 구분없이 손가락 혈당이 200 mg/dl 이상이면 ' 상세 검사' 를 해서 당뇨병 여부를 판별토록 안내한다.
( -인체생리학, 이연숙 외 4인, 파워북 2011년 121쪽 )


등록 : 2019. 2. 10(일)
보건복지부 (장관 : 박능후)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 내용 보충 : 인슐린의 효과 / 혈액에서의 정상 혈당수치
.....................
재등록 : 2019. 3. 21(목)
보건복지부(장관 : 박능후) - 참여 - 자유 게시판 외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