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 한약 감기약 (가정 상비약)

작성자
안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 건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 건의...........
가정 상비약(한약 성분) 판매 요청 그리고

0. 제출
1. 경남 산청군청, 군민제안 ( 신청번호 : 1AB-1105-001451 )
2. 경남도청, 도지사에게 바란다

0. 제출 일자 : 2011. 5. 5(목)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 한약 감기약 (가정 상비약)

.....................................................
상기 제목 .......
한의원의 소화제 및 네트워크 감기약에 대한 성분명 명시와 기관지 홍보

답변 : 경남도청 식품의약품안전과 ( 2011년 5월 11일자 )
....................................................................

가.
한약재 가정상비약(해열제 및 소화제 등)이
* 한약재 제조업소에서 생산된 규격품인 경우,
약사법 제56조(용기 등의 기재사항) 규정에 의하여
제품의 용기 및 포장과 첨부문서에 제품명, 제조업소명, 유효기한, 성분명, 용량 등을 표시하여
한의원, 한약국 및 한약 취급약국에서 판매 할 수 있으나,

나.
한의원에서는
진료(진찰)하지 않은 일반인에게 한약(규격품)을 판매할 목적으로
사전에 한약재를 만들어 판매하거나 홍보하는 행위(금지 행위)는
“ 약사법 제31조(제조업 허가 등) 규정에 위반됨으로(한약재 제조업 영업행위) 한의사 임의로 생산, 판매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기관지 등을 활용한 홍보도 불가합니다.
또한 가정상비약 중 한약재 규격품(일반의약품)은
한약국 및 한약취급 약국 등에서 구입 할 수 있음을 알려드리니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
* 한약재 제조업소에서 생산된 규격품..............(건강보험 적용 )
감기약(한약재) : 인삼 패독산(제조 : 대전시 대덕구 소재의 한중제약주식회사)/
기화, 삼소음 (제조 : 경남 진주시 소재의 주, 기화 바이오생명제약 ) - 홍준표 경남지사시 출시 /
정우 삼소음(제조 : 충남 아산시 소재 정우 신약 주식회사 ) - 2018년 1월 출시
등이 나와 있으므로 감기가 오면 한의원에서 진료 후 비교적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며 보통 일주일분까지 처방해 주므로 복용 후 남은 약을 가정에 두면 가정상비약의 감기약이 될 수 있다. 건강 보험의 적용이 되는 감기약이다. ( 2015. 10월 삼세한방병원 / 2018. 1월 삼세한방병원 )
상기 감기약 중 인삼 패독산(한중제약주식회사)은 약효가 다소 떨어져서 아기도 먹일 수 있을 듯하다.

-- 2016. 2. 18(목), 2017, 7. 17(월) 2018년 10월 --

**


작성자 : 안정은

제목 : 한방약, 의료보험 적용


우황청심환 등 수백종,
80~ 90% 싸게 살 수 있어

이르면 2012년부터 쌍화탕, 사물탕, 우황청심환 같은 한방약(韓方藥)을
한의원에서 싸게 처방을 받게 될 전망이다.

지난 20여년간 120여종에만 제한적으로 적용해 온 건강보험대상 한방약을
수백종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정부가 연내에 관련 규제를 풀기로 했다.
이에 따라 약국과 한의원 등에서 파는 봉지약 등 한방제재부터
건강보험적용을 받게 되어
가격이 지금의 10%~20% 수준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규격화 등 품질관리가 쉽지 않은 한의원 첩약의 건강보험 적용은
장기적으로 검토된다.

정부관계자는 2011. 9월 29일 “한방약에 대한 건보 적용 규정을
대폭 손질해 건강보험적용 한방약이 크게 늘어날 수 있는 길을 트기로 했다”면서 “최근 주무부처 (보건복지부)가 관련규정인 즉 한약제제 급여 목록 및 상한 금액표의 개정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현재 건강 보험의 적용을 받는 한방약은 총 124종으로 4,000종이 넘는
양약(洋藥)의 30분의 1에 불과하다.
이것은 정부가 건보적용이 가능한 한방약을 복지부 고시로
일일이 열거하는 제도를 유지하여 왔기 때문이다.
양약의 경우 제약사가 건강보험 적용을 신청하면 그때 그때 건강보험 적용을 해왔다.
한의학계는 건강보험적용이 확대되면 한방약 시장이 수년내에
현재의 2~3배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 2011. 9. 30(금), 조선일보, 정철환 기자 --
등록 : 2013. 5. 13
보건복지부 - 참여 - 자유 게시판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감기약과 신장염 / 폐렴 예방 접종


★ 1

예전 약국에서 짓는 감기약은 독해서인지 복용 후 신장염을 앓은 이들이 적지 않았다.
요즈음은 감기약을 비교적 순하게 짓고 그리고 한의원에서도 보험 적용이 되는 한방의 감기약을 팔고 있다.
감기약이 ‘독하다’ 고 해서 ‘ 관련하여’ 화학적 식중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 화학적 식중독
......................................

0. 감미료 (천연 감미료).........

감미료란 단맛을 느끼는 재료를 말한다.
화학제품으로서 유해성 감미료는
둘신, 시클라메이트, 페릴라틴( perillartine ), ethylene glycol 등이
있다.
이 중 페릴라틴은 감미도가 설탕의 2,000배에 달하나 자극성이 있고 불쾌감을 준다. 차조기 잎의 단맛 성분이며 담배 향료로 이용되며 열이나 타액에 의하여 알데하이드(aldehyde)로 분해되며 신장을 자극하므로 사용이 금지되었다. - 중간 생략 - 페릴라틴은 신장염을 일으키는 등 중독성이 있어 현재 사용이 금지되고 있는 유해 감미료이다.
.
.
참고 문헌
- 식품학, 조영 외 2인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9년 164쪽
- 한국대학 식품영양관련학과 교수협의회, [영양사 시험 문제집 제 2권, 식품위생학 편] 문운당, 2011년 37쪽
.......................................................................................

0. 해열진통제(페나세틴) 외 .......

신장병의 원인은 많으며 몇가지 원인이 같이 작용하기도 한다.
급성신염, 신우염, 혈관 내 울혈, 출혈, 해열진통제(페나세틴),
금, 은, 크롬 등의 독성으로 신장병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에 의한 급성 세뇨관의 괴사로 오줌이 줄어드는 핍뇨 현상이 발생한다.
(- 「식이요법」, 구재옥, 이연숙, 손숙미, 서정숙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0년, 179쪽
.
.
.
★ 2

감기는 겨울에 많다.
연세가 많으면 감기 등 질병에 대한 면역성이 떨어져서 겨울에는 감기에 걸리기 쉽다. 감기를 그대로 방치하면 폐렴에 이르고 폐렴은 죽음을 부른다.
그래서 겨울이 다가오면 지역보건소에서 어르신 감기 예방접종을 실시하기도 한다.
젊은이라도 수술 중이거나 항암치료 등으로 몸에서 면역성이 많이 떨어지면 겨울에 감기를 조심해야 한다. 치료 중인 당해 병원에서는 이 때 감기 예방 접종을 권하기도 한다.

요즈음 평생 한번 맞는 폐렴예방 접종( 23가 백신, 13가 백신)이 개발이 되었다. 보건소에서는 65세 이상 어르신께 23가 백신을 무료로 폐렴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그러나 폐렴 예방 접종을 했다고 감기에 걸리지 않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
등록 : 2014. 10. 25(토)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경남도청 (지사 : 홍준표) - 자유 게시판 (내용 색조 파일 등록)

**
.
.
.
★ 3

감기 치료에 좋은 우리차 - 생강차 / 국화차

쑥도 국화과에 속한다

O. 생강차
재료 : 생강 (12~25g )또는 말린 생강 (4~8g), 정수, 꿀
* 함께하면 좋은 약재 : 인삼, 계피, 대추, 감초

1. 생강은 깨끗이 씻어 숟가락으로 껍질을 벗겨 놓는다. 끓일 때마다 그때 그때 손질해야 향을 살일 수 있다.
2. 손질한 생강을 얇게 저며 썰어 준비한다.
3. 주전자에 물과 저민 생강을 넣고 30분간 끓인다.
4. 꿀을 넣어 식간(식사 후 2시간 정도)에 따뜻하게 복용한다.
..........................

O. 국화차
재료 : 말린 국화 3~5송이, 정수
※ 말린 국화(감국)는 한약재 시장에서 구할 수 있는데 소금에 절여 유통이 되므로 끓는 물에 데쳐 소금기를 제거한 후 말려서 사용한다.

1. 팔팔 끓는 물을 다기처럼 쉽게 식지 않는 그릇에 붓고 분량의 말린 국화를 넣어 5분정도 우려낸다.
2. 찻잔에 향이 우러난 차를 따라서 마신다.

-- 동의보감 가계부(2001년), LG마트 부산 금정점 제공, 146쪽 (12월) --
**
.
.
.
★ 4

노령의 어르신, 연령고본당

제안자 집안의 어르신(남)들은 연세가 들면 한약의 약초를 파는 약재상에서 연령고본당이란 한약의 보약을 꿀을 넣어 알약(=환약)으로 지어 드시는 이가 많았고 그로써 잡병이 없이 장수하셨다. 그런데 2000년대에는 그 약을 지어드신 어느 어르신의 머리에 붉은 반점이 생겨 사라지지 않았고 병원(양방)에 가서 해독제의 약을 써도 효험이 없었다.

제안자는 가까운 한의원에 가서 상기의 연령고본당을 지어 줄 것을 요청하니 갱년기 여성들이 먹는 보편적인 보약(한약의 보약으로 건강보험 적용이 안됨)이 있다고 해서 봄, 가을 일년에 2번 지어먹기로 하였으나 실천이 잘 되지 않았다. 홍삼 체험, 아로니아 체험 등을 하면서다. 그런데 보약을 지어 마시면 감기를 잘 하지 않았고 또한 노령에서의 부실한 치아로 인해 올 수 있는 소화 작용도 도울 수 있을 듯하다.

-- 2019. 3. 22(금)--
등록 : 2019. 3. 22(금)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