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 정부식품 수출
.............................................................
전북 익산에 ‘식품산업 허브’ 만든다
................................................................
[ 정부 제안 추진 내용 2009년 6) ※ 2007년 74 , 2007년 83-1 ]
전북 익산시를 ‘동북아 식품산업 허브(hub →중심축) ’ 로 개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농림 수산 식품부는 2008. 12. 26, 전북 익산지역 400ha에 국내외 식품기업 100여곳과 식품연구소 10여곳을 유치하는 내용의 식품 클러스터(cluster)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 식품 클러스터란 정부기관, 식품관련업체, 연구소 등을 같은 지역에 모아놓고 식품을 국가의 특화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네슬레, 하인즈, 하이네켄 등 세계적인 식품업체 70여곳과 식품 연구소 20여곳이 모여 연간 85조여원의 매출을 올리는 네델란드의 ‘푸드밸리(food vally )가 그것이다 -
식품 클러스터 입지 선정위원장인 서울대 교수(박삼옥)는 “2007년 12월 식품클러스터 대상 광역지방자치 단체로 선정된 전북의 고창, 김제, 남원, 부안, 익산, 정읍 등 6개 후보지역 중 연구 인력 유치 가능성, 교통 편리성, 지자체 추진 의지 등에서 좋은 점수를 받은 익산을 최종 선택했다” 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우선 2009년~2015년까지 예산 1조원을 투입해 1단계 사업을 진행한 뒤, 그 성과에 따라 2단계 사업 (규모 660ha)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익산 식품 클러스터에 부가 가치가 높고 수출에 적합한 기능성 식품(인삼,홍삼), 발효성 식품(김치, 고추장, 된장, 청국장), 유가공 식품(치즈, 요구르트), 육가공 식품(햄, 소시지) 등을 유치하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 예컨데 우수한 배추 품종과 김치 보존 기술을 개발하는 대학과 연구소, 맛있고 위생적인 김치를 담그는 업체, 여기에 각종 지원을 하는 정부기관을 하나로 묶어 김치를 수출 산업으로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식품 클러스터에 입주하는 업체엔 공장 용지 저가 공급, 운영자금 저리 융자, 연구 개발 경비 등이 지원된다. 또한 새만금 경제 자유 구역과 연계하여 해외 기업과 연구소도 유치하기로 했다.
-- 2008. 3. 19(수), 한겨레, 김진철 기자 --
-- 2008. 12. 27(토), 조선일보, 금원섭, 정철환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