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육류, 수산물의 판매 (21)

작성자
안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 * * * * * * * * * * * * * * * * * * * * *

제안서 :
한국전통식품 및 전통양념 제조와 유통에 따른 정부 규제에 관한 고찰과
그 발전방향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1999. 10. 20, 김대중 대통령 / 안상영 부산광역시장 / 윤석천 금정구청장 )

제안자 :
부산광역시 금정구청 기획 감사실 (실장 : 임병철 )
지방행정 주사 (6급), 안정은 (安貞垠)

* * * * * * * * * * * * * * * * * * * * * * * * *

제 목 : 육류, 수산물의 판매 (21)


0. 추가 제안 및 건의 ( 2007. 12. 31, 노무현 대통령), 158쪽~159쪽
0. 제안 건의 071231-1 ( 2010. 6. 26, 이명박 대통령 )

------------------------
--------------------------
------------------------


[ 제안서 183쪽 ~ 186 쪽 ]

라. 수산물의 가공 판매 및 검사

수산물 중 생선은 농산물인 채소류보다 비린내가 나고 부패가 빨라서 유통 기한이 더 짧은 식품이다.
그러므로 수산물은 바다가 가까운 곳에 공장을 마련하여 생선의 비늘을 긁고, 씻고, 내장을 정리하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식생활에 쓰기 쉽도록 장만하여, 부산광역시의 상징과 재활용의 표시가 있는 재활용 용기에 넣어 인체가 닿지 않도록 봉하여 판매하고 시민은 사서 먹은 후, 용기는 씻어서 생선을 다시 살 때, 재활용품으로 반납하도록 한다.
수산물은 쉽게 부패하므로 창란 젓, 오징어 젓 등의 젓갈 형태나 오징어 무침, 쥐포 무침 등의 즉석 식품으로 식품 생산 연구소에서 생산해 내면 유통하기가 다소 쉬울 것이다.
그 중에서 생선회는 비싼 식품이다. 그러나 질병으로 수술한 이후의 환자에게 새살이 돋아 나오는데 좋은 식품(=질 좋은 단백질 식품)이라 하여 생선회를 먹을 것을 권하는 의사들이 많다.
생선회는 가능하면 자연산의 보증된 활어를 수산물 판매장에서 판매할 때, 생선회를 가공 처리할 인력을 수산물 판매 장소에 함께 파견하여 그 장소에서 활어를 생선회로 장만하여, 해당 식품생산원의 이름과 활어를 잡은 어로(漁撈) 전문가의 이름, 생선 이름, 생선을 잡은 날짜와 장소(원산지)를 생선회 판매장의 간판에 명시하여 판매하면 되겠다.〔예 : 광어, 000, 남해산,000, 1999, 9, 3 〕
부산광역시 식품생산연구소에서의 활어의 가격은 식품생산원, 식품 생산 계획공무원의 보수를 제외한 여타 어로 전문가, 여타 생선을 잡는데 든 실비용을 포함시켜 판매 출하가격을 정해야 할 것이다.
활어의 가격과 장만하여 내어놓은 생선회와의 가격이 차이가 나서는 안되며, 생선을 가공할 인력은 생선회를 맡은 식품 생산원이 신뢰할 수 있는 사람으로 직접 채용한 인력이라야 하겠다.
또 이러한 인력에 대한 임금은 생선의 출하 가격 산정 때 당연히 포함되어져야 하겠다.
기타 마른 멸치, 마른 넙치(=가자미), 마른 오징어, 어묵, 창란 젓, 오징어 젓, 참치 가공 등의 생선 가공 식품과 또 생선 외의 수산물인 미역, 김, 몰, 청각, 다시마 등도 식품으로 쓰기 좋게 말려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잘 포장해 낸다면 식품의 유통 과정에서도 편하고 가정의 조리 과정도 한층 손쉽게 될 것이다.
한편 수산물 가공 공장에서 가공하여 다루기 쉬운 수산물은 식품 생산 연구소에서 함께 각 식품유통장소나 동 식품판매소에 운송하여 판매하게 하고, 어로 전문가로부터 인수 받은 생선은 되도록 활어 상태로 보존할 수 있는 바다 가까이의 공동 어시장에 두었다가 각 구별 1개소씩 구청 안에 있는 ‘육류 및 수산물 판매장’ 에 수로 전문가가 싣고 가서 인계하고, 전날 판매장에서 판매한 수산물 판매 내역 및 판매 금액은 같이 탑승한 식품 안전 기금 수산물 계획 공무원(7급)이 판매장의 영양사로부터 수령하여 가까운 지정 은행에 입금한다.
생선은 바다에서 나오면 생명이 비교적 짧은 생물이며 또 육류 고기와 달라서 부패가 빠르며 다른 기타 식품처럼 봉하여 판매할 수도 없다.
수산물 판매장을 넓은 빈 공터에 설치한다면 생선을 실은 차량이 드나들기 쉽고 생선을 구입하는 시민들도 편할 것이다. 그러나 생선을 밤에 지켜야 하는 별도의 인원이 필요하고 시설물도 건축해야 하며 활어를 보관할 바닷물을 넣을 곳, 냉장체제 시설도 갖추어야 한다.
그러므로 수산물 판매장은 육류 판매장과 같이 부산광역시 각 구별 1개소씩 구청 안에 두도록 한다. 장소는 구청 내 한쪽 광장에다 시설을 설치하거나 혹은 기존의 시설 내부의 일정 부분에 육류 및 우유와 함께 생선이나 신선한 해조류를 판매하도록 한다.
생선의 판매에 대한 계산은 영양사가 하며, 생선의 손질, 생선회의 장만 등은 생선 가공 여성 인력 2명이 한다. 물론 이들에 대한 임금은 생선 및 해조류의 출하가격에 포함하여야 하겠다.

- ( 중간 줄임) -
판매장의 개점시간은 아침 9시부터 저녁 10시까지 하며 2교대로 근무한다.
수산물 판매장의 영양사는 식품 생산원이 고용하며 같은 구청에서 1년이상 근무하지 않도록 구청을 돌아가면서 근무하도록 한다.
구청의 수산물 판매장에 대한 검사는 구청에 상주하는 수석 식품 검사원이 하며 하루 1회이상 점검 및 검사하고 검사 기록부를 비치하여야 하며 검사기록부는 5년간 보관한다.
육류 및 우유, 수산물을 판매하는 구청에서는 주위 식품 유통장소와 수산물 판매장의 교통 노선이 연결 될 수 있도록 하여 구민들의 동선(動線: 사람들이 움직이는 거리 )을 줄여 주어야 하겠다.
- ( 중간 줄임) -
또 옛부터 한국에서 하나뿐인 국립대학인 수산대학이 부산에 있어왔는데 1996년 7월 부산공업대학과 합쳐져 국립대학인 부경대학으로 바뀌었다.
.
등록 : 2012. 5. 19(토)
보건복지부 - 참여 - 자유 게시판
부산시청 - 시민참여 - 시민 게시판 외

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8. 육류의 판매
- 제안 건의 071231-1 ( 2010. 6. 26, 이명박 대통령 )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육류는 각시도의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판매합니다.
- ( 중간 모두 삭제 ) -
장장의 보수는 월 230만원이며 영양사는 160만원, 정육 기술자는 200만원을 주도록 합니다. (8시간 근무)
- (중간 줄임)-

장장은 230만원 × (12시각/8시간) = 345만원,
정육기술자(남)는 200만원 × (12시간/8시간)= 300만원
영양사는 160만원 × (12시간/8시간)= 240만원입니다.


※ 제안 건의 071231-1 ( 2010. 6. 26, 이명박 대통령,
외 수신처 : 허남식 부산광역시장 외 15곳 시도지사 )
.
등록 : 2012. 1. 16(월)
식품의약품안전청 - 국민광장 - 여론광장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