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쓴소리 - 체인 음식점

작성자
안 * * *



- 해방 74주년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주 제 : 식품안전

제 목 : 쓴소리 - 체인 음식점


체인 음식점이 박전정부, 국회에서 입법화가 되었다고 한다. 잘한 것이다.
체인 음식점의 식단(=메뉴)은
레시피가 단일해서 식재료를 일괄적으로 처리해서 공급하면 수고도 들고 경제적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들라면 만두가 대표적이다.
이것을 집단 급식소의 유형에서 비교해 보면 ‘중앙 공급식 급식체계’ 로
급식 시설비, 인건비를 절약하기 위해서 공동 조리장을 설치해 조리한 음식을 운반해서 제공하는 방식으로
한 음식점에서 음식을 모두 생산하고 분배하는 기존의 ‘전통적인 급식체계’ 와 다른 방법이다.

현재 시중의 체인 음식에는 감자탕(돼지고기 요리), 갈비탕(쇠고기), 봉평 막국수, 나주 곰탕 등이 나오고 부산에서는 1,2년 전부터 물회가 인기가 있다.
부산의 낙지볶음, 대구 뽈찜 등도 체인(프랜차이즈화) 음식으로 하기 좋은 식품이며
봉평 막국수는 강원도 봉평 메밀 축제에 가면 나오는 대표 음식인데 체인 음식점의 봉평 막국수와 레시피가 같은 음식인지는 모른다.

한국의 과도기적 음식점은 3체제로 운영될 수 있다.
경제력이 있는 업주 중심, 조리사 중심, 영양사 중심 등인데
이 3체제가 따로 참여하면 식당(음식점)에서는 레시피를 공개할 수 없다.
그리하니 충남 안희정 지사시절 ‘미더유’ 라는 비빔밥이 탄생한 것이다.

하동 재첩국은 완전 식품이지만 하동군의 개인들이 생산해서 국민들이 주문해서 먹기에는 값이 비싸므로 최근 제안자가 하동 재첩국을 지역의 향토 음식으로 공급해서 하동군의 음식점에서 ‘제값을 받고 팔라’ 고 한 이유이다.
그리해야 당장 한국의 여행사가 여행 상품을 만들 수도 있다.
영양사의 음식점 운영 제도는 우선 입법화되어야 한다. 제안자가 수차례 “ 당장 어렵다면 입법화해서 시행시기를 늦추면 된다” 고 했지만 그렇게 정치에 따른 ‘철 타령’ 하다가 언제 국민들이 안심하고 음식점의 음식을 먹을 수 있을 것인가. 그리하니 어느 인사는 요즈음 “ 경찰서나 파출소 주위의 음식점에 가라 ” 고 한다. 왜냐면 경찰관들은 3교대로 근무를 하니 주위 음식점 어딘가에서 식사를 할 것이니까....

제안서가 없으면 방법을 몰라서 그러했다지만.....
음식점 운영,
제안서가 없는가 ?
영양사가 없는가 ?
조리원이 없는가 ?

또한 가정에 부엌이 없는가 ?
아파트 1층이면 영양사가 부엌에서 점심을 조리해서 한끼 점심, 이웃에도 팔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것은 음식점의 장소 값(임대료)이 절약이 되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의 정당정치에서 태어난 대통령 중심제의 국가에서는
효율적인 정부가 운영되기 어렵다. 한국은 남북 분단이 되어 대통령 중심제의 국가임에도.....
즉 당해 대통령은 ‘대통령 4년 중임제’ 로 개헌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
문재인 정부 초기에 그런 것으로 알고 있다.
안철수씨(새정치)가 주장했던대로 국회의원수 줄이고
또한 국회의원도 3선 연임으로 제한하도록 하지 않으면 한국 정부도 미래가 없다.
의회주의자라는 김영삼 대통령이 지방자치 실시 중 1995년부터 민선단체장을 정당공천토록 한 것은 새정치를 위한 (잘못된) 중간다리가 아니었는지....정부를 끌어넣어 국회를 개혁하고자.... 김영삼씨는 한국 국회에서 언젠가 제명이 되었으며 또한 그 이전에는 한국 국회의 소급입법으로 최내무부 장관 등 수인을 죽였다. 사형의 시행은 박정희 정부에서였다.
한국 정당정치, 체질개선보다 제도 개혁을 해야 한다. 그리하자면 대통령이 개헌안을 내면 가능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임기 후반, 식품 안전이 어렵다면 새정치를 위한 가능한 개헌이라고 해야 한다. 심판은 국민들이 할 것이다.
역대 한국의 대통령 후보로서 문씨성의 대통령 후보가 몇차례 출마를 하였는데 소속 정당도 없이.....

첨부 파일
1. 식생활 관련소식(1,2)
2. 식생활 관련소식 (3)

참고 문헌
1. 단체급식 / 양일선, 이보숙, 차진아, 한경수, 채인숙, 이진미 공저 / 주, 교문사 2008년 27쪽 ~30쪽
2. 동아일보, 2019. 2. 21(목), 파리 특파원 동정민

등록 : 2019. 8. 15(목) 광복절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