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루테인 체험
제안자는 서점 등에서 읽고 싶은(호기심이 발동하는)책은
그때 그때 서점에서 사 놓고 여가가 나면 읽는다.
(요즘은 읽으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언젠가 부산에서 발행한 수필집 1권을 사서 두었다가 2019년 읽고 있는데 책의 표지에 눈에 좋은 영양제 즉 루테인의 광고가 있는 수필집이어서 또 호기심이 발동했다. 제안자는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날이 많아 수필가들처럼 글을 많이 읽고 쓰는 편이다.
그래서 2019년 초, 어느 약국에서 구입한 외국산의 루테인(캡슐 60개입)을 지인과 나누어 먹었는데
그 1/2인 30개(30캡슐)를 다 먹지를 못했을 때 체중이 2Kg 오르고는 떨어지지를 않았다. 그래서 몇 알을 남겨 두고 하루 한알 먹는 것도 중지했다.
성분에서는 눈에 좋다고 알려진 루테인, 산화 아연, 베타 카로틴(비타민A) 외에도 대두유, 젤라틴(돼지 껍질), 글리세린 등이 있는 자칭 ‘건강기능식품’ 으로 KB손해보험 1억원에도 가입이 되어 있었다.
세간에서는 나이 들어 체중이 내리는 것은 좋지 않다고 말하고
제안자는 삼식이(삼끼의 식사를 집에서 먹는 사람)로 방콕신세(방에 콕 박혀 있는 사람)이라 2kg의 체중 증가에 대해서는 너무 많이 고민하지 않기로 했다.
참고 : 추적 - 당뇨병과 아연 (미량 무기질 )
등록 : 2019. 4. 13(토)
부산시청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 참 고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추적 - 당뇨병과 아연 (미량 무기질 )
인체의 영양소인 미량 무기질(=미네랄)이란 전체 무기질 중 1% 이하로 존재하는 무기질을 뜻하며 철분, 아연, 구리, 불소 등이 이에 속한다. 치매를 가져온다고 최근 알려진 알류미늄 성분, 그리고 금과 은 등의 성분은 영양소가 아니므로 인체에 과량 축적되면 중독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0. 아연의 체내 작용
1. 생략
2. 아연은 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금속효소’ 의 구성성분으로 현재까지 약 100개의 아연을 함유하고 있는 효소가 알려져 있다. - 이하 줄임
3~4. 생략
5. 아연은 인슐린의 작용에서 직접적인 역할은 하지 않으나 췌장에서의 호르몬인 인슐린과 관련이 있다.
6. 생략
7. * 갑상선 호르몬의 작용에 영향을 준다.
8. 생략
9. *시각색소에서 비타민A의 활성형인 레티놀이 생성될 때 필요한 물질이다.
10-11. 생략
0. 아연의 급원식품과 과잉증
아연은 육류, 굴, 게, 새우 등 동물성 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아연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다른 무기질 즉 철분이나 구리의 흡수가 저하되어 이에 따라 빈혈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0. 체내 분포 및 아연의 결핍증
아연은 눈의 홍채, 망막에 많으며 머리카락, 그리고 인슐린이 분비되는 췌장의 베타 세포에 다른 조직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췌장에서의 높은 아연 농도는 인슐린의 생리적 기능을 증가시키고
인체에서 아연이 결핍되어 있을 때에는 여러 가지 성인병 즉 당뇨병, 악성빈혈, 암, 동맥 경화증 등이 나타나고 그리고 피임약을 복용할 때도 아연의 부족증을 보였다. 또한 [아연의 결핍 증상]은 동물에서의 식욕부진, 성장 감소, 심해지면 탈모 및 피부 장애, 일부 신체에서 부종을 보이며 알코올을 과음했을 때에도 나타났다.
0. 아연의 영양상태 평가
혈액 외 머리카락에 함유된 아연량을 측정하기도 하는데 이는 장기간의 아연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로 이용된다.
________________
* 갑상선 호르몬의 작용에 영향을 준다(영양학 260쪽)........ 아연의 결핍은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인 부신피질자극 호르몬(ACTH -코티솔 및 알도스테론을 분비하도록 한다 )의 생성이 억제되며,
뇌하수체 전엽의 기능(호르몬 : 상기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ACTH 외 갑상선 자극 호르몬 TSH, 여포자극 호르몬 FSH, 황체 형성 호르몬 LH, 성장 호르몬, 프로락틴 등)은 부분적으로 낮아졌다(기초 영양학 164쪽).
상기 괄호 속의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은 갑상선을 자극하여 티록신을 분비하도록 하며 미량 무기질인 요오드(I)는 체내에서 70~80%가 갑상선에 존재하며 요오드는 갑상선 호르몬(티록신, 칼시토닌 분비)인 T3, T4의 중요 성분으로 식품에서는 해조류에 많으며 해조류 중 다시마, 미역, 김,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특히 깊은 바다에서 나는 다시마에 요오드(I)가 가장 많으며 얕은 바다에서 나는 김에 요오드가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다.
참고문헌
1. 영양학 / 구재옥. 임현숙. 정영진 공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5년 258~265쪽
2. 기초 영양학 / 서정숙.서광희. 이승교. 정현숙 공저 / 지구 문화사 1997년 163~165쪽
3. 21세기 영양학 / 최혜미 외 18인 공저, 구재옥 외 4인 전문가 의견 / 교문사 1998년 367쪽
4. 생리학 / 강만식.김해리. 김성기 공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8년 311쪽, 319쪽, 336쪽
**
.
.
.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시각색소에서 비타민A .................................
비타민 A는 감귤에 많은 비타민C 함께 산화방지제의 역할을 해서 항암 비타민이라고 불리어진다. 그러나 비타민 C와 달리 조리 식품에서는 섭취가 쉽지 않아서 한국인에게는 칼슘과 비타민 A가 부족한 영영분이라고 식품전문가들은 말한다.
그렇다면 시중에 당근이 많이 나오므로 이를 잘 씻고 껍질을 벗겨 믹서기에 갈아 멸치 주머니에 넣어 짜서 즙으로 마셔보자 ! 이름대로 달므로 너무 많이 섭취하지는 말 것이며 다른 채소와 같이 섞어서 짜지 말고 당근만 따로 짜서 마실 것. 같이 섞어서 짜면 여타 식품의 비타민 C를 파괴한다는 글이 보여서이다.
참고로 무, 당근 등 채소류의 뿌리 식품 중에서 당근이 무보다 오래 보관할 수 있는 것은 당근 자체 내의 산화방지제 즉 항암성의 비타민 A 성분때문이 아닐까 싶다. ( - 2019. 8. 21 수요일 제안자 안정은 보충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