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빅딜 식품 생산 외

작성자
안 * * *


작성자 : 안정은 (제안자 - 영양사)
관련대호 190830-1(2019. 8. 30 금요일 07:16)
수신처 : 문재인 대통령 / 오거돈 부산시장을 포함한 17곳 시도지사 /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제 목 : 빅딜 식품 생산 외


가. 빅딜 식품의 생산
부산 금정구에는 스포원이 있다. 금정구에서 식품과 관련해서 가장 먼저 확보한 부지로 제안자는 생각한다. 당시 안상영 시장 당시 마련이 되었고 이후 바로 옆에 노포 IC(경부선 고속국도)가 새로 생겼다.
이곳 스포원은 부산시 식품생산연구소의 부지가 아니면 한국설탕 생산지 또는 빅딜식품의 생산지로 보여진다. 빅딜 식품의 생산지라면 이곳에서는 개량된장과 충장을 생산해야 한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면 개량된장과 추장은 원정희 금정구청장 당시에 마련한 금정 체육공원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곳 빅딜식품의 생산지에는 생산인력으로 5년 기간직의 영양사들을 넣고 생산소의 소장은 농업기술센터에 근무하는 센터장(5급)을 3년 임기로 부산시장이 발령하도록 한다. 5년은 승진을 해야하는 공무원들에게는 너무 길다.
생산직 영양사( 즉 식품생산인력)들의 보수는 * 월 160만원이다. 부산시에는 재원은 있는 듯하니 오거돈 부산시장은 부산시청에 미래성장추진본부를 구성해서 추진해가야 한다.
또한 경기도 참살이 탁주로 전통식초의 생산, 경기도 양조간장의 생산, 경남 의령의 현미식초의 생산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기장멸치젓 연구소에서는 새우젓(오양 새우젓) 외 가능한 젓갈도 생산해야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국민영양관리법령]에서 대통령령(시행령)으로 기관청의 기간직 공무원이며 별정직 공무원인 영양사가 근무기간 중에도 자신의 음식점을 개업해서 운영하면서 기관청에서 일할 수 있도록 (즉 겸직) 허용해서 기관청에 근무 중의 ‘ 음식점의 영업’ 이 불법화 되지 않도록 대통령의 령으로 규정하여야 한다. ‘음식점의 영양사 운영제도’ 보다 우선 시행할 수 있는 사항이다.
공무원은 법에서는 근무 중 직장이탈 금지조항(공무원법 제50조)이 있는데 영양사는 기관청에서 근무 중에 ‘근무지를 이탈하지 않고’ 도 당해의 영양사가 음식점을 겸해서 운영할 수 있으므로 그러하다. [ 190721-1(2019. 7. 21 ), 식품전문가의 신분 외 : ★ 2-1의 계약직 공무원의 겸직 ]



나. 어린이집 건립도 다단계 ?
다. 어린이집 영양사 근무, 아기 100명이상에서 70명이상으로

부산 금정구 남산동 소재의 어린이 놀이터가 현재 도시공원으로 변하고 있다.
부산 금정구청 (구청장 : 정미영)은 금정구 남산동 소재의 어린이 놀이터에 아이들이 놀지를 않자 금정구청 녹지과에서 한달 전부터 어린이 놀이 시설을 철거하고 도시 공원으로 공사를 하고 있다. 어린이 집으로서의 위치나 장소로는 아주 좋지만 어린이 집을 건립할 재원이 없어서 놀이 시설을 철거하고 우선 기반만 조성해 놓는 듯한데....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아동복지수당법을 없애서
그 재원으로 시도에서 공영의 어린이 집을 건립하도록 해야 한다. 현재 보육관련 법령에는 아이가 100명이상이면 구내 식당에 영양사를 두도록 규정하고 있다는데 그렇다면 그 이하의 아이를 맡는 교회의 어린이집 등에서는 영양사 대신 조리원이 아기들의 점심을 맡고 있는 듯한데 ...
어린이 집에서의 영양사의 근무는 100명 이상의 아기에서 70명 이상으로 바꾸어야 한다. 어린이 놀이터가 골목 등에 있거나 규모가 작은 곳도 있으며 또한 너무 많은 어린이를 맡거나 어린이 집이 아기의 집에서 너무 멀어서도 안되기 때문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월 160만원.................제안 및 건의 (2007. 12. 31, 노무현 대통령 144쪽 ~146쪽)

소장 및 생산인력의 근무형태는 5년 계약직이다. 그러나 빅딜식품의 생산소장은 농업기술센터장급으로 3년간 순회 근무한다. 즉 부산의 개량된장 및 충장 / 경기도 양조 간장 / 경남 의령의 현미 식초 / 제주도의 단무지 / 임실치즈/ 설탕이 들어가는 서울 깎뚜기 등이다.
참살이 탁주로써 만드는 한국전통식품인 전통식초의 생산소장은 제안자가 구체적으로 추천하였다.
기타 전주 한옥마을의 장류 생산, 청국장의 생산(충남 천안), 오양 새우젓(충남 논산)의 생산소장은 각 연구소의 지소장급이다.
.
.
등록 : 2019. 8. 30(금)
제안청 부산시청 (시장 : 오거돈)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보건복지부(장관 : 박능후) - 참여 - 자유 게시판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