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자력 발전 중심의 발전(發電)정책 전면 재검토, 탈핵시대로 ! : 2017. 6. 19일 문재인 대통령, 부산 기장군 고리 원자력 발전소를 정지시키면서 -
- 태양광등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경향하우징 페어에서 본격적으로 전시가 되었다. 제안자는 1983년 대학의 해외연수로 동남아로 나갔을 때 일본에서 휴대용의 작은 태양광원의 전자계산기(제조사 : 내쇼날)를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아직도 건재하다. 그리고 그 이전에는 부산 동래구(현 금정구) 구서동사무소가 태양열을 쓴다며 동사무소 지붕에 태양열 시설을 하였다.
요즈음 중국산의 전자 계산기는 태양광원과 기존의 밧데리 두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나오고 있다. 원자력 발전소 건립에서의 님비현상은 지방화로 나아가면서(가까이 원자력 발전소를 두고 있는 지역의 주민이 값싼 전기료를 낸다) 그리고 기존의 발전소로써 효율적인 한전시책을 펴 나가면 안될 것인지 ? 수돗물로 비유하면 이중 수도화, 원수의 관리, 물의 재활용, 빗물의 이용 등이 있듯이 전력도 심야전기의 활용 등으로 효율적인 전력의 소비를 유도하면서 원자력 발전소의 건립은 점차 풍력발전, 수력 발전으로 대체해 갈 수는 없는지.
5,6년 전 전북 무주에 가보니 수력 발전소가 있었다. 정부는 건축직, 토목직, 전기직 등의 전문직들이 공직에 발을 붙일 수 있도록 공무원의 연금을 20년 근무 후에는 퇴직 즉시 지급할 수 있도록 공무원 연금법을 복원시켜야 한다(상위에 직위가 적은 여성들도 마찬가지다).
이로써 당시 김대중 정부에서 부산시청 공무원 직장협의회 사무실에서는 ‘공무원 연금법 개악’ 이라는 프랑카드가 높이 걸리어져 있었다. 이 조항은 김영삼 정부에서 손을 댄 후 오늘날까지 이어져 왔다는데 당시 직장협의회는 7급이하의 공무원들이 입회를 했으니 신규 공무원들과 관련이 깊다 : 2017. 7. 6 (목) -
.
.
작성자 : 안정은 ( 제안자 - 영양사 )
제 목 : ♬ 태양광의 이용 외 (2)
======== 목 차 ===========
0. 진주 남강 유등 축제와 수산 태양광 발전소 (2017년 11월)
0. 김해에 ‘ 태양광 안심가로등’ 한수원, 50본 설치 (2017년 11월)
0. 태양광발전소, 부산 화명 정수장, LG산전 부산 공장에 설치 (2018. 4월)
----------------
0. 충남, 청정한 수소경제사회의 마중물이 되겠다 (2017년 11월)
----------------
0. 부산 울산 경계지역에 원전해체연구소 짓는다 (2019년 4월 )
0. 전북, 수상 태양광 시설 (2018년 10월)
======================
작성자 : 안정은
제 목 : 충남 당진 석문 호수에 수상 태양광 발전소
제안자는 진주 남강 축제에 3번이나 갔다. 그러나 한지로 만든 유등 한 개도 사오지 못했다. 제안자는 이에 남강의 수면 위에 불을 밝힌 유등들만 띄우지 말고 그 수면 위에 태양광전판을 깔면 안되느냐 고 물은 적이 있었다.
한화가 충남 당진 석문호수에 세계 최대 규모의 ‘수상 태양광 발전소’ 를 한국에 짓는다.
한화 종합화학 . 한국 중부발전 컨소시엄은
충남 당진 석문호에 100매가와트(MW)규모의 수상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는 * 프로젝트의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됐다고 2017. 11. 2일 밝혔다.
100매가와트 중 80매가와트에 해당하는 시설은 한화와 중부발전이 짓고 나머지 20와트는 한국 농어촌 공사가 자체 건설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발전소 면적은 120만 ㎡로 축구장 168개 크기다. 2019년 착공해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사업이다. 수상 태양광 발전은 물 위에 태양광 패널과 전기 시설을 띄워 놓은 방식이다. 현재 최대 규모의 수상 태양광 발전소는 40매가와트급으로 중국에 있다.
-- 동아일보, B3면, 2017. 11. 3일, 금요일, 이은택 기자 --
________________________
* 프로젝트( project ) ............계획, 기획, 설계 / plan보다 구체적인 계획 ( 첨부 파일 : ♬ 태양광의 이용 )
-- 2017. 11. 3일, 금요일 --
등록 : 2017. 11. 3일, 금요일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 민원 120 - 시민 참여, 시민 게시판 외
* * * * * * * * * * * * * * * * * * *
작성자 : 안정은
제 목 : 김해에 ‘ 태양광 안심 가로등’ 한수원, 50본 설치
한국수력원자력이 경남 김해시에 ‘태양광 안심가로등’ 50본을 설치했다.
안심가로등 설치 지역은 가로등이 없어 평소 주민불편이 컸다.
한수원은 김해시 동상동 종로길에서 서상동 원도심 일원까지 약 1.5 km구간에 가로등 50본을 설치하고 지난 11월 18일 김해 운동장에서 점등식을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행사에는 전영택 한수원 기획부사장과 허성곤 김해시장, 배병돌 김해시의회 의장 등을 비롯해 주민 1만명이 참석했다.
태양광 안심가로등은
낮에 충전한 태양광으로 밤에 불을 밝힌다. 한번 충전으로 7일정도 이용이 가능하다. 본당 연간 57.6매가와트의 전기를 절약하는 효과도 있다. 전영택 부사장은 “ 김해를 방문하는 관광객과 지역 주민이 안심하고 밝은 거리를 다닐 수 있기를 바란다” 고 말했다.
-- 부산일보, 2017. 11. 21(화), 17면, 송현수 기자 --
* * * * * * * * * * * * * * * * * * * *
작성자 : 안정은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태양광 발전소, 부산 화명 정수장, LG산전 부산 공장에 설치
부산시는 ‘ 메가와트급 ESS(에너지 저장장치) 연계 태양광 발전소’ 가 화명 정수장과 LG산전 부산공장에 잇달아 설치돼 이달부터 상용발전을 시작했다고 4월 12일 밝혔다.
화명 정수장의 경우에는 침전지, 정수지, 펌프동, 활성탄동 총 4곳에 총 사업비 37억 1000만원 투입됐다.
LG산전 부산공장은 사업비 37억 2000만원이 투입됐다.
부산시는 이에 생산된 전기를 한전에 판매하고 연간 7억원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화명정수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20년간 부지 임대료 수익 4억원, 임대기간 이후 태양광 시설 인수 및 자체 운영으로 10년간 8억원을 벌어들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화명정수장 침전지 상부에 집광 패널이 설치돼 녹조현상 예방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인다.
LG산전 부산공장은 에너지 신산업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해 지붕에 태양광을 설치하려는 공장들의 방문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 이번 상용 발전을 계기로 ‘ ESS연계 에너지 신산업’ 을 집중 육성해 부산시민의 특화된 스마트그리드 사업으로 발전시키겠다 ” 고 말했다.
-- 2018. 4. 13(금), 부산일보, 10면, 박진국 기자 --
등록 : 2018. 4. 14(토)
부산시청(시장 : 서병수) - 부산민원 120 - 시민참여, 시민게시판 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작성자 : 안정은
주 제 ; 식품 안전
제 목 : 충남이 청정한 수소경제사회의 마중물이 되겠다
제안자의 0.5톤 화물차량(경유)에는 화석연료(석유 및 경유)의 차량이 대기를 오염시킨다고 오래 전부터 환경개선부담금이 연 16만원 넘게 새로 부과가 되고 있다. 그 동안 대기에의 공해가 적다는 전기차가 떠올랐지만 전기를 원자력 발전으로 또 해결해야 하는 것이 탐탁치 못했다.
그런데 동시에 수소차에 대해서 언급이 되어졌다 ( 충남도청 홈페이지 + 2017년 11월 KBS 국영 방송 )
충남도청(지사 : 안희정)은
도청 기관지 도정소식(제796호, 2017. 11. 15일)에서
‘ 충남이 청정한 수소경제사회의 마중물이 되겠다’ 며 2017. 11. 1일, 공주 아트센터 고마에서 열린 ‘ 제2회 수소 에너지 국제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수소 에너지 보급 및 확산을 위한 국가 로드맵 수립과 세계 각국 지방 정부간 파터너쉽 결성을 제안했다 - 이하 줄임
그리고 2017년 11월 16일 및 17일 KBS 국영 방송에서는
수소차의 에너지는 물과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태양빛 등 자연자원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현재의 주유소 및 차량의 연료 탱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미래를 설명하여 제안자도 관심이 많다
-- 2017. 11. 17(금) --
등록 : 2017. 11. 17(금)
부산시청 (시장 : 서병수) - 부산민원 120 - 시민 참여 - 시민 게시판 외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작성자 : 안정은
제 목 : 부산 울산 경계지역에 원전해체연구소 짓는다 (2019년 4월 )
우리나라 원전해체산업의 전진기지역할을 할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가
부산시와 울산시 경계지역에 들어선다. 원전해체산업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원전대체사업으로 급부상하는 분야다.
2019. 4, 11일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주무부처인 산업부(장관 : 성윤모)는 15일 상기사항을 발표할 예정으로 정부는 총 36,000여 ㎡ (약 10,900평)부지에 총 사업비 2,400억원을 투입해서 오는 2023년까지 원전해체 연구소를 건립할 계획이다. - 이하 줄임
-- 2019. 4. 12(금), 부산일보 1면 송현수 기자 --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작성자 : 안정은
제 목 : 전북, 수상 태양광 시설 (2018년 10월)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10월 전라북도에서 열린 ‘ 새만금 재생 에너지 선포식 ’ 행사를 마치고 수상 태양광 시설을 둘러 보았다.
( - 부산일보 2019. 6. 5일자 수요일, 4면 동영상 )
-- 2019. 6. 5(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