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인천광역시립박물관 간행 -박물관풍경- 2023 여름호 58호를 읽어야 한다.

작성자
송 * *

<박물관풍경>이번 2023 여름호 58호에 나온 노승환기자 글(난 송도유유원지의 부활을 믿지 않는다)는 글은 인천을 본향으로두고 있는 인천인들 미추홀인들이라면 아니 모든 시민들이 반드시 읽어야 하는 글이라고 생각하여 독후의 글로 마련하여 소개한다.

<박물관풍경>은 인천광역시립박물관에서 간행하는 계간지로 인천살이 얼마던가! 송도살이 얼마던가! 아암살이 얼마던가! 하던 차에 제 스스로 자칭 아암도지킴이라고 하며 송도유원지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우리 인천사람이라면 빠르면 30대후반 이후의 본향인 인천인이라면 이글을 읽으시면 송도유원지 흔적의 자취가 있는 게시의 글을 읽고 공감의 영역을 함께 할 것이라 본다.

섬 아닌 섬으로서의 아암도에 애착을 가지고 <박물관풍경> 애독자로서 송도살이 아암살이 정말 인천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송도유원지에 대해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라면 , 그래 정말 이렇게 역설적이고 자조섞인 언급ㅡ난 송도유원지의 부활을 믿지 않는다, 화살표 그 정반대, 지난 20년동안, 추억은 흔적일 뿐이다 힘이 없다ㅡ에 인천인의 애향심, 송도살이, 아암살이에 무엇이 왜 필요한가에 대한 큰글씨 명제에 대해 분명한 행동지표를 제시를 해주었다고 본다.

필자인 노기자님은 이 글로 송도유원지의 부활을 소원하며 인천인들 서울보다 먼저였던 마추홀인들의 가슴을 후벼파고 있다고 본다. 인천인들 미추홀사람들에게 꼬옥 이번 이 기회에 이 인천광역시립박물관 계간지 <박물관풍경> 구독을 권합니다.
기자는 글에서 만약 누군가가 " 3천만 원을 내시라. 그럼 당신이 여섯살때 엄마 아빠 손을잡고 갔던 그 1982년 송도유원지에 딱 한 시간 시간여행을 다녀올 수 있다"라고 하면 난 0.1초도 망설이지 않을것이다 라고 하는 말에서 이다.

그리하여 정말 이 연재 글로 한 여름의 청량산에서 불어온 인천시립박물관 여름호 <박물관풍경>소리와 함께 시원한 바람이 송도살이 아암살이 부활의 재추진 출발점이 되기를 함께 소망한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