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특정 개인이나 기관을 비방하려는 목적이 아닌, 시민 입장에서 느낀 절차 설명의 명료성에 관한 일반적 의견입니다. 정치적 목적이 없으며, 개인정보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최근 감사결과 통지문에서 “민원답변에 대한 회피성 답변 의심에 따른 소명 차원의 안내였으며, 과거 답변들의 유효함을 회신한 사항”이라는 안내를 접했습니다. 시민의 관점에서는 무엇을 어떤 자료로 확인했고, 결론이 어떻게 도출되었는지 파악이 하나도 되지 않습니다.
 
 
개인적 소감으로, 답변서에 다음과 같은 설명 요소가 함께 제시된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감사 범위와 대상 사안 요지(검토 기간·관련 문서 제목/일자 수준의 목록)
 
 
- 주요 확인자료 종류(내부결재문서, 현장확인 기록, 적용 법령·조례 조문 등)
 
 
- 쟁점별 판단 기준과 근거 조문
 
 
- 결론의 요지와 사후 안내의 존재 유무
 
 
행정에 대한 신뢰는 결과 못지않게 설명의 투명성과 구체성에서 비롯된다고 믿습니다.
 
 
인천시의 감사행정이 피감기관의 의견만을 듣고 그대로 민원인에게 안내하는 것이 감사인줄 아는것인지
 
 
아님, 감사자체를 할수 없을정도로 피감기관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졌는지 
 
 
개별 민원이라 판단하여 민원자체를 무시하여 답변을 하여도 된다고 판단하였는지 ㅋㅋㅋ
 
 
"과거 답변들의 유효함을 회신한 사항" 이게 무슨 감사조사기관의 답변입니까? 
 
 
과거 무슨 답변들이 있었는지는 아십니까?  과거 답변이 있는지  감사해달라고 감사요청을 했는데 이렇게
 
 
답변을 하는 감사기관이  인천시 감사기관입니까? 
 
 
시민들이 같이 보고 현 상황을 판단하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글을 올립니다. 
 
 
예를 들면 범죄자가 ,  나 범죄를 저지를 일이 없습니다. 하면 그거로 조사가 끝나는 경우 입니다. ㅋㅋㅋ
 
 
다시 한 번 밝힙니다. 본 글은 의견 공유일 뿐이며, 어떠한 답변·조치·개별 연락도 원치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