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상면 길직리(吉稷里)
○길직
농토가 적고 황무지여서 피를 심어 먹고 살았는데 피가 잘되어 길직리라 칭하였다.
○가루산
미라벌 서편에 있는 산.
○관사(官舍)말
효자 터 동쪽에 있는 마을. 옛날 길상목장이 있던 시절 목자가 거처하였던 자리이다.
○귓골
관사말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구곡(廐谷)이라고도 부른다.
○까치골
관사촌 북쪽에 있는 마을로 까치볼이라고도 한다.
○등잔산
미라볼 남쪽에 있는 산으로 모양이 등잔처럼 생겼다.
○마귀내
관사말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 길상목장의 마굿간이 있었으며 마그네라고도 부른다. 말이 먹던 하천이 있어 마귀내(馬廐川)라고 하였다.
○마파지
효자 터 북쪽에 있는 골짜기.
○목비고개
불은면에서 길상면으로 넘어가는 고개.
○미라볼
마그네 서쪽에 있는 마을.
○박산골
장촌 남쪽에 있는 마을.
○방죽말
새장 터 남동쪽에 있는 마을로 방축을 쌓아 생긴 마을이라 하여 방축마을이라 부르다가 현재는 방죽말로 바뀌었다.
○백운곡(白雲谷)
효자 터 북쪽에 있는 마을. 고려 때 문장가 백운(白雲) 이규보(李奎報)가 살았다.
○새태고개
새태에서 관사말로 넘어가는 고개.
○샛자리
길직리 앞에 있는 들.
○원수물
큰우물 서쪽에 있는 우물.
○장재산
관사말 북쪽에 있는 산.
○장촌(張村)
방죽말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장씨가 집단을 이루고 살았다.
○장촌교
장촌앞에 있는 다리.
○피미(被米)
산전(山田)이 많고 논이 적어 피를 재배하여 생활하던 마을이라 피미라 부른다.
○하방골
직산에서 북쪽에 있는 마을.
-
공공누리
-
-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