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명유래

도화동(道禾洞)

분류
미추홀구(舊 남구)
출처
2002년도 인천광역시사
담당부서
문화재과 (032-440-8383)
작성일
2013-12-01
조회수
2079
도화동(道禾洞)은 1914년 일제가 도마동(道馬洞)과 화동(禾洞)의 첫 글자를 합해 만든 이름이다. 구한말 이곳은 인천부 다소면에 속해 있었는데 당시에는 베말(쑥골)과 도마다리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1903년 인천부가 동네 이름을 확정할 때 이 이름이 각각 도마교리(道馬橋里)와 화동이 됐고, 이것이 일제시대에 도화리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가 광복 뒤에 도화동이 된 것이다.
‘베말’은 농사를 많이 짓는 ‘벼마을’이라는 뜻으로 ‘쑥골’이라는 이름으로 더욱 많이 불렸는데 이것이 나중에 한자로 화동이 됐다. 물이 많고 농사를 많이 지었던 곳이기 때문에 주변에는 방죽이 많이 쌓여 있었고 메기가 많이 살아서 메기골말이라 불렸던 곳도 있었던 것으로 전한다.
‘도마다리’에 대해서는 지금의 수봉산 입구 일대 지역으로 이곳에 말이 지나 다니는 다리가 있었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라는 설명이 있다. 일설에는 1883년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경인도로가 만들어질 때 이곳에 도마다리가 생겼다고 하는데 확실치는 않다.
한편에서는 지금의 시립 인천대학교 일대가 옛날에 말을 방목하고 훈련시키던 곳이어서 ‘도마(導馬)’라는 이름이 생겼다가 이것이 다시 ‘도마(道馬)’가 된 것이라고도 하는데, 이 역시 제대로 고증되지 않는 내용이다.
이보다는 ‘도마’를 ‘둥글다’ ‘사방을 둘러싸다’라는 뜻, 또는 여기서 좀더 뜻이 넓어져 ‘산’을 나타내기도 했던 옛날 우리말 ‘둠‘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해 보인다.
‘둠‘은 지금도 ‘두메산골’ ‘두밀리’ 등의 이름에 그 자취가 남아 있으며, ‘두마’ ‘두모’ ‘두미’ ‘도마’ ‘대마’ ‘두무’ ‘대미’등의 다양한 변형을 갖고 있는 말이다. 오늘날 ‘산(山) 뱀’을 뜻하는 ‘도마뱀’의 ‘도마’나, 제주도 한라산의 원 이름인 ‘두무악’의 ‘두무’도 같은 뿌리로 해석된다. 이렇게 보면 ‘도마다리’는 결국 ‘산으로 건너가는 다리’로 해석이 되는데, 동네 바로 앞에 수봉산이 있으니 그곳으로 건너가는 다리였던 것이다.
도마동과 화동이 합쳐진 도화동처럼 일제는 우리 나라의 땅 이름을 새로 지으며 두 곳의 동네 이름에서 한 글자씩을 따서 붙임으로써 그 유래를 알기 어렵게 만든 경우가 숱하게 많다. 인천만 해도 간석동(간촌+석촌), 관교동(관청말+향교리) 등 여러 곳이 이에 해당한다.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문화유산과
  • 문의처 032-440-8384
  • 최종업데이트 2023-10-17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