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총서

2005년 인천역사문화총서 제19호 <인천 역사 2호-인천 문학의 재조명>

담당부서
문화유산과 시사연구팀 (440-8384)
작성일
2018-03-19
조회수
852


19. 『인천역사 2호 –인천문학의 재조명-』

 - 도서 정보: 152 * 225mm(신국판)/271

 - 기획·총괄: 강덕우(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전문위원), 강옥엽(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전문위원)

 - 집필: 이원규(소설가, 동국대 문예창작과 겸임교수), 남기홍(한국방송통신대 강사), 김명임(가톨릭대 강사), 이희환(인하대 강사), 안정헌(기능대 강사), 조성면(문학평론가,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전임연구원), 권용선(인천대 강사), 황규수(인하대 강사), 신언호(인천시립전문대 강사), 이영수(인하대 강사), 남동걸(성결대 강사), 이연세(인하대 강사), 홍상훈(서울대 강사), 간호윤(서울교대 강사), 권혁률(길림대 교수)


 <목차>

1. 인천 공간 소설 쓰기

2. 이광수와 인천(1)-『재생』에 나타난 인천의 미두를 중심으로

3. 노동자의 삶과 유희의 도시 ‘인천’ - 강경애의 『인간문제』와 이태준의 『밤길』을 중심으로

4. 인천 지역 근대문예운동의 흐름 –엄홍섭을 중심으로

5. 『대중일보』 소재 수기 연구 – 趙炳甲의 「추럭」島受難記

6. 경인선 열차를 타고 떠나는 역사·문학 기행

7. 항구의 풍경, 1918년 가을의 인천항 - 『반도시론』 1918년 11월 호에 기대어

8. 조병화의 인천 시절과 시편

9. 富平區 地名의 由來

10. 「하음 봉씨설화」에 나타난 신화성

11. 甁窩 李衡祥과 인천

12. 霞谷 鄭齊斗의 學問과 思想

13. 선비정신의 정화로서 강화학

14. <江都夢遊錄>의 實證的 考察 - 등장 인물을 중심으로

15. 루쉰, 식민지 그리고 홍콩


※ E-BOOK(고화질) 링크 주소 ▼

https://ebook.incheon.go.kr/e-book//ecatalog5.jsp?Dir=645


첨부파일
19-인천역사2.pdf 미리보기 다운로드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문화유산과
  • 문의처 032-440-8383
  • 최종업데이트 202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