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의 문화인물 의천(義天)
- 의천의 생애와 업적 -
○ 의천(義天 : 1055∼1101) : 고려시대 천태종의 개조(開祖), 선(禪신)과 교(敎)의 수행을 함께 추구,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불서를 모아 속장경 간행, 주요저서 <대각국사문집>, <신편제종교장총록> 등
○ 왕자로 태어나 11세에 출가하고 47세로 입적할 때까지, 오직 구법(求法)과 전등(傳燈)을 발원하며 수행과 학문과 강학(講學)으로 일생을 살았던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그는 고려 전기의 대표적 고승이면서 탁월한 불교학자였고, 우리나라 천태종의 시조였다. 그리고 교장(敎藏, 즉 續藏經)의 간행, 천태종의 창설, 활발한 국제 교류 등 그의 활동과 업적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불교 전체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 의천은 문종의 넷째 아들로 어머니는 인예태후(仁睿太后) 이씨로 1505년(문종 9)에 태어났다. 이름은 후(煦), 자는 의천(義天), 대각국사는 그의 국사호다. 국사 32세 때에 송의 철종이 즉위함에 그의 휘 후(煦)를 피하여 이때부터 이름 대신에 자 의천을 사용했다.
○ 그는 불교학에 대한 깊고 넓은 이해를 가졌기에 장소의 수집과 {신편제종교장총록}의 편성, 교장의 조판과 그 전파 등의 업적을 남길 수 있었다. 이러한 그의 업적은 세계 불교사에서도 선구적인 것이었다. 불교 교학의 연구서 만을 집대성하여 간행한 교장(속장경)은 장소(章疏)의 보존과 유포는 말할 것도 없고, 동아시아 불교계의 교학 연구에 크게 이바지했기 때문이다.
○ 또한, 교장을 간행하고, 천태종을 창설했으며, 교관병수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것은 모두 그의 업적이자, 사상적인 특색이지만, 교학 연구 자세나 방법이 갖는 현대적 의의 또한 적지 않다.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다는 학구열, 전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되 천년 이후를 생각하는 진지한 자세, 동아시아 불교의 보편성과 신라 불교의 특수성에 대한 균형 있는 인식, 활발한 국제학술교류, 방대한 자료의 수집, 엄격한 비판과 정밀한 교정, 후학을 위한 계속된 강의 등의 진리 탐구 자세는 지금도 그 빛을 잃지 않았기 때문이다.
-
공공누리
-
-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