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반상회보

태풍피해 예방

담당부서
자치지원과 (032-440-2430)
작성일
2003-10-05
조회수
1835
태풍피해 예방



1. 태풍이란?
□ 북태평양 서부에서 발생하는 열대저기압 중 중심 부근 최대풍속이 초속 17 m 이상의 강한 폭풍우를 동반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열대저기압을 북중미에서는 허리케인, 인도양에서는 사이클론이라 부릅니다.
2. 태풍의 이름과 특징은?
□ 태풍이름은 태풍위원회 14개 회원국이 10개씩 제출하여 총 140개가 있고, 우리나라 이름은 개미, 나리, 장미, 수달, 노루, 제비, 너구리, 고니, 메기, 나비 등이 있습니다.
□ 많은 비와 강한 바람을 동반하며, 중심 부근에는 바람이 약하고 맑은 날씨를 보이는 "태풍의 눈"이 있습니다.
□ 태풍 진행 방향의 오른쪽은 위험반원으로 많은 비와 강한 바람에 의한 피해가 더 큽니다.
□ 태풍은 열대지방에서 발생하여 온대지방으로 다가오면 편서풍과 낮은 해수면온도 등의 영향으로 진로의 변화가 유동적입니다.
3. 태풍 접근 시 기상청은?
□ 태풍이 우리나라로 다가오면 태풍정보·특보를 발표하며, 특히 폭풍·호우·해일 현상 등으로 재해가 예상될 때 태풍 주의보를, 막대한 재해가 예상될 때 태풍경보를 발표합니다.
□ 태풍이 북상 시에는 수시로 기상전화 131, 기상청 홈페이지(www.kma.go.kr), 인근 기상관서, TV, 신문에서 태풍
예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특히 악기상이 긴박하게 예상될 때 기상청에서는 기상전문 케이블TV인 웨더뉴스채널과 공동으로 기상예보 및 특보사항을 24시간 기상긴급방송을 실시합니다.
□ 또한, 태풍, 집중호우 등에 의해 기상재해가 예상될 때, 지리산부근과 경기북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휴대폰 가입자에게 긴급한 기상정보를 신속하게 알려주는 문자서비스를 실시합니다.
4. 태풍 접근 시 대처 요령은?
□ 창문·지붕·입간판 등이 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 확인하고 위험이 있는 담장·축대, 하수구·배수구는 사전에 점검하시기 바랍니다.
□ 많은 비와 강한 바람이 예상되므로 가급적 외출을 삼가고 위험지역에서는 즉시 안전지대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 기상청 발표 기상정보 이용을 생활화하시면 기상재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자치행정과
  • 문의처 032-440-2436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