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성동(北城洞)
북성동
월미도가 있는 북성동(北城洞)은 구한말에 인천부 부내면 지역으로 한적한 어촌과 산지에 불과한 곳이었다. 1903년 만석동으로 들어갔다가 1912년 일본식 이름으로 화방(花房) 1∼3정목이라 하여 인천부에 편입됐다. ‘화방’은 임오군란 당시 일본 공사였던 하나부사[花房義質]를 일컫는 말로, 그가 당시에 간신히 서울을 탈출한 뒤 이곳에서 월미도를 거쳐 일본으로 달아난 것을 두고 일본인들이 오만하게 갖다 붙인 이름이었다. 광복 뒤인 1946년에야 이곳은 옛날 북성(北城)이 있던 곳이라 하여 북성동이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북성 때문에 동네 이름이 생긴 것인데 『세종실록지리지』에 보면 “인천군(仁川郡)의 서쪽 15리에 제물량이 있다. 성창포(城倉浦)에 수군 만호(水軍萬戶)가 있어 수어(守禦)한다”는 기록이 나온다. 또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인천부 서쪽 19리에 제물량영(濟物梁營)이 있다”, “제물진은 인천부 서쪽 18리에 있는데 성 주위가 250보”라는 기록이 있다. 지금은 그 흔적도 남아있지 않아 정확히 알 수가 없지만 향토사학자들은 여기서의 제물량, 제물포영, 제물진의 성이 바로 북성인 것으로 보고 있다. 그 위치는 지금 자유공원이 있는 응봉산 자락이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이 북성 때문에 지금 월미도 가는 길에 대한제분이 자리잡고 있는 곳은 매립되기 전 북성곶(北城串)이라 불렸고, 그 발음이 변해 ‘북성구지’라고도 했다. 그러나 효종 때 북벌(北伐)정책이 강화되면서 이 성에 주둔했던 군대가 강화도로 옮겨가자 북성은 그 기능을 잃게됐고, 이 일대도 점차 쇠락하기 시작했다. 병인양요 이후에는 외국의 침략에 대비해 북성 주변 바닷가에 북성포대를 세우기도 했지만, 인천항이 개항하면서 이도 필요가 없게 돼 결국 없어지고 말았다. 하지만 인천항이 개항한 뒤 외국인들이 이곳으로 많이 몰려들면서 새로운 변화를 하게 된다. 1977년에는 인근 선린동과 행정동으로 합쳐졌다.
선린동
자유공원 밑자락에 있는 선린동(善隣洞)은 구한말 인천부 부내면에 들어있던 지역이다. 인천항 개항 이후 자유공원 일대에 만들어진 여러 나라의 조계 가운데 청국지계에 해당하던 곳으로, 많은 중국 사람들이 모여 살아 흔히 청관(淸館)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곳이다. 개항 직후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청관은 지금의 중화루에서 한국회관을 거쳐 오림포스호텔로 향하는 언덕길 양쪽이 그 시가지였고, 북성동사무소가 있는 큰길이 그중 번화가였다. 이곳에는 1895년 주한 총리 원세개(袁世凱)를 따라 들어온 동순태(同順泰), 인합동(仁合東), 동화창(東和昌) 등 청나라 거상(巨商)들의 큰 점포가 줄지어 서 있고 그 뒤로는 여관, 잡화상, 음식점, 주택들이 빽빽이 들어서 있었다. 지금 ‘인천 화교 소학교’가 있는 자리에는 ‘이사부(理事府)’라는 이름의 영사관이 있었는데, 이처럼 ‘청나라의 관청이 있는 동네’라는 뜻에서 ‘청관’이라는 이름을 얻게된 것이다. 그러나 청관은 1930년대 만주사변과 중일전쟁이후 일본의 위세에 밀려 쇠락하기 시작했다. 일제는 이곳에 사는 중국인들을 얕잡아봐 1914년 동네 이름을 새로 지을 때 지나정(支那町) 또는 미생정(彌生町)이라 짓고 인천부에 편입시켰지만, 1930년대 이전까지는 중국인들의 세력은 대단했다. 선린동이라는 이름은 광복 직후인 1946년 붙인 것으로, 이름 그대로 ‘중국인들과 옛날과 같은 친선 관계를 유지하자’는 뜻이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우리 정부가 화교의 경제권 확장을 제한하는 정책을 폄으로써 청관은 지금껏 과거의 영화를 끝내 되살리지 못하고 있다. 1977년에는 행정동으로 북성동과 합해져 현재 이 동에 속해있다.
월미도
인천을 대표하는 섬 월미도(月尾島)는 흔히 ‘생김새가 반달[月]의 꼬리[尾]처럼 길게 늘어져 있다’고 해서 붙은 이름으로 해석되곤 한다. 언제부터 이렇게 불렸는지는 확실치 않으며 『세종실록지리지』나 『동국여지승람』에는 이 섬에 대한 기록이 나오지 않는다. 『대동여지도』에 와서야 월미라는 표기와 함께 행궁(行宮)이라고 부기(附記) 돼 있는 것이 보인다. 결국 조선 중기 이후에 ‘월미’라는 이름을 얻게 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그 생김새 때문이라기 보다는 순 우리말 ‘달뫼’가 한자로 바뀐 것일 가능성이 크다. ‘달’은 ‘산(山)’ 또는 ‘높다(高)’는 뜻을 가진 옛말이다.
일례로 산에 있는 쥐를 말하는 ‘다람쥐’는 ‘달+암+쥐’의 형태인데, 이때 ‘달’이 바로 ‘산’의 뜻인 것과 같다. 또 ‘뫼’는 ‘산’을 말하는 옛말이니, 결국 ‘높은 뫼 (섬)’와 같은 뜻의 ‘달뫼(섬)’로 불리던 것이다. 이것이 한자로 바뀌는 과정에서 그 뜻이 잘못 전해져 ‘달(高)’을 ‘달(月)’로 받고, ‘뫼’를 ‘미’로 받아 ‘월미’가 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월미도는 예전에 사람들이 달뫼 또는 달뫼섬이라고 불렀으나, 이것이 한자로 바뀔 때 내용을 잘못 알아 지금의 이름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병인양요 때는 인천 앞바다에 정박한 프랑스 함대의 로즈 제독이 자신의 이름을 따서 월미도를 ‘로즈섬’이라 불렀고, 그 이름이 서양의 지도에 그대로 적히기도 했다.
-
공공누리
-
-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