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곡동 뫼끝말, 뫼꼴말, 뫼꼬지, 뫼꽃말[山花村], 꽃밭골[花田谷]
뫼끝말은 마을 서쪽 뒷산인 원적산 한 가닥 줄기가 동쪽으로 흘러 내려 이 마을에 와서 뭉치어 아름다운 동산을 이루었는데 이 동산 밑에 마을이 생기어 뫼의 끝이란 뜻에서 뫼끝말이라 한다. 뫼끝말을 뫼꼴말이라고도 하는데 뫼꼴말은 뫼의 남쪽은 작은 골짜기이고 북쪽은 큰 골짜기를 이루고 뫼 끝의 좌우에 더 작은 꼴짜기에 마을이 있어 산골짝의 마을이란 뜻으로 뫼꼴(산골)말 혹은 산곡리라 부르게 된 것이다. 뫼꼬지는 뫼끝말이 뫼의 끝이기 때문에 뫼의 곶(串)이 되므로 뫼꼬지가 되었다. 그러므로 뫼꽃말은 뫼곶말이 후에 잘못 변화하여 된 것이지 결코 산에 꽃이 많아서 붙여진 이름은 아니다. 꽃밭골도 마찬가지다.
-
공공누리
-
-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