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시 국민행동요령(책자, 리플릿)
평상시에 미리 준비하기 대피장소 사전에 파악해 두기 가까운 민방위 대피소 확인 요령 휴대폰에서 네이버지도앱, 카카오맵, T맵, 안전디딤돌 앱 등을 이용하여 '민방위 대피소'를 검색하면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대피소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전디딤돌(앱), 국민재난안전포털(홈페이지)에서는 대피소 정보 및 국민행동요령 등 비상대비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장마, 태풍 등 집중 호우가 예상되는 시기에는 '침수 취약 지역(저지대)'에 있는 지하시설 등으로 대피하지 말고, 보다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공격 상황별 대피장소 평소 생활 장소(가정, 직장, 학교 등) 에서 가까운 대피 장소를 사전에 파악해 둡니다.표정보 상황 대피장소 재래식 무기 공격(일반적 공격) • 민방위대피소, 아파트 · 대형 건물 등의 지하 주차장 및 지하철 역사 등 화학 공격 • 외부 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높은 층의 실내 공간 생물학 공격 • 지정대피시설, 가정 등 외부 공기를 차단하고 머물 수 있는 실내 공간 핵·방사능 공격 • 민방위 대피소, 아파트 · 대형 건물 등의 지하 주차장 및 지하철 역사 등 생존배낭 꾸리기 생존배낭은 비상상황 발생 시 대피소 등에 대피 후 생활을 위한 최소한의 생활용품입니다. 평상시에 2~3일 분의 식수, 식량, 생필품, 상비약, 라디오, 손전등, 화생방 대비용품 등을 가방, 캐리어 등에 담아 준비해 둡니다. 생존배낭은 각자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사람 분량씩 준비합니다. 음식은 가급적 조리 없이 먹을 수 있는 간편식을 준비하고, 정기적으로 유통기한을 확인하여 교체합니다. 정부의 안내 방송 청취를 위해 라디오 건전지는 여분을 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