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반상회보

동절기 전기, 가스 등 안전사용

담당부서
자치지원과 (032-440-2430)
작성일
2003-09-30
조회수
950
- 동절기 전기, 가스등을 안전하게 사용하여 사고를 예방합시다. -

○ 전기사용 안전수칙을 잘 지킵시다.
- 아이들이 플러그나 콘센트, 사용중인 전열기를 만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 휴즈는 반드시 규격품을 사용하고, 젖은 손으로 전기조작을 하지 않는다.
- 장시간의 전열기 사용을 피하고, 외출시 전기코드를 뽑았는지 확인한다.
-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을 금하고, 누전차단기를 1달에 1회 이상 점검한다.

◇ 감전시 응급조치요령
① 환자를 만지지 말고 플러그를 뽑거나 전원을 차단한다.
② 필요시 인공호흡을 시키고, 긴급환자는 인근병원으로 이송한다.

◇ 전기화재 발생시 행동요령
① 먼저 전기 스위치를 꺼서 전기 흐름을 차단하고 119에 신속히 신고한다.
② 발화초기에는 모래, 물,소화기 등으로 최단시간내 진화하고 진화가 불가능
할 경우 밖으로 긴급히 피신한다.


○ 가스 안전수칙 4가지를 지킵시다.
- 사용 전 : 가스누출 확인 및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창문 개방)한다.
- 사용 중 : 불구멍을 자세히 보고 점화되었는지 확인한다.
- 사용 후 : 콕크나 중간밸브를 잠그고, 장기간 미 사용시 용기(메인)밸브까지 잠근다.
- 평상시 : 비눗물, 점검액 등으로 호스 및 이음새부분을 수시 확인한다.
가스누출경보차단장치 등을 설치하고 작동상태를 점검한다.

◇ 가스누출시 응급조치요령
① 모든 밸브(코크, 밸브 등)는 잠그고 모든 문(창문, 출입문 등)을 연다.
② 전기코드는 절대로 끼우지도 말고 뽑지도 말아야 한다.
(스파크로 인한 가스폭발 가능성이 매우 높음)
③ 즉시 가스판매업소, 도시가스회사 등에 연락하고 조치 후 사용한다.

◇ 가스안전점검에 전 국민이 참여합시다.
① 가정에서는 LPG용기를 반드시 별도의 용기보관실에 설치하여 수시로 점검한다.
② 도로주변에서 LPG용기가 보이지 않도록 하고, 고무호스의 길이를 가스연소기로부터 3m 이내로 설치한다.
③ 위험물 취급소는 가스공급시 누설 검사 및 용품상태를 반드시 점검한다.
첨부파일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자치행정과
  • 문의처 032-440-2436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