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에 대해 알고계십니까?
1. 황사란?
□ 중국과 몽골의 사막지대, 황하 중류의 황토고원 등에서 강한 바람에 의해 다량의 먼지가 공중으로 떠올라, 바람을 타고 이동하면서 지표면에 낙하하는 현상입니다.
□ 우리나라의 지난 30년간(1971∼2000년) 봄철(3∼5월)의 평균 황사일수는 약 3.3일이며, 4월에 가장 많이 나타납니다.
□ 최근에는 황사 발원지인 중국내륙 건조지대의 가뭄 및 사막화가 계속되고 있어 황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2. 황사의 영향
□ 좋은 점
ㅇ 화강암 성분으로 이루어진 우리의 산성 토양을 알칼리성 황토가 중화시켜 줍니다.
ㅇ 식물 성장에 중요한 구실을 하는 무기질 성분이 들어있고, 바다의 적조현상을 억제시킵니다.
□ 나쁜 점
ㅇ 호흡기·알레르기·피부 질환이 발생합니다.
ㅇ 각종 오염물과 결합하여 해로운 물질을 만들 수 있습니다.
ㅇ 반도체 등 정밀산업과 각종 문화재에 피해를 입힙니다.
ㅇ 시정장애로 인하여 항공기 결항, 교통사고가 증가합니다.
3. 황사예보는?
□ 기상청은 황사 발원지의 자료, 기상위성의 영상, 일기도, 황사모델 등을 분석하고 예보관의 최종판단에 의하여 황사예보를 발표합니다.
□ 특히 강한 황사가 예상되면 「황사정보」, 「황사주의보」, 「황사 경보」를 발표합니다.
※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기상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4. 황사예보 발표시 대처 요령
□ 불필요한 외출은 삼가고,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하며 귀가 후 손발, 눈, 코속, 입안을 깨끗이 씻기 바랍니다.
□ 젖은 수건, 가습기로 실내의 습도를 유지하기 바랍니다.
□ 기도의 점막이 마르지 않도록 물이나 차를 자주 마시기 바랍니다.
-
공공누리
-
-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