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의 호국인물} 김풍익 육군 중령
6월의 호국인물} 김풍익 육군 중령
(1921. 8. 6 ∼ 1950. 6. 26)
전쟁기념관(館長 朴益淳)은 6.25전쟁 당시 105㎜ 야포로 북한군 전차를 직접조준 사격으로 격파하고 장렬히 전사한 김풍익(金豊益) 중령을 '6월의 호국인물'로 선정 발표했다.
김풍익 중령은 1921년 충남 예산에서 태어나 선린상고를 졸업하고 1948년 육사 7기로 임관했다. 1950년 5월 소령으로 진급 후 포병학교 교도대 대대장으로 근무하던 중 6.25 전쟁을 맞은 김풍익 소령은 급거 전선으로 출동하여 의정부 북방 금오리 지역에서 적진에 집중포격을 가했으나 당시의 화력 으로는 파죽 지세로 남하해오는 북한군 T-34전차를 격파할 방법이 없었다.
이에 김소령은 대전차 화기가 없는 우리 군이 적전차를 격파하는 길은 오직 야포의 직접 조준사격 뿐이라고 판단, 정면대결을 결심하고 북한 전차가 50m 앞까지 다가오기를 기다려 105㎜ 야포를 직접 조준 발사하여 이를 격파하는 놀라운 전공을 세웠다.
그러나 부대원들이 용기백배하여 제 2탄을 장전하려는 순간, 첫 번째 공격으로 위치가 드러나 뒤따라오던 적 후속 전차의 직격탄에 대대장 김풍익 소령 이하 전 대원이 장렬히 전사하고 말았으니 이때 그의 나이 겨우 스물아홉이었다.
후에 구사일생으로 생환한 운전병의 진술에 의하면 김풍익 소령은 마직막 숨을 거두는 순간까지 '대한민국 만세'를 외쳤다고 한다.
김소령을 포함한 포대원들의 활약은 당시 파죽지세로 남하하던 북한군의 서울 침공을 지연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으며 북한 전차에 대한 장병들의 공포감을 불식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정부는 김소령의 큰 공훈을 기려 지난 50년 12월 중령 특진과 함께 을지무공훈장을 추서했다.
6월 13일 전쟁기념관 호국추모실에서는 유족과 육군 주요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고인을 추모하는 현양행사가 거행된다.
-
공공누리
-
-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