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반상회보

낙뢰(落雷)

담당부서
자치지원과 (032-440-2430)
작성일
2003-10-05
조회수
1416
낙뢰(落雷)

1. 낙뢰란 ?
□ 낙뢰는 전기를 띤 구름과 지면 사이에서 일어나는 불꽃 방전을 말합니다.
□ 낙뢰는 봄과 가을 사이에 상층과 하층의 온도차가 크고 일사가 강한 날, 소나기구름 (뇌우)이 형성되면서 발생하고, 한랭전선(저기압후면), 북태평양고기압의 가장자리, 장마전선 부근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2. 낙뢰 발생 시 안전대책은?
□ 평지나 산 위에서 번개를 만나면 몸을 낮추고 동굴 등으로 피합니다.
□ 벌판에 있는 나무 등 키가 큰 물체에는 낙뢰가 떨어질 가능성이 크므로 피해야 합니다. 그리고 나뭇잎 끝에서 1 m 이상 떨어져 있는 것이 안전합니다.
□ 낚시대나 골프채 같은 키가 큰 물건은 땅에 내려놓고 자세를 낮춰야 합니다.
□ 자동차에 타고 있을 때는 차를 세우고 차안에 그대로 있는 것이 안전합니다. 차에 번개가 치면 전류는 도체인 차 표면을 따라 흘러 타이어를 통해 지면에 접지됩니다.
□ 실내에 있을 때 번개가 치면 TV 안테나나 전선을 따라 전류가 흐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가옥 내에서는 전화기나 전기 제품 등의 플러그를 빼두고, 전등이나 전기제품으로부터 1 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 가급적 전화를 삼가고 목욕이나 샤워도 중단합시다.

3. 낙뢰 정보 제공은?
□ 전국에 설치되어 있는 10개소의 낙뢰관측시스템인 수감부(센서)로 낙뢰를 감지하여 낙뢰의 발생시각, 위치, 강도 등을 분석합니다.
□ 기압의 급변화 경향 등 기압계의 흐름과 대기의 불안정도, 대류성뇌우 발생 여부 등을 분석하여 낙뢰예보를 발표합니다.
□ 여름철에 집중호우, 소나기 발생 시에는 낙뢰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니 기상정보를 수시로 확인하여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기상정보 이용을 생활화하시면 기상재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공공누리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자
  • 담당부서 자치행정과
  • 문의처 032-440-2436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