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수동 비루고개
남동구 만수동에서 부평으로 넘어가는 곳에 비루고개가 있다. 비리고개, 별고개라고도 하고 한자로는 별리현(別離峴), 별루현(別淚峴) 또는 성현(星峴)이라고도 하는데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는 성현으로 나와 있다. 이 고개에는 두 개의 전설이 전해 온다. 옛날 백제의 사신들이 중국으로 갈 때 수도(首都)를 떠나 이곳 비루고개를 넘고, 문학산의 삼호현을 거쳐, 송도 해변의 능허대에서 배를 탔다. 그를 따라온 가족들은 비루고개에서 이별을 했는데, 서로가 이별(離別)을 아쉬워해 눈물[淚]을 흘렸기에 별리현 또는 별루현이라 했고, 우리말 이름도 ‘비루’나 ‘비리’가 됐다는 얘기다. 또 하나는 먼 옛날 중국에서 우리 나라에 온 사신이 이곳에서 만난 한 공주를 사모하다가 다시 중국으로 떠나게 되자 이곳에서 슬픔의 눈물을 흘려 이런 이름이 생겼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이는 그냥 지어낸 이야기일 뿐이고, 실제 비리고개는 산이나 언덕이 경사진 곳을 뜻하는 우리 옛 말 ‘비사’나 ‘빗’, 또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벼랑을 뜻하는 ‘벼로’, ‘벼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현대어 ‘비슷하다’나 ‘빗나가다’ 등에서의 ‘빗’이 바로 여기서 비롯된 것이고, ‘벼랑’도 접미사 ‘앙’이 덧붙어 이루어진 말이다. 그러나 비탈진 곳을 뜻하는 이들 단어는 실제 땅이름에서 그 원형을 알아보기 어려울 만큼 무척 여러 가지의 변형된 형태로 나타난다. 벼로, 벼루는 물론 베루, 베랑, 비랑, 비랭이, 벼리, 비앙, 벼락, 비락, 비룩, 베틀 등이 그것인데 비리나 비루도 그중 하나로 해석되는 것이다. 전국적으로 흔한 이런 땅이름에는 대부분 ‘그 땅이 벼락을 맞았다’거나 ‘땅 모양이 베틀을 닮았다’는 식의 전설이 따르곤 한다.하지만 이는 그 이름을 보고 뒤에 지어낸 이야기일 뿐이며, 비리고개에 얽힌 전설도 마찬가지다. 결국 비리고개나 비루고개의 뜻은 ‘비탈진 고개’ 정도가 되는데, 이것이 한자로 바뀌는 과정에서 비슷한 소리의 글자를 택하고, 여기에 전설까지 섞여들면서 별리현, 별루현이 된 것이다. 한편 이것이 성현으로 바뀐 것은 별리현의 ‘별[別]’이나 별고개의 ‘별’이라는 글자를 하늘에 있는 ‘별[星]’로 잘못 이해해 붙인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
공공누리
-
-
OPEN 공공누리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