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Theme Interview

[Beyound Borders]

Views
307

 + Interviewee  Lee Sang-deok  Overseas Koreans Agency Commissioner    이상덕 재외동포청장


A Home and Reliable Partner of Overseas Koreans

재외동포의 울타리이자 든든한 파트너


There are seven million overseas Koreans worldwide. They a re becoming confident members of mainstream society, engaging in various fields in many countries. The Overseas Koreans Agency supports them in leading remarkable lives while preserving their Korean identity. In addition, the agency is committed to becoming a reliable partner for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overseas Korean community to prosper in coexistence. We met with Lee Sangdeok, Overseas Koreans Agency Commissioner, to listen to the details.

전 세계 700만 재외동포들. 이들은 여러 나라에서 다양하게 활동하며 주류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성장하고 있다. 재외동포청은 해외 동포들이 모국에 대한 정체성을 갖추고 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해 대한민국과 동포사회가 상생하며 발전할 수 있도록 든든한 파트너로 걸어가고자 한다. 이를 맨 앞에서 이끌어가는 이상덕 재외동포청장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Q. What are the visions and values of the Overseas Koreans Agency you promote as its commissioner?

Q. 재외동포청장으로서 추구하시는 재외동포청의 비전과 가치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Having served as a diplomat in various regions for a long time, I have closely observed the development of Korean communities. Overseas Koreans have grown into valuable assets and partners of South Korea by displaying their capabilities in their respective fields and entering mainstream society despite their difficulties. Our mission and vision are to ensure that the outstanding capabilities of overseas Korean communities lead to the development of the overall capabilities of all Korean people instead of being kept in their local communities.

As the Overseas Koreans Agency Commissioner, I will listen to the voices of Korean communities overseas and do my best so that overseas Koreans, confidently thriving in their respective countries, can feel that ‘the homeland is firmly on their backs.’

 저는 여러 지역에서 오랜 기간 외교관으로 근무하며 동포사회가 성장하는 과정을 가까이서 지켜봤습니다. 우리 동포들은 현지에서 마주치는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각자의 분야에서 역량을 발휘하고 주류사회로 진출하며 대한민국의 소중한 자산이자 파트너로 성장했습니다. 이러한 동포사회의 뛰어난 역량이 거주국 사회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한민족 전체의 총체적 역량 발전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로 재외동포청의 미션이자 비전이라 생각합니다. 

재외동포청장으로서 동포사회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면서, 동포 여러분들이 거주국에서 당당하게 활동해 나가실 때 ‘모국이 뒤에서 든든히 지키고 있구나’를 체감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Q. The year 2025 has begun. What are the key projects for this year?

Q. 2025년 새해가 밝았는데, 올해의 중점 사업에는 무엇이 있나요?


First, we will substantially prepare for the 2025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to support our economy in recovering momentum. The 23rd World Korean Business Convention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vents we organize, and it will be held in Atlanta, Georgia, from April 17 to 20. It will be held in America for the second time, following the one held in 2023. It will be a business forum that will provide domestic businesspeople a chance to enter the American and global market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economic environment alongside the launch of the second phase of the Trump administration.

In addition, we are further expanding the accessibility to civil services for the convenience of overseas Koreans living here. In December last year, we opened a branch of the ‘Comprehensive Civil Service Center,’ which provides civil services of ten or more government ministries and organizations at once,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erminal 2. This year, we will start the ‘Overseas Koreans Certification Center,’ which allows overseas Koreans to use domestic private digital services without a mobile phone number by verifying electronic passport information.

 우선,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를 내실 있게 준비하여 우리 경제의 활력 회복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는 우리 청에서 주최하는 가장 큰 규모의 행사 중 하나로, 올해 제23차 대회는 4월 17일부터 20일까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2023년에 이어 두 번째로 미국에서 개최될 예정인데,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맞물려 급변하는 대외 경제 환경 속에서 국내 기업인들에게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를 제공하는 비즈니스의 장이 될 것입니다.

또한, 편리한 동포생활을 위해 민원서비스 접근성을 더욱 확대합니다. 10여 개 정부  부처와 기관의 민원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통합민원실’의 분소를 작년 12월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에 개소하였으며, 올해에는 휴대전화 번호가 없어도 전자여권 정보 확인을 통해 국내 민간 디지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재외동포인증센터’도 시작할 예정입니다.


1. 12.19. Lee Sang-deck, Overseas Koreans Agency Commissioner, speaking at the 34th Overseas Koreans

2. 12.20. Year-End Delivery Ceremony held at Incheon Welfare Center for Sakhalin Korean


Q. What would you like to promote or finish during your term?

Q. 임기 동안 추진·완성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I have set six key tasks after I became the commissioner. First, I will establish a plan to attract overseas Korean businesspeople’s investment in Korea to promote domestic economic revitalization. Second, I will review improving the multiple nationality system to attract excellent overseas Korean talent. Third, I will improve the voting system for overseas Koreans to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elections. Fourth, I will establish the ‘One-stop Civil Service’ platform for the convenience of overseas Koreans living in Korea. Fifth, I will promote comprehensive and specific policies to support overseas Koreans staying in Korea. Finally, I will support overseas Koreans in need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I will do my best during my term to realize these tasks.

 저는 재외동포청장으로 취임한 이후 6가지 중점 추진과제를 설정했습니다. 첫 번째, 한상 기업의 국내투자 유치를 촉진하는 방안을 마련해 국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습니다. 두 번째, 우수한 동포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복수국적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습니다. 세 번째, 재외국민 선거 참여 확대를 위해 재외선거 제도를 개선하도록 하겠습니다. 네 번째, 편리한 동포 생활을 위해 ‘원스톱 통합민원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겠습니다. 다섯 번째, 국내 체류동포 지원을 위한 종합적·구체적 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내외 취약동포를 지원하겠습니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임기동안 진력을 다하겠습니다. 



Q. The Overseas Koreans Agency is cooperating with Incheon’s local communities in various ways. What activities are related, and what type of cooperation can we expect?

Q. 재외동포청이 인천 지역사회와 다양한 협력을 하고 있습니다. 어떤 활동을 했으며, 앞으로 어떤 부분의 연계를 기대할 수 있을까요?


The Overseas Koreans Agency has continued cooperation in various ways with local communities in Incheon, where it is based.

In June 2024, we signed an MOU with the Incheon Veterans Hospital and have worked together to provide substantial medical services to overseas Koreans. In July, we held a training session in Incheon with 2,000 next-generation overseas Koreans, and we had a meaningful time fostering their identity and increasing their bond as Koreans.

After I took office, the agency supported Korean SMEs in finding overseas sales channels and paths to overseas markets, resulting in the signing of contracts worth KRW 4.5 billion by holding the ‘K-Beauty Export Consultation Meeting’ at Songdo ConvensiA in Incheon and KRW 18.4 billion worth of consultations.

In particular, the agency will promote the ‘Overseas Koreans’ Settlement in Korea Support Project’ on a full scale starting this year. I know that Incheon also submitted the demand for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through overseas Korea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during the survey of needs and opportunities related to this project. We can develop a platform for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overseas Koreans and domestic companies centered on IFEZ and work with international schools, universities, and global campuses in Incheon to operate exchange programs for the youth.

동포청도 소재지인 인천지역 사회와의 다양한 협력을 지속해 왔습니다.

2024년 6월에는 동포청이 인천보훈병원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재외동포에게 실질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손을 맞잡고 있습니다. 이어, 7월에는 차세대동포 2천명이 참여한 모국 연수를 인천에서 열어, 한인의 정체성 함양과 유대감 증진을 위한 뜻깊은 시간을 가졌습니다.

제가 취임한 후에도, 인천시와 공동으로 ‘K-뷰티 수출상담회’를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최해 45억원 계약 체결 성과와 184억원 어치의 상담을 진행하는 등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판로 개척과 해외 진출을 지원했습니다.

특히, 동포청은 올해부터 ‘국내동포 정착지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개시할 계획입니다. 인천시도 동 사업 수요조사 시, ‘재외동포 경제활동 참여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수요를 제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인천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재외동포와 국내 기업 간의 경제 협력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고, 인천의 국제학교, 대학, 글로벌 캠퍼스와 연계해 청소년 교류프로그램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Q. Lastly, please give a word to overseas Koreans visiting Incheon.

Q. 마지막으로 인천을 방문한 재외동포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This year marks the 122nd anniversary of the official emigration history of Korea. With the maturing of overseas Korean societies, many overseas Koreans have become working members of society in countries where they live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conomics, politics, and culture. The Overseas Koreans Agency believes that the overseas Korean communities and Koreans here can expand the overall capabilities of Korean people if they can form a network of Koreans worldwide. I hope the overseas Korean communities and homeland put their heads together and gather wisdom to overcome the risks inside and outside Korea and seek a passage of a new leap this year.

 올해로 공식 이민역사가 122주년을 맞이합니다. 재외동포사회가 성숙해짐에 따라 많은 동포분이 거주국 주류사회에 진출해 경제, 정치, 문화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약하고 있습니다. 재외동포청은 재외동포사회와 내국민이 함께 전세계 한인 네트워크를 촘촘하게 형성한다면 우리 한민족의 총체적 역량 확대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재외동포사회와 모국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 현재 직면한 국내외적 위기를 함께 극복하고, 한민족의 새로운 도약의 길을 찾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Attachment
KOGL
KOGL: Source Indication (Type 1)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의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