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illing
Unshakable
‘Root’
Consciousness
흔들리지 않을
뿌리 의식을 심어주다

- Hwang Hyeon-ju Principal of the Korean School of New Jersey 황현주 뉴저지한국학교장
No matter where you are, knowing who you are is crucial. One of the things that defines you is your bloodline. Does the Korean heritage passed down from my parents and ancestors also dwell in me? In New Jersey, USA, there is a place to explore this question: the Korean School of New Jersey. This school teaches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stering a sense of pride in being Korean. We spoke with Hyunjoo Hwang, the principal of the Korean School of New Jersey, to hear her story.
전 세계 어디에 있는 내가 누구인지가 중요하다. 그리고 나를 이루는 것들 중 하나에 혈통의 뿌리가 있다. 부모님과 조부모님 등을 통해 내려온 한민족이라는 피는 나에게도 흐르나. 미국 뉴저지에는 이를 배우고 느낄 수 있는 곳이 있다. 뉴저지한국학교는 세계에 자랑할 만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가르쳐 한국계로서의 자긍심을 길러준다. 황현주 뉴저지한국학교장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Dr. Jill Biden(First Lady) and New Jersey Cjildren's Choir>
Q. First, I would like to congratulate the New Jersey Children's Choir on their performance at Carnegie Hall this year, following last year's performance at the White House. I would love to hear your thoughts on this.
Q. 먼저, 뉴저지 어린이 합창단이 작년 백악관을 이어 올해 카네기홀에서 공연하게 된 걸 축하드립니다. 이에 대한 소감을 듣고 싶습니다.
A. Performing at Carnegie Hall this year, which marks the tenth anniversary of the choir’s founding, is a truly moving and honorable experience. This achievement, born from hard work and passion, allows children, not professional musicians, to showcase their talents on a world-renowned stage, making it even more meaningful as they can share their inspiration with a broader audience. This Carnegie Hall performance will be a special experience for the children, inspiring them to pursue even greater dreams. While all the performances over the past decade have been significant, the 2023 White House performance was exceptionally memorable. For the children born in the United States who are shaping their identity as Korean Americans, the chance to perform in front of leaders from both countries was profoundly meaningful. Notably, the songs Arirang and Tomorrow were carefully chosen after several discussions with White House officials. It was particularly touching that the children’s choir could express the deep meaning of these two songs quite beautifully.
A. 올해 창단 10주년을 맞아 카네기홀에서 공연하게 된 것은 정말 감격스럽고 영광스러운 일입니다. 전문 연주자가 아닌 아이들이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무대에서 자신의 재능을 펼칠 수 있다는 것은 그들의 노력과 열정이 만든 값진 성취이며, 이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전할 수 있어 더욱 뜻깊습니다. 이번 카네기홀 공연으로 아이들에게 특별한 경험이 될 것이며, 더 큰 꿈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 믿습니다. 지난 10년간의 모든 공연이 의미 있었지만, 2023년 백악관 공연은 더 특별한 순간이었는데요. 미국에서 태어나 Korean American으로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아이들에게, 양국 정상 앞에서 공연할 기회는 그 자체로 큰 의미가 있었습니다. 특히 당시 아이들이 부른 ‘아리랑’과 ‘Tomorrow’는 백악관 비서관들과 여러 차례 회의를 거쳐 신중하게 선정한 곡으로, 두 곡이 지닌 깊은 의미를 어린이 합창단이 더욱 아름답게 전달할 수 있어 감동적이었습니다.
Q. You worked at the Korean School of New Jersey for a long time. What inspired you to instill a sense of identity in the second- and third-generation Koreans?
Q. 교장선생님께서는 뉴저지한국학교에서 오랫동안 근무하셨는데요. 한인 2·3세에게 정체성을 심어주어야겠다고 결심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A. I am a 1.5-generation immigrant who came to the U.S. during middle school. At that time, I was unfamiliar with the language, confused about my identity, and found it challenging to adjust to a new environment. During that sensitive period, I felt like I had been uprooted and transplanted into an unfamiliar land. However, I learned from my own experience that in America, a multi-ethnic society, those who clearly understand their own identity can live with greater confidence. This realization naturally led me to enroll my children in a Korean school, where I discovered that this community plays a vital role in preserving the roots of the Korean people. My desire to help second- and third-generation Korean children establish their identity and pride grew, prompting me to join the Korean school to make that dream come true.
A. 저는 1.5세대로, 중학교 때 이민을 왔습니다. 당시 언어도 익숙하지 않았고, 정체성에 대한 혼란도 컸으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습니다. 감수성이 예민한 시기에 마치 뿌리가 뽑혀 낯선 땅에 옮겨진 듯한 느낌을 받았죠. 하지만 다인종 사회인 미국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실히 아는 사람이 더욱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직접 경험하며 알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깨달음은 자연스럽게 제 자녀를 한국학교에 보내는 계기가 되었고, 그 과정에서 한국학교라는 공동체가 한민족의 뿌리를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실감했습니다. 이후, 한인 2·3세 아이들이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돕고 싶다는 마음이 커졌고, 그 뜻을 실현하기 위해 한국학교와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Q. In which direction are you leading the Korean School of New Jersey? Please share your educational philosophy or goals. Q. 뉴저지한국학교를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가고 있으신가요? 교육 철학이나 목표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A. The primary goal of the Korean School of New Jersey is to help second-and third-generation Korean children embrace and take pride in their identity as Korean Americans. Korean schools are not merely educational institutions; they act as the heart of the Korean community in cities around the world Koreans reside. My educational philosophy is to nurture talents who can confidently thrive on the global stage while maintaining their Korean identity in a multicultural society. To achieve this, we are committed to creating an even more enriched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future.
A. 뉴저지한국학교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한인 2·3세 아이들이 한국계 미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한국학교는 단순한 교육기관을 넘어 한인이 거주하는 세계 어느 도시에서도 한인 공동체의 중심 역할을 합니다. 교육철학은 다문화 사회 속에서 한국인의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세계무대에서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인재를 기르는 데 있습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앞으로 더욱 발전된 교육 환경을 만들어 나가고자 합니다.
Q. I am also curious about the reactions of the children attending the school. What are the most popular programs, and what do children learn and experience here?
Q.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의 반응도 궁금합니다. 가장 인기 있는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 또 아이들은 이곳에서 어떤 것들을 배우고 느끼게 되나요?
A. Children come to Korean schools to learn Korean, but they enjoy hands-on experience in Korean culture classes more than anything. We teach Korean culture as a required subject for all students and offer programs such as samulnori(traditional percussion quartet), sagunja(painting of four gracious plants), Korean history, the history of Korean emigration to America, talchum(mask dance), and Korean culture and arts based on grade level. The most popular event is Sports Day, where all students are divided into blue and white teams to enjoy traditional folk games. In addition, cooking classes, such as kimchi-making and Korean sweets, are very popular among students. Through these diverse cultural experiences, the Korean School of New Jersey helps students feel a deeper connection to Korea, positively embrace and take pride in their Korean identity.
A. 아이들은 한글을 배우기 위해 한국학교에 오지만, 무엇보다 직접 체험하며 즐기는 한국 문화 수업을 가장 좋아합니다. 저희는 모든 학생들에게 한국 문화를 필수 과목으로 가르치고 있으며 학년별로 사물놀이, 사군자, 한국 역사, 미주 이민사, 탈춤, 한국 문화예술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장 인기 있는 활동은 전교생이 청군과 백군으로 나뉘어 전통 민속놀이를 즐기는 운동회입니다. 또한 김장하기, 한과 만들기 등 요리 수업도 학생들의 호응이 크고요. 뉴저지한국학교는 이처럼 다양한 문화 체험을 통해 한국을 더 가깝게 느끼고, 스스로 한국인의 정체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Q. Please provide an overview of any major programs currently underway or planned for the future.
Q. 현재 진행 중이거나 앞으로 추진할 주요 프로그램이 있다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A. As K-culture gains worldwide popularity, many second- and third-generation Korean students are becoming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and enrolling in Korean schools. We offer a 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lass to support these students. This program is designed to help second- and third-generation Korean students who do not speak Korean learn the language and culture naturally. Since it requires a different teaching approach compared to students who have some prior knowledge of Korean, we are running classes by exploring practical and enjoyable methods. We focus on encouraging second- and third-generation Korean students to keep their interest in learning Korean and developing language skills applicable to real-life situations. In the future, we plan to enhance the KSL curriculum with richer, more diverse content to create a more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students studying Korean.
A. 세계적으로 K-컬처가 큰 인기를 끌면서 많은 한인 2·3세 학생들이 한국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학교에 등록하고 있습니다. 이들을 위해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학급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한국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한인 2·3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문화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기존의 한국어를 어느 정도 아는 학생들과는 다른 교수법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용적이고 재미있는 접근 방식을 연구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인 2·3세 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데 있어 흥미를 잃지 않도록 유도하고,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언어 능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KSL 학급의 커리큘럼을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콘텐츠로 발전시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Q. Please let us know if there is a particular reason or connection for the New Jersey Children’s Choir to perform at the White House and Carnegie Hall.
Q. 특히 뉴저지 어린이 합창단이 백악관과 카네기홀에서 공연할 수 있었던 특별한 이유나 과정이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A. The New Jersey Children’s Choir could perform at the White House, Carnegie Hall, and the UN HQ through endless efforts and meaningful opportunities discovered along the way. I wanted the children to improve their Korean pronunciation and enjoy learning the language while singing songs. Each time the children performed, they impressed more people and garnered additional support. Witnessing this support, we dreamed we would one day be invited to the White House to promote Korean culture to mainstream American society. Along the way, we had the opportunity to perform at the Korean American Grassroots Conference (KAGC) in Washington, D.C., where congressmen and second-generation Koreans working for the White House saw our performance. Thanks to their recommendation, we were invited by President Biden to perform at the White House. After the performance, President Biden and the First Lady presented us with a thank-you card and a Christmas card, which truly impressed the students and everyone else. Many people thought my dream was unusual, but I believed opportunities come when we work hard for them. Recently, we received the grand prize at the Young Artists International Premiere Competition in the Ensemble category, and we will have a special performance at Carnegie Hall in New York to celebrate the tenth anniversary of the choir’s founding. We will showcase what we have worked for and achieved on one stage for the tenth anniversary, making it a very happy and meaningful occasion. In addition, this fall, we were offered to perform Carmina Burana with a famous adult choir in New Jersey at their 60th-anniversary concert. The children's choir may not be professional musicians, but their past performances have earned them recognition for their skills and provided opportunities to perform on many important stages, including this one at Carnegie Hall. Over the past ten years, we have accepted numerous invitations to perform. We have come to understand that music transcends being just an art form; it possesses the power to touch hearts and connect cultures. We have realized that singing on stage and promoting Korean culture goes beyond a simple performance and is a valuable opportunity to share our identity and engage with the world. As the children continue to perform, they gain confidence and become small ambassadors for Korean culture.
A. 뉴저지 어린이 합창단이 백안관, 카네기홀, 유엔 등에서 공연할 수 있었던 이유는 끊임없는 노력과 그 과정에서 만난 중요한 기회들 덕분이었습니다. 저는 아이들이 노래를 익히면서 한국어 발음도 좋아지고, 한국어를 재미있게 배울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아이들이 공연할 때마다 더 많은 사람들이 감동을 받았고 응원해 주었습니다. 응원에 힘입어 언젠가는 백악관의 초청을 받아 한국 문화를 미국 주류 사회에 알릴 기회가 오면 좋겠다는 꿈을 품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워싱턴 DC에서 열린 KAGC(한인 공공정책 회의) 컨퍼런스에서 공연을 하게 되었고, 그 자리에서 미국 의원들과 백악관에서 일하는 한인 2세들이 저희 공연을 보았습니다. 그분들의 제안으로 결국 바이든 대통령의 초청을 받아 백악관에서 공연을 하게 되었습니다. 공연 후 바이든 대통령 부부가 감사 카드와 크리스마스 카드를 보내주었고, 이로 인해 학생들은 물론 모두가 깊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은 제 꿈이 엉뚱하다고 생각했지만, 저는 열심히 노력하면 그런 기회가 반드시 온다고 믿었습니다. 최근에는 Young Artists International Premiere Competition에서 앙상블 부문 대상을 받았고, 창단 10주년 기념은 오는 6월 미국 뉴욕 카네기홀에서 특별 공연을 할 예정입니다. 10주년을 맞아 그동안 쌓아온 노력과 성과를 한 무대에서 선보일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고 뜻깊은 시간이 될 것입니다. 또한 이번 가을에는 뉴저지의 유명한 성인 합창단의 60주년 공연에서 Carmina Burana 공연을 함께 하자는 제안을 받았습니다. 어린이 합창단은 전문 음악가는 아니지만, 그동안의 공연을 통해 실력을 인정받아 이번 카네기홀 공연을 비롯해 여러 중요한 무대에 함께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많은 초청 공연을 해왔습니다. 음악이 단순한 예술 활동을 넘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문화를 연결하는 강력한 힘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무대에서 노래를 부르며 한국 문화를 알리는 것이 단순한 공연이 아니라, 우리의 정체성을 공유하고 세계와 소통하는 중요한 기회라는 것을 실감했습니다. 아이들도 공연을 거듭할수록 자신감을 키워가며, 스스로 한국 문화의 작은 홍보대사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Q Are there stages or projects the choir wants to challenge in the future?
Q 앞으로 합창단이 도전하고 싶은 무대나 새로운 프로젝트가 있나요?
A. Our dream is to collaborate with school choirs from Korea and worldwide or perform in Korea. We aim to create opportunities to promote Korean culture and music through various cultural exchanges. Additionally, we wish to participate in concerts organized by groups from other cultures to promote Korean culture further.
A. 세계 각국에 있는 한국학교 합창단과 협업하거나 한국에서 공연을 하는 꿈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문화적 교류를 통해 한국 문화와 음악을 알리는 기회를 만들고자 합니다. 또한 다른 문화권 단체들의 공연에도 적극 참여해 한국 문화를 널리 알리고 싶습니다.
Q. We wonder how you think of Incheon as a city.
Q. 교장선생님께서 생각하는 인천에 대한 도시 이미지가 궁금합니다.
A. Incheon serves as a grand gateway to South Korea. Most international visitors travel to Seoul via Incheon. I visited Incheon last year after ten years and was struck by how well-organized and sophisticated the city is. Notably, Incheon maintains a harmonious balance between its past and present, showcasing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s a port alongside modern facilities.
A. 인천은 대한민국의 대문과도 같은 도시라고 생각합니다. 외국에서 오는 사람들은 대부분 인천을 거쳐 서울로 들어가게 되죠. 저도 작년에 10년 만에 인천을 방문하셨는데 스마트 도시라는 이름에 걸맞게 잘 정돈되어 있고 세련된 도시라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특히 인천은 과거와 현재가 조화롭게 어우러진 곳으로 개항의 역사를 간직하면서 현대적인 시설이 결합된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Q. Incheon is home to the Overseas Koreans Agency(under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he Overseas Koreans Welcome Center (run by Incheon). What programs should be provided at these locations to enable overseas Koreans to immerse themselves fully in their homeland culture?
Q. 인천에는 재외동포청(외교부)과 재외동포 웰컴센터(인천시청)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재외동포들이 모국 문화를 더욱 깊이 경험할 수 있도록 이곳에서 어떤 프로그램이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A. These spaces play a vital role in helping overseas Koreans experience their homeland culture, and it would be wonderful if they provided opportunities to explore various regions of Korea and its cultural heritage firsthand. For instance, programs that include visits to historical sites or traditional villages or supporting families or groups, such as Korean Schools, to participate in cultural experiences. Additionally, if accommodations for overseas Koreans are provided in Incheon, it would significantly impact how overseas Koreans visiting Incheon feel connected to Korea and maintain a deep relationship with their homeland.
A. 재외동포들이 모국 문화를 더 깊이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공간으로, 다양한 지역과 문화유산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역사적 명소나, 전통 마을을 방문하는 프로그램 등 가족 혹은 단체(한국학교)들이 문화체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지요. 또한 인천에 재외동포을 위한 숙박시설이 마련된다면 이곳을 방문하는 재외동포들이 더 친숙하게 느끼고, 모국과의 관계를 깊이 있게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Q. What efforts can Incheon make to become a friendlier city to overseas Koreans?
Q. 인천이 재외동포들에게 더 친숙한 도시가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A. (As I mentioned earlier,) It would be wonderful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showcase the charms of Incheon and for overseas Koreans to enjoy a variety of experiences while staying here. This would help overseas Koreans form a deeper connection to Korea by turning their cultural experiences here into cherished memories.
A. (앞서 말했듯이) 인천이라는 도시의 매력을 널리 알리고, 많은 재외동포들이 이곳에 머물며 다양한 경험을 쌓고 즐길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이곳에서의 문화 체험이 재외동포들에게 특별한 추억이 되어 그들이 한국과의 깊은 연결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것이라 믿습니다.
Q. Lastly, do you have any messages for the citizens of Incheon?
Q. 마지막으로 인천 시민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A. Incheon is a key transportation hub that has long fostered international exchange, a smart city that has embraced advanced technology, and a place of unique charms with its beautiful coastline. I believe that Incheon will shine even more brightly with its citizens, whose deep sense of pride has shaped the city’s growth. I hope Incheon further solidifies its status as a global city through continued exchanges with overseas Koreans.
A. 인천은 국제 교류를 이끌어 온 교통의 요지로 첨단기술이 도입된 스마트 도시이자 아름다운 바다가 어우러진 특별한 매력을 가진 도시입니다. 인천 시민들이 그동안 쌓아온 자부심을 바탕으로 더욱 멋진 도시를 일구어 가실 것이라 믿습니다. 더해 재외동포들과의 교류를 통해 인천이 글로벌 도시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