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이후

광복 후 한동안 우리나라는 나라 이름마저 각양각이하게 부를 정도로 다양한 성향의 정치세력들이 난립하여 혼란을 거듭하였다. 미군이 가장 일찍 진주하였다는(9월 8일) 인천지역사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미군정(美軍政)을 거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1948년 8월 15일)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경제를 지향한다는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인천지역사회는 빠르게 안정되어 갔다. 미군정 때 잠시 제물포시(1945년 10월 10일27일)로 바뀌었던 인천부도 1949년 지방 자치법에 따라 경기도 인천시로 정립되었고(1949년 8월 15일), 시의회도 구성되었으며(1952년) 시장 또한 간선(間選)으로 선출되었다(1952년).

그리고 이들에 의하여 일본의 잔재와 미군정의 과도기적 조치들이 하나하나 청산되고 일신되어 갔고, 경제 안정과 발전을 위한 여러 가지 시책도 속속 마련되어 갔다. 강화군·김포군 또한 다르지 않았으니, 인천지역사회가 역사상 처음으로 경험하는 민주적 자치행정이었다. 주민에 의한, 주민을 위한 행정과 산업이 바야흐로 시작된 것이다. 그러나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한 북한군의 남침(한국전쟁)은 인천지역사회에 다시 한번 시련을 주었다. 인명의 피해나 주민 간의 갈등에서도 그러하였지만, 공장과 사회기반시설이 파괴되면서 가까스로 일구어 가던 경제가 거의 무너지고 말았던 것이다.

휴전(1953년 7월 27일) 후 20여 만 명의 이북 피난민까지 수용했던 인천지역사회는 각고의 노력을 다시 해야 하였다. 인천항을 수·출입 창구로 하고 그 배후 공단(工團)을 주요 가공 공단으로 하였던 정부 정책과 인천항을 한국의 관문으로 삼았던 미국의 특별한 배려(한·미친선위원회의 원조)는 이에 큰 도움이 되었다. 그리하여 휴전 이듬해 말에는 원인천에서만도 267개 공장을 갖게 되는 복구를 이루었으나, 자재난·전력난·자금난에다가 기술력의 부족까지 겹쳐 더 이상의 성장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인천지역사회의 본격적인 성장은 1960·70년대에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거듭 추진되면서 이루어졌다. 원인천의 임해공단들과 부평공단(경인공단)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수출 위주로 전개되면서 이를 위한 각종 기간(基幹)시설의 확충과 편의시설의 확대가 우선적으로 마련되었다. 원인천사회의 이러한 성장은 주변 지역에도 영향을 주어 각종 산업을 발달하게 하고 아울러 원인천사회를 중심으로 인구 증가를 가속화시켰다. 인천시(원인천)가 구제(區制)를 실시하던(1968) 당시, 인천시는 서울, 부산, 대구에 이어 4대 도시로 성장하여 있었고, 지속된 경제발전은 인천시의 산업과 사회를 더욱 성장시켜 인구 100만명을 돌파하여 인천직할시로 승격하게 하였다(1981). 그리고 나아가서는 세계화·정보화의 추세와 중국의 개방화 정책으로 인천지역의 지정학적 비중이 더욱 높아지자 1961년에 폐지된 지방자치제의 부활(1991)과 연계하여 인천광역시로 확장·승격되기에(1995년 3월 1일) 이르렀다. 인천지역사회가 지난날 경험하고 축적한 다양한 토양을 바탕으로 피어난 한송이 장미꽃[인천광역시 시화(市花)]이고, 인고(忍苦)의 세월을 거듭하며 획득한 월계관이 되겠다.

인천광역시는 지금도 개발과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2001년 3월 개항)의 확장, 공유수면의 매립과 각종 산업·물류단지의 조성, 관광·레저단지와 새로운 주거단지의 건설, 인천지하철(1999년 12월 개통)과 고속화도로의 확대, 교육·문화시설의 증대 등등 이루 헤아리기 어려운 정도이다.

인천광역시는 지금 동북아시아의 중심도시로 세계를 향해 웅비하고 있다. 서울의 관문으로서 항만·상업도시를 이루어 온 원인천에다가 농·공업도시 부평을 아우르고, 이어 농·수산과 문화·관광의 보고(寶庫) 강화와 옹진 등을 합하면서 동북아시아의 허브(Hub) 공항을 더하여, 명실상부한 한반도의 거대한 관문이자 국제적 물류중심지, 산업·정보단지, 관광·휴양단지로 비약적인 성장을 기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날의 인천(원인천)과는 완연히 다른 새로운 차원의 국제도시로 변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