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일본의 식민지경영이 강화되고 대륙침략정책이 본격화되면서 공단과 거주지를 건설하고, 김포·부평평야를 절대농지로 하여 식량공급지로 삼았다. 이로 인해 인천부는 1910년의 부역, 곧 옛 인천도호부의 부역에다가 부평군의 일부까지 차지하는 넓은 부역을 갖게 되었다.

개항 직후 제물포 중심의 작은 항구도시·상업도시였던 원인천사회가 거대한 항만도시이자 커다란 중공업단지와 농업단지를 배후에 두는 산업도시로 그 모습을 바꾸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가운데 인천지역사회는 철저히 일본화된, 일본인 중심의 도시와 농·공단지로 변하여 갔다. 따라서 그만큼 일본인의 억압과 수탈은 심해졌고, 그에 따른 한국인의 저항도 커지지 않을 수 없었다.

개항 직후 개항장에서의 한국인과 일본인 간의 마찰·갈등은 극히 개별적이고 간헐적이었다. 비록 일본의 강압으로 개항되기는 하였으나, 우리나라에서도 18세기부터 사회개혁을 모색·추구하는 기운이 있어 왔고, 또 그 과정에서 외래의 이질적 문물과도 접촉하여 왔기 때문에, 외래문물이나 시세의 변화에 대한 일방적인 거부감보다는 그에 적절히 적응하고 수용하는 분위기도 이루고 있었기 때문이다. 1897년에 설립된 인천항신상협회(仁川港紳商協會)는 그 하나의 좋은 사례였다. 제물포 개항과 더불어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객주들의 조합인 인천객주회(仁川客主會 : 1885)를 모체로 사회 유지들이 함께하여 설립한 이 협회는 일본 기업과 상인에 대응하여 우리 민족상인의 상권을 옹호·신장하면서 새로운 상업질서의 정립을 꾀하고 육영사업에도 힘을 기울였는데, 인천지역에서 외세에 대한 저항이 무력적 양태보다는 노동 쟁의나 계몽활동 같은 사회운동에서 더욱 두드러졌던 것도 이 같은 분위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하였듯이 일본의 무단적 식민지정책이 강행되면서 한국인의 반일·항일감정은 날로 높아만 갔고, 그것은 점차 조직적 집단적 저항·투쟁을 도모하게 하였다.

3·1 만세 운동은(1919) 이러한 운동 양태를 표출시키는 하나의 전기가 되었다. 일본이 3·1운동을 계기로 무단통치를 파기하고 이른바 문화정치를 표방하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국외에서나마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어 독립운동의 구심체가 뚜렷하게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국외에서 임시정부와 광복군(光復軍)이 외교적 또는 무력적으로 광복을 위한 투쟁을 벌이는 동안, 국내에서는 이들과 연계하여 일본의 지배를 약화시키고 우리 민족의 실력을 배양하려는 다양한 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던 것이다.

1919년 3월 6일 원인천에서 시작하여 부평·김포·강화 등으로 확산되며 한달 넘게 독립만세를 불렀던 인천지역사회에서도 그 기운을 이어 수많은 조직이 결성되고 다양한 활동이 전개되었다. 개항 후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여 온 노동운동과, 기독교회를 중심으로 한 청소년운동은 그 중심에 있었다. 1920년대 초에 전국적으로 전개된 조선물산장려운동과 금주(禁酒)·단연(斷煙)운동이 인천조선물산소비조합(仁川朝鮮物産消費組合 : 1923)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또 전국적 민족운동 조직인 신간회(新幹會)와 근우회(槿友會)의 인천지회가 조직되기도 하였으나(1927~1929), 광복에 이르기까지 합법적 또는 비합법적으로 저항과 투쟁을 지속하여 간 것은 노동운동과 청소년운동이었다.

항일운동은 일본의 식민지배 말기에 전개된 다양한 한민족말살정책에도 불구하고 한민족을, 우리 인천지역 주민을 광복에 이르도록 보존시킨 원동력이 되었다. 그리고 광복 이후 한민족이, 인천지역 주민이 민주사회로 새롭게 출발하는 밑거름도 되었다. 일찍이 민주주의를 경험하지 못했던 우리 민족, 우리 주민들이 이러한 운동들을 통하여 민주적 자치활동을 경험하고 민주주의 이념에 동참하게 되었던 것이다. 광복 후 이들 운동을 통해 성장한 인사들이 중앙과 지방에서 지도적 인물로 부상한 사실이나, 제헌의원(制憲議員) 선거에서 90%가 넘는 투표율을 보인 것은 모두 이를 뜻한다고 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