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놈펜
국가 : 캄보디아
홈페이지 : www.phnompenh.gov.kh
주요현황
- 위 치 : 메콩강과 사프강의 합류점에 위치
- 면 적 : 679㎢
- 인 구 : 228만명
- 시 장 : Khuong Sreng
- 지역특성 : 기온(최저 10℃ 최고 38℃), 열대몬순기후
- 주요산업 : 캄보디아 최대의 소비도시로서 총 노동력이 상업>제조업>농업의 순으로 종사
- 기타 지역현황
- 교육기관 : 프놈펜 왕립대(캄보디아 최대, 최고의 대학)
- 교통요충
- 메콩강 등 3대 강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전통적으로 수운 발달
- 특히, 메콩강과 연결된 베트남쪽의 해협을 통하여 동지나해와 연결
- 프놈펜 국제공항 위치
- 2009.03.27 (프놈펜시)
도시개황
- 캄보디아의 수도이자, 행정·경제·문화의 중심지로 캄보디아 최대의 도시
1953년의 캄보디아 독립 이래 1960년대까지는 이웃 나라의 내전에도 불구하고 표면적인 평화를 유지해, 프놈펜은 '동양의 파리'로서 그 아름다움을 자랑하였고, 치안도 좋은 도시였다. 아직도 프랑스 식민지 시대의 아름다운 거리풍경이 남아 있다. 또 왕궁이 있는데 여기서 캄보디아 국왕이 살고 있다. '프놈 펜'이라는 명칭은 이 거리의 언덕에 세워져 있는 사원인 왓프놈(Wat Phnom)에서 유래한다. 프놈 펜은 '펜의 언덕'이라는 의미로, 펜 부인은 믿음이 깊은 여성으로, 강을 따라 흘러 온 불상을 극진하게 모셔서, 그 사원을 왓 프놈이라고 불렀고 그 언덕을 프 놈펜이라 불렀다. 1975년 4월 17일 크메르루즈에 의해 함락당하면서 다수의 희생자가 나왔다. 시 외곽에는 폴 포트 정권 시대에, 대량 학살의 경험이 있는 킬링필드가 있다. 장기간의 내전 종식으로 아시아개발은행(ADB), 세계은행(World Bank),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금융기구, 미·일·유럽 연합 등의 지원을 통하여 각종 사회간접자본이 재건·복구되고 있어 건설 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으며 건축자재의 수입 또한 확대되고 있어 우리시와의 경제, 건설 부문에서의 우호협력 가능성은 상당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자매결연경위
2008.08.10 | 프놈펜시장에 자매결연 제안 |
---|---|
2008.09. 5 | 캄보디아 대사 방인 |
2008.09.09 | 프놈펜시장 방인 자매도시 MOU체결 |
2009.03.27 | 인천시장 프놈펜시 방문 자매결연 체결 |
최근 교류 현황
2013.04.23~24 | 프놈펜시 현지 의료봉사 (9명) |
---|---|
2013.06.09~22 | 프놈펜시 공무원 인천인 양성연수 (1명) |
2013.07.15~09.09 | 심장병 어린이 초청치료 (6명) |
2013.09.27~29 | 프놈펜시 대표단 2013 자매우호도시 정상회의 참석 방인(2명) |
2014.05.20 | 캄보디아 프놈펜 자문관 방인(1명) |
2014.10.13~24 | 프놈펜 공무원 인천인 양성연수(1명) |
2020.12. 2 | 아시아권 자매·우호도시 화상회의(양자회의, 대시민국제관계과장 외 2명) |
2022.11.7~11 | UNAPCICT ICT교육 참여 (2명) |
2023.10.24~26 | UNAPCICT ICT교육 참여 (2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