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개편일(2020. 10. 21.) 이전 자료는 "이전자료보기"를 클릭해주세요.
이전자료 보기
50 /
169 페이지(전체
1,688건)
-
이미지 없음인천시, 6년 연속 공공데이터 제공 우수기관으로 선정인천광역시는 행정안전부가 실시한 2023년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와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에서 모두 ‘우수’ 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실태 평가는 2018년부터 6년 연속 우수기관에 선정됐다.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은 2022년
- 제공일자
- 2024-02-29
- 제공부서
- 데이터산업과
-
인천시, 영종대교 50중 추돌사고 대응 훈련 … 대통령상 수상인천광역시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2023년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전국 평가에서‘대통령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실시하는 범국가적 훈련으로, 지난해 전국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등
- 제공일자
- 2024-02-28
- 제공부서
- 사회재난과
-
이미지 없음인천시, 전국 최초 2년 연속 지자체 혁신평가 최우수 선정혁신의 선도주자 인천시의 끊임없는 혁신 노력이 다시 한번 빛났다. 인천광역시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2023년 지방자치단체 혁신평가’ 결과,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최우수기관(광역 1위)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시는 2022년에 이어 2023년까지 2
- 제공일자
- 2024-02-27
- 제공부서
- 시정혁신담당관
-
인천시, 탄소중립 실천할 ‘기후시민 공동체’ 모집인천광역시는 일상생활에서 온실가스 감축, 탄소중립 실천을 선도할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2045 탄소중립 기후시민 공동체’ 사업에 참여할 공동체를 오는 3월 15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국가 목표보다 5년 앞선 ‘2045 인천시 탄소중립’ 비전을 선포한 시는,
- 제공일자
- 2024-02-26
- 제공부서
- 환경기후정책과
-
인천시, 지역안전대책본부 가동해 의료공백 방지 총력 대응인천광역시는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집단행동과 관련해 2월 23일 인천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는 등 의료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총력 대응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날 정부는 의료계 집단행동과 관련해 보건의료재난 경보단계를 ‘경계’에서 위기 최고단
- 제공일자
- 2024-02-23
- 제공부서
- 사회재난과
-
인천시, 오스테드와 해상풍력산업 기반 구축에 협력유정복 인천시장이 전 세계 해상풍력 1위 기업인 오스테드와 해상풍력 공급망 확충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인천광역시는 유럽 출장 중인 유정복 인천시장이 현지 시각 2월 22일 오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덴마크 국영기업이자 글로벌 해상풍력 1위 업체인 오스테드(Ors
- 제공일자
- 2024-02-23
- 제공부서
- 에너지산업과
-
인천시, 의료계 집단행동 대비해 비상진료체계 점검 나서인천광역시는 2월 21일 박덕수 시 행정부시장이 권역응급의료센터인 길병원을 찾아 응급실을 비롯한 비상진료체계를 점검하고, 관계기관과 준비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6일 보건복지부가 보건의료분야재난 ‘경계’ 단계를 발령함에 따라, 시
- 제공일자
- 2024-02-21
- 제공부서
- 보건의료정책과
-
인천시, 지하도상가 활성화 대책 논의인천광역시는 지하도상가 활성화를 위해 ‘지하도상가활성화 협의회’를 구성하고 2월 21일 시청 회의실에서 제1차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인천시의회 의원, 임차인 추천자, 마케팅 관련 대학교수, 시설공단 등 7명으로 구성됐으며, 추가로도 위촉할 계획이
- 제공일자
- 2024-02-21
- 제공부서
- 소상공인정책과
-
이미지 없음인천시, 전공의 집단행동 대비 비상진료대책 추진인천시가 의료계 집단행동에 따른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고 시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비상진료대책 수립·추진에 들어갔다. 20일 오후 4시 기준, 인천 11개 수련병원 소속 전공의(540명)의 66.8%에 달하는 361명이 사직서를 제출한 상황으로, 시는 우선 시민
- 제공일자
- 2024-02-21
- 제공부서
- 보건의료정책과
-
이미지 없음인천시,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대상지 공모인천광역시가 2월 19일부터 5월 17일까지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대상지를 공모한다.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제도’는 역세권 개발이나 유휴토지 및 대규모 시설 이전 부지 등의 개발을 활성화하고자 민간과 공공이 협상을 통해 공공성 확보와 합리적 개발안을 도출하는 제도
- 제공일자
- 2024-02-19
- 제공부서
- 도시계획과
- 자료관리담당자
-
- 담당부서 공보담당관
- 최종업데이트 2025-03-1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