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장애인 응급알림e
- 담당부서
- 장애인복지과 (032-440-2940)
- 작성일
- 2016-08-02
- 분야
- 복지
- 조회
- 3374
장애인 응급알림e
목적
- 중증장애인에게 화재·가스 등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안전서비스를 제공하여 생활위험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고, 지역사회기반의 상시 보호체계를 마련
-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보호 강화를 통하여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지원하고 삶의 질 향상 도모
서비스대상
- 서비스 대상 지역에 거주하며, 장애인활동지원 수급자 중 독거, 취약가구, 가족의 직장·학교생활 등으로 상시 보호가 필요한 중증장애인
- 지자체의 판단에 따라 장애인 활동지원 수급자가 아닌 중증장애인(1~3급 장애인)도 상시보호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서비스 지원 대상에 포함 가능
- 서비스 대상 지역 :
서비스 대상 지역 번호 시도 시군구 관할 지역센터 전화번호 1 서울 강서구 강서길라장애인자립생활센터 02-6957-1116 2 마포구 마포장애인자립생활센터 02-6382-0119 3 양천구 사람사랑양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 02-2605-3979 4 도봉구 도봉서원종합사회복지관 070-4162-0544 5 영등포구 해오름 장애인자립생활센터 02-786-8500 6 성동구 성동구응급알립e지역센터 02-3409-1588 7 강남구 굿잡자립지원센터 02-501-2197 8 노원구 서울노원남부지역자활센터 02-941-6594 9 종로구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02-741-0119 10 송파구 11 인천 계양구 사단법인 경인복지회 032-541-8006 12 남동구 누리장애인자립생활센터 032-255-0220 13 연수구 인천장애인복지관 070-8970-7123 14 남구 꿈애장애인자립생활센터 032-265-8585 15 대전 서구 2015년 상반기 서비스 제공 예정 16 동구 17 유성구 18 대덕구 19 대구 서구 서구제일종합사회복지관 053-262-8310 20 북구 강북장애인주간보호센터 070-7204-7402 21 달서구 달구벌종합복지관 070-4620-9533 053-527-0223 22 동구 2015년 상반기 서비스 제공 예정 23 수성구 24 중구 25 부산 기장군 26 사상구 27 사하구 28 해운대구 29 부산진구 30 북구 31 중구 32 서구 33 동구 34 영도구 35 동래구 36 남구 37 금정구 38 강서구 39 연제구 40 수영구 41 광주 광산구 42 북구 43 동구 44 남구 45 서구 46 울산 남구/울주군 행복한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 052-263-5335 47 동구/중구/북구 울산장애인복지서비스지원협회 052-292-1190 48 경기 성남시 수정노인종합복지관 031-739-2942 49 의정부시 의정부세움자립생활센터 031-851-1717 50 안산시 안산시초지종합사회복지관 031-365-3343 031-365-3310 51 수원시 SK청솔노인복지관 070-4014-3999 031-257-6816 52 광명시 2015년 상반기 서비스 제공 예정 53 파주시 54 강원 원주시 55 충북 충주시 충주종합사회복지관 043-855-3018 56 청주시 2015년 상반기 서비스 제공 예정 57 충남 천안시 충남중증장애인자립생활센터 041-417-6002~3 58 부여군 부여장애인응급안전서비스센터 041-830-2267 59 경북 안동시 경북지체장애인협회안동시지회 070-7378-4424 60 김천시 2015년 상반기 서비스 제공 예정 61 경남 거창군 62 거제시 63 김해시 64 진주시 65 창원시 66 전북 전주시 희망드림 063-275-5587 67 김제시 2015년 상반기 서비스 제공 예정 68 군산시 69 익산시 70 남원시 71 전남 목포시 72 여수시 73 광양시 74 제주 제주시 제주장애인자립생활센터 064-751-9106 75 서귀포시 2015년 상반기 서비스 제공 예정
서비스내용
- 상시보호가 필요한 중증장애인 댁내에 화재·가스 등 각종 센서를 설치하고 응급상황 발생시 이를 소방서·응급안전 지역센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신속한 구급·구조 및 안전확인 서비스 제공
- 지역별로 중증장애인 응급안전서비스 사업 수행을 하는 지역센터를 설치·운영하여 안전관리, 응급상황 확인, 댁내장비의 관리, 지역사회 자원 발굴 및 연계 등 제공
- 댁내장비 설치 목록
공통 : 게이트웨이(전화·통신장비), 휴대용 응급버튼, 화재감지센서, 가스감지센서, 활동감지센서, 간이소화기
- 서비스 흐름도 보기
<중증장애인 응급안전서비스 흐름도>
서비스신청
- 설치·신청문의(해당 시군구·국민연금공단지사·해당 지역센터)
- 신청서 작성 및 제출(해당 지역센터)
- 대상자 선정(해당 시군구)
- 댁내시스템 설치
- 서비스 이용
<서비스 신청 절차>
[참고 1] 서비스지원에 대한 본인부담금
- 무료 : 소방서·응급안전 지역센터와의 통신비용, 게이트웨이 및 각종 센서 설치비용
- 유료 : 상전으로 작동하는 댁내장비 전기사용료(1개월 기준 약 100원)
[참고 2] 서비스 종료 시 유의사항
- 댁내장비는 지자체의 자산으로써 관내에서 이사할 경우 관할 지역센터에 이전설치 요청
- 타 지자체로 이사 또는 응급안전서비스 종결 시 지역센터에 댁내장비 반납
- 첨부파일
-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